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ageTale 앱을 활용한 구조화 집단상담 참여 경험

        최서윤(Suhyo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는 상담 매체로 개발된 ImageTale 앱을 활용한 구조화 집단상담 참여 경험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집단상담 참여자는 상담전공 대학원생 11명으로 남자 2명, 여자 9명이었다. 총 6회기 18시간 동안 집단상담 수업이 진행되었고, 참여자들은 회기가 끝난 후 성찰일지와 종결 후 최종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총 7장의 성찰일지와 매 회기 집단에서 진행된 상담 과정을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4개 영역과 11개 범주, 29개의 하위내용이 도출되었다. 집단 참여자들은 ImageTale 앱을 처음 접하면서 호기심을 갖고 시작하게 되었고, 이미지 구성 중에 감정변화와 인식 및 표현을 체험하면서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ImageTale 앱을 활용한 집단상담에서 타인이해와 상호작용 측면과 자기이해, 내면탐색, 감정인식 등의 도움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ImageTale 앱이 상담 매체로 활용되는 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후 다양한 실증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group counseling experience using the ImageTale app devel-oped as a counseling medium.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group counseling were 11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who first experienced ImageTale, with 2 men and 9 women. As for the research method, group counsel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6 sessions for 18 hours, and participants prepared a reflection journal after the session was over and a final report after the conclusion. A total of 7 reflection journals and the counseling process conducted in each session group were analyzed by contents analysis, one of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4 areas, 11 categories, and 29 contents were derived. Group participants started with curiosity when they first encountered the ImageTale app, and they experienced emotional changes, perceptions, and ex-pressions during image composition while exploring their inner selves. In addition, participants received help in terms of self-understanding, inner exploration, and emotion recognition rather than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interaction with others in group counseling classes using the ImageTale app.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ImageTale app as a counsel-ing medium, and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문학적 수행으로써 전능한 ‘주체-되기’는 가능한가? - 이상의 「12월 12일」ㆍ「운동」ㆍ〈삼차각설계도(三次角設計圖)〉 연작을 중심으로 -

        최서윤(Choi Seo-yo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이 글은 이상의 작품 세계를 ‘텍스트로서의 이상(李箱)’의 생성 과정으로 보고, 이를 고찰하기 위해 텍스트에 재현된 주체의 정립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상의 텍스트의 난해성은 그러한 과정을 입체적으로 분석했을때 새롭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텍스트적 주체는 분열된 주체인데, 그것은 ‘분신’으로서 나타난다. 하지만 분열된 구조를 선험적인 것으로서 인식한다면, 그러한 생성 과정을 고찰하기 어렵다. 이상의 텍스트적 주체는 전능한 주체로서 자신을 정립하고자 하지만, 그러한 기획이 달성 불가능함을 인식하고, 그러한 불가능성을 ‘결핍’으로서 인식한다. 분신은 그러한 결핍의 지대에서 생성된다. 첫번째 작업인 이글은 이상의 초기 텍스트인 「12월 12일」·「운동」·〈삼차각설계도(三次角設計圖)〉 연작을 자세히 읽어 텍스트의 내적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그러한 과정을 고찰했다. 「12월12일」에서는 자신을 전능한 주체로서 정립하려는 욕망이 나타난다. 그러한 욕망은 서문에서 ‘글쓰기’에 대한 욕망으로 표출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소설의 서사구조를 ×와 업의 갈등 및 그간 조명되지 않았던 ‘젖먹이’의 탄생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자기를 전능한 주체로 정립하려는 기획은 시「운동」과〈삼차각설계도〉 연작 「선에 관한 각서」에서 나타난다. 하지만 시적 주체는 자신이 전능성을‘결핍’한 존재이므로 그러한 자기정립이 불가능함을 인식한다. 그러한 결핍에 대한 인식은 분신의 생성을 낳는다. This paper tries to analyze Lee Sang’s early tex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embedded in his texts. His texts are notorious for their difficulty to be read for their readers, but the reason why his texts are such unreadable has not been fully expla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ew way to read his texts, this paper read his early texts through the lends of subject. In the face of the death, Lee Sang drove to construct himself as the person as omnipotent as God by writing the literary texts, only to find out his impossibility. Important to note here, however, his failure of becoming the aforementioned person lead to produce the other self. In this sense, the process of becoming the omnipotent being which led to prove the impossibility of subject presented in his texts embodies the cultural aporia what the intellectuals of colonial Chosun had, or more precisely suffered from.

