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건강한 직업관 형성을 위한 글쓰기 교수법 연구 - 자기소개서 쓰기 과정을 활용하여 -

        최선희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5

        This study has applied how university students learn writing a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statement as a teaching method of writing to help them have proper professionalism who need to be prepared for deciding their job. It is based on one of educational goals which writing a self-introduction statement can help the students hold positivity of intrinsic value of a job.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writing a self-introduction statement are to help the learners plan the present by themselves and put it into practice, and recognize professional values through having them search for themselves and discover their future roles as a member of society. Teaching how to write a self-introduction statement discussed in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based on the process in order, from grown-up background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ersonality, motivation for application, to aspiration after entering a company, general items of a self-introduction statement, by being related to self-understanding, self-analysis, and creation of the occupational view. Through this process, the learners have got to know their current identity by analyzing grown-up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personality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self-analysis. Moreover, they have also established their future identity through exploring what they want to do in the future by themselves and creating a roadmap for their life. In addition, they have thought about their positive roles in community through finding their role models and learning how they made their life valuable, and writt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learners’ dream job. Despite the instructor’s inten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the writing, most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writing activity seriously. Hopefully, the learning experience of writing a process-based self-introduction statement can help the university students whose time to start their career is just around the corner, get into society smoothly, and have valuable and happy social life as responsible and independent ego.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직업선택 시기에 있는 대학생 학습자에게 올바른 직업의식을 형성하게 할 수 있는 글쓰기 교수법으로 자기소개서 쓰기 과정학습이 활용되었다. 이는 자기소개서 쓰기 활동이 직업의 내재적 가치의 긍정적 지향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교육적 목표에 근거한 것이다. 자기소개서 쓰기의 교육적 목표는 학습자가 자기 탐색을 하고 사회구성으로서의 미래 역할을 찾아 현재를 자발적으로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계기와 직업적 가치 인식을 마련해주는 데 있다. 본 논의에서 이루어진 자기소개서 쓰기 지도는 자기소개서의 일반적인 항목인 성장배경과 성격의 장점 및 단점, 직무지원 동기와 입사 후 포부를 자기이해와 자기분석, 직업관 형성과 연관 지어 순차적인 과정학습으로 진행되었다. 학습자는 자기이해와 분석으로 성장배경과 성격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현재 정체성을 알게 되었고 스스로 하고 싶은 일을 탐색하고 인생 로드맵을 작성하면서 자신의 미래 정체성도 확립했다. 또한 인생의 롤 모델을 찾아 그들의 삶의 모습을 배우고 자신이 꿈꾸는 직업의 의미와 가치를 글로 표현해봄으로써 공동체 속에서 나의 긍정적인 사회적 역할도 생각해보았다. 교수자의 의도적인 글쓰기 전략에도 불구하고 학습자 대부분은 진지하게 자기소개서 쓰기 활동을 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자기소개서 쓰기 과정학습 경험으로 사회입문을 목전에 둔 대학생들이 성공적으로 학교에서 직장으로 전환할 수 있기를, 책임 있는 주체적 자아로서 가치 있고 행복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Duncan 검정 기법을 적용한 GPS/INS 데이터 분석과 도로의 직선 · 곡선 구간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최선희,성정곤(Jung Gon Sung)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4 No.-

        실제 도로상에서 취득한 GPS/INS 데이터는 특성이 서로 다른 직선, 원곡선, 완화곡선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구분 없이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로 선형 설계요소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각 구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정확히 분류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uncan 검정이라는 통계적 기법을 도입하여 실제 도로에서 취득된 GPS/INS 데이터에 적용, 도로의 직선 · 곡선 구간을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수집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데이터 분석 단위와 직선 · 곡선구간의 구분 기준으로써 본 연구에 적합한 Duncan 검정의 최소유의범위를 제시한다.

      • GPS/INS 데이터를 이용한 도로 평면선형 설계요소 추출 알고리즘 개발

        최선희,성정곤(Jung Gon Sung)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4 No.-

        본 연구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INS(Inertíal Navigation System) 통합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수리적 방법을 통해 일반화하여 도로의 평면선형 설계요소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알고리즘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위해 실제 도로에서 취득한 GPS/INS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여 본 알고리즘에 적용, 그 정확도를 평가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 문법 영역의 구현 양상 연구 - 단어와 문장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

        최선희,구본관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69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nection and the hierarchical aspect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 few preceding studies exist, but studies vary in the perspective of analysis, so it is difficult to find a comprehensive analysis framework. Thus this paper prepared a textbook analysis framework, analyzed the word and sentence area, and conducted a learner’s survey. As a result, various issues were confirmed including contents that are out of the range of the curriculum’s learning elements, cases where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 reflected in learning objectives, cases whe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not varied, and content arrangement that is not appropriate to the learner’s level.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becam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textbooks that are effective and desirable to the learner.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과정이 교과서에 구현된 양상 및 교육 내용 간 위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를 다룬 선행 연구는 몇몇 존재하나 그 범위가 제한적이며 연구마다 분석 관점이 다양하여 종합적인 분석 틀은 찾아보기 어렵다. 무엇보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관련한 분석은 전무한바, 본고에서는 교과서 분석 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어와 문장 영역을 분석하였으며, 학습자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 내용 간 위계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의 학습 요소 범위를 벗어난 내용, 성취 기준이 학습 목표에 반영되지 않은 경우, 교수·학습 방법이 다양하게 반영되지 않은 경우, 학습자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내용 배열 등 여러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교육과정과 긴밀한 연결성을 띤 교과서이자 궁극적으로 학습자에게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교과서로의 발전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