      • KCI등재

        [서 평]후진성과 보편 수립의 불/가능성의 간극 : 박연희, 『제3세계의 기억: 민족문학론의 전후 인식과 세계 표상』, 소명출판, 2020

        최서윤 ( Choi¸ Seoyo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6 No.-

        2020년에 출간된 박연희의 『제3세계의 기억: 민족문학론의 전후 인식과 세계 표상』(소명출판, 2020)은 ‘제3세계’라는 학술 용어로 한국현대문학을 계보학적으로 (재)구성한 연구서이다. 저자는 박사논문 「한국 현대시의 형성과 자유주의 시학」(2012)에 담긴 문제의식을 심화시키며 그간 축적한 연구 성과를 이 책에 모았다. 『제3세계의 기억』 의 미덕은 인식의 틀(frame)을 국가 차원에서 세계적 차원으로 확장함으로써 전후 한국현대문학에 대한 폭넓고 새로운 논의가 두텁게 전개되었다는 점이다. 제3세계는 전후(戰後)에 탄생한 아시아 · 아프리카 · 라틴아메리카의 신생독립국을 평면적으로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그 국가들을 넘어서는 입체적인 언어이다. 제3세계의 역사적 배경은 냉전과 탈식민이었고, 핵심 정신은 반식민주의· 반제국주의였다. 그러나 신생독립국이었던 한국에서는 제3세계 국가로서의 자기 인식이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본격화된다. ‘후진성’과 ‘피식민국가’가 그러한 자기 인식에 필요충분조건으로 작동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은 『제3세계의 기억』을 읽어 그 필요충분조건이 ‘보편 수립의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임을 추적했다. 『The World Representation and Post-war perception in National Literature』 published in 2020 genealogically (re)constructed the Korean contemporary literary discourse with the academic term ‘Third World’. This book contained the accumul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the author performed after completing her doctoral dissertation in 2012. What this book is successfully achieved is that by expanding the frame of perception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global level, a wide and new discussion o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in the Cold War period has develop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hird World was the Cold War and post-colonialism, and the core spirit was anti-colonialism and antiimperialism. However, in Korea, which was a newly independent country after the Second World War, self-awareness as a Third World country was not fully developed until the 1970s. What is important to note here is that the ‘backwardness’ and ‘colonized state’ did not work a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such self-awarenes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examined that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was the recognition of the ‘im/possibility of establishment of the universal’ by reading the aforementioned book.

      • KCI등재
      • KCI등재

        Q 방법론을 활용한 대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인식유형연구

        최서윤(Choi Suh-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인식유형을 탐색하고자, 연구자가 출강하는 충남의 K 사립대 대학생 3학년 총 32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였다. 2017년 9월 27일부터 10월 11일까지 총 2주간에 걸쳐 Q소팅을 실시하였고, PC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안정적 직업가치 추구형’으로서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선호하였고, 제2유형은 ‘창의적 직업가치 추구형’으로 새로운 일을 추구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직업가치를 지니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유형은 ‘사회적 직업가치 추구형’으로서 사회적으로 보람되고 봉사를 하며 감동을 주는 가치를 지니고 있었고, 제4유형은 ‘관계지향적 직업가치 추구형’으로 직업선택에 있어 함께 일하는 동료들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주관적인 인식유형에 따른 직업상담 및 취업지도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perception of work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2 students in the field of privat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P samples and Q sorting was conducted. The analysis using PC QUANL program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 favored a stable career life as a stable career value pursuit type and the second type had creative career value pursuit type . The third type is societal job value pursuit type , the fourth type is relation - oriented job value pursuit type .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know subjectiv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each individual, and we hope to provide basic data of career counseling which can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university.

      • KCI등재

        예술 · 문학 분야의 자기계발을 돕는 생성형 AI 기반 롤플레잉 멘토링 서비스

        최서윤(Seo-Yoon Choi),정윤주(Yun-Ju Joung),김건동(Geon-Dong K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4

        The market for education platforms utilizing AI is growing rapidly. However,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platforms in art and literature, where the 2030 generation seeks mentoring.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proposes a generative AI-based role-playing mentoring service to assist in self-development in art and literature. In this study, eight cases of online and offline mentoring in art and literature are analyzed along with four cases of the use of generative AI in character reproduction. These role-playing methods are then categorized into 18 types and applied to the proposed solution. Then, user needs are identified via pre-pilot testing, minimum viable product testing with in-depth interviews, and a survey of 78 respon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ulti-gate Mixture of Experts model of generative AI is utilized to plan mentor matching, AI mentor customization, and role-playing mission generation algorithms. Finally, a service enabling self-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among users is proposed via a three-step role-playing mission prototype with five outcomes in art and literature.

      • KCI등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최서윤(Suhyo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한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은 어떠한가?’,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 기반 교육방안은 무엇인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상담사 발달과정의 공통점을 추출하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을 도식화한 후, 마지막으로 성찰 기반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첫째,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직에 대한 이해와 동기, 현장경험 및 실습, 현장 적응의 어려움, 개인의 경험과 전문직업인의 경험이 통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둘째,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 개인적 성찰 능력을 발휘하며 동료 상호작용, 수퍼비전 등의 노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으로 상담 교과의 교수목표와 학습목표 내에 전문직 정체성과 성찰학습 명시하기를 제안하였다. 결론 사회적 변화에 따른 상담사 역할을 재조명하고 한 사회의 정신건강을 책임지는 전문가로서 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실천적 성찰 기반의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사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교육목표와 학습목표를 명확히 하고 재구성하는데 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based on reflective practice. Specifical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occur in counseling? Second, what are the reflective practice-based educational approaches to formulating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n professional identity to identify its components, and extracted commonalities through studies on developmental experienc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was diagrammed, and educational approaches were proposed based on reflective practice. Results First, professional identity is formed by integrating understanding and motivation towards the profession, practical experience and train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field,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Secon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dividuals exhibit personal reflective abilities and make efforts such as peer interaction and supervision. Third, as an educational approach to forming professional identity, it is proposed to explicitly state professional identity and reflective learning within the teaching objectives and learning goals of counseling courses.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and reflectiv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in order to reassess the role of counselors and strengthen their abilities as experts responsible for the mental health of a societ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larifying and restructur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learning goals that solidify the identity of counselors.

      • KCI등재

        냉엄한 정신과 비명의 부인으로서의 침묵-한하운 시의 자기 인식을 중심으로-

        최서윤 ( Choi Seo-yo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2

        이 글에서는 한하운의 시와 산문을 자세히 읽어 텍스트에 드러난 자기 인식 구조의 특질을 밝혔다. 한하운의 텍스트에 나타난 자기 반영성의 문제를 모호성으로 조명함으로써 반공체제에서 이루어졌던 자기 검열, 억압의 문제가 무비판적으로 반영된 대표적 사례로서 한하운의 시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음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하운의 시 세계에서 ‘문둥이’인 화자는 죄인으로 나타난다. 시는 문둥이인 하운이 아닌 아름다운 존재인 시인 하운을 “고이 간직”할 수 있는, 보존할 수 있는 장소였다. 동시에 한하운은 ‘문둥이: 육체:추=시인: 영혼:미’로 도식화되는 이분법적 사고를 토대로 시로써 자신이 죄인임을 부인하였다. 보존은 자연에 편입되어 자연의 일부로 거듭남으로써 이루어진다. 자연이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x-ex-machina)의 기능을 수행하여 ‘문둥이’로서의 그는 부인되고, 그는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는 시인이 된다. 한하운은 ‘절대적인 것으로서의 시’라는 전제에 기초하여 시인의 임무를 정화로 선언한다. 그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비롯된 정화는 타인에 대한 차별적이고 폭력적인 인식을 수반한다. 하지만 잘 알려져 있듯이 당시 반공 체제에서 그러한 사고는 일반적인 것이었다. 즉, 자신의 문둥이로서의 추한 육체와 타인에 대한 초연한, 폭력적인 인식은 당대의 집단의식과 분리하여 볼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초연한, 고통에 대한 파토스적 호소가 부재한 시에서 한하운은 이율배반적으로 자신의 고통에 찬 비명이 침묵으로써 들리기를 갈망하였다. 그러므로 반공체제라는 역사적 조건, 육체에 대한 자기 비하적 인식, 타인에 대한 차별적이고 폭력적인 인식과 이율배반적으로 공존하는 비명의 부재로서의 침묵을 종합하였을 때 그의 시의 특질을 모호성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shed a light on the vagueness of the poetry of Han Hawoon thereby examining how the poet with Hansen's disease was welcomed the community politically, with a regard to the historical fact, the Cold War. The poetic self refers himself to the leper and the guilty only to deny his identity constructed from his own life, and thence the poetic self turns into the self as a part of nature at the cost of liberty. This is because that he wants to preserve his poetic self in nature. In turn, nature guarantees him to become a poet who enables to write the beautiful poem unlike his ugly body. Put another way, he sought to privilege his spirit over his sick body through his works. However, this thought on poetry in general was stemmed from his dichotomous thinking, black and white thinking which was also promoted by the anticommunist society. This dichotomous thinking is problematic because it evaluates people as the supreme or the lowes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Han Hawoon's poetry mirrors the way of thinking resulted from the anticommunism by employing the poetic language to conform to the literary custom at that time rather than to express his authentic self.

      • KCI등재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주제분석

        최서윤(Suh-Yoon CHOI)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3

        본 연구는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속 상담심리사 1급 자격을 지닌 상담자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주제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료 수퍼비전의 경험에 관한 6개의 핵심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확인되었다. 상담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을 통해 서로 다른 견해를 수용하고, 상담자의 어려움을 나누며, 다각적인 접근으로 문제를 바라볼 수 있었다. 상담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에서 ‘자기점검 및 성찰’, ‘편안하게 나누는 견해의 장’을 경험하고, 평가 부담에서 벗어나 사례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였다. 상담자들은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전문적 성장과 발달도 경험하였다. 반면에 상담자 견해 차이를 조율하거나 윤리적 문제 해결 등에서는 수퍼바이저가 없는 불안감을 보이며 어려움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지속적인 성장과 전문성 발달을 위한 동료 수퍼비전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unselor s perception of the peer supervision experience. To this e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5 counselors belonging to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Thematict analysis. The results were classified 6 topics and 19 subtopic topics on peer supervision experience. Through peer supervision, counselors were able to accept different views, share the difficulties of counselors, and look at the problem with a multifaceted approach. Counselors experienced self-inspection and reflection and a comfortable sharing of views . Counselors have also experienced professional growth and development, playing a role of supervisor and supervisee. On the other hand, counselors expressed anxiety without a supervisor when coordinating differences and solving ethic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peer supervision are dicussed.

      • KCI등재후보

        개인이용특성이 개인형 이동수단의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서윤 ( Choi Seo-yoon ),소재현 ( So Jaehyun ),배범규 ( Bae Beom-gyu ),김민영 ( Kim Min-young ) 한국도로교통공단 2022 교통안전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설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개인형 이동수단 이용자의 특성 및 선호도, 이용 시 안전성 등 각 특성에 따른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이용 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사항의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다중 선형 회귀분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 특성(성별, 연령, 거주 지역 등)과 개인형 이동수단 안전성, 이동성, 비용 합리성, 이용빈도 및 평균 이동거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형 이동수단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이동성, 비용합리성, 이용빈도의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동성에 대한 인식은 연령, 안전성, 비용합리성 변수가 높은 관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빈도의 경우 안전성, 개인형 이동수단 이용목적, 주 이용장소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a user’s personal mobility usage attributes on their recognition of their personal mobility in terms of means preference and safet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urvey data collected in cities in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We constructed a multilinear regression model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user usage attributes and their recognition of their personal mobil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is model included: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e., gender, age, residential area, etc.), movability, cost rationality, frequency of use, and average travel distance.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user’s perception of their personal mobility in terms of means preference and safety. We found that perceptions of personal mobility safety depends on movability, cost rationality, and frequency of use, and perceptions related to means preference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age, safety, and cost rationality. The perception of means safety, the purpose of the personal mobility use case, and the location of the majority of use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use frequ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