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종방향 보강재로 보강된 다각형 단면 기둥구조의 극한강도 해석

        최병호,박성미,황민오,Choi. Byung Ho,Park. Seong Mi,Hwang. Min Oh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1

        현재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원통형 쉘구조로 이루어진 타워구조의 대형화가 추진되면서 제작, 운반 편의성, 단면효율성, 경제성 제고를 위해 다각형단면 기둥구조물의 활용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다각형 단면 기둥구조의 극한강도에 대한 자료가 충분치 않고 관련 기준이나 지침이 명확히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쉘구조물을 다각형구조물로 대체하여 제작될 경우 축방향 압축에 대한 내하력 향상 효과를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해석모델은 지름 2m, 두께 20mm인 원형강관 프로토타입 풍력타워 구조를 참고로 하여 이에 내접하도록 결정한 6~12각형 단면 형상으로써 높이 10,000mm인 3차원 기둥모델을 구현하였고 유한요소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각 subpanel의 중앙에 종방향 보강재를 설치하였을 때 국부좌굴에 대한 내하력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종방향보강재로 보강한 모델을 구성하여 비교 해석을 수행하였다. 종방향 보강재의 제원은 미국 SSRC 제안식을 기준으로 삼았다. 탄성좌굴해석을 통해 탄성좌굴모드 형상을, 비선형비탄성해석을 통해 최종파괴모드 및 극한강도를 얻었다. 보강 전 후의 탄성좌굴 해석 결과로부터 최소모드의 고유치 값을 비교하였다. 각 subpanel 단면 중심부에 한 개의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 탄성좌굴강도가 4배 가량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보강재(n=1) 설치에 따라 유효 폭두께비가 1/2로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비선형해석결과로부터 subpanel의 단면중심에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 보강재가 위치한 곳에 고정점이 형성되어 이를 중심으로 국부 좌굴모드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다각형 단면 기둥구조의 내하력 성능, 즉 국부좌굴강도에 영향을 준다. 충분한 강성을 갖는 종방향 보강재가 설치된 경우, 극한상태에서도 유효폭두께비가 줄어드는 것과 같은 강도 향상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각 해석결과 극한강도를 DIN code, Migita와 Fukumoto의 제안식, SSRC 설계제안식 등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토사이동경로(土砂移動經路)

        최병호,Choi, Byung Ho 대한토목학회 198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 No.4

        황해(黃海) 및 동지나해(東支那海)의 비선형조석(非線形潮汐)모델을 이용(利用)하여 대륙붕상(大陸棚上)의 평균(平均), 최대해저마찰응력(最大海底摩擦應力) 및 평균(平均), 최대토사이동(最大土砂移動)포텐셜을 구(求)하였다. 모델로부터 산정(算定)된 평균(平均), 최대해저마찰응력(最大海底摩擦應力)의 분포(分布)와 토사이동경로(土砂移動經路)와의 연관성(聯關性)에 대(對)한 초기추정(初期推定)이 이루어졌다. A non-linear numerical tidal model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s used to derive the mean and maximum bed stress the mean and maximum transport potential on the continental shelf. It has provided a preliminary assessment of relation between sediment transport paths and the mean and maximum bed stress distribution determined from the numerical model.

      • KCI등재

        6각형 단면쉘 모듈러 풍력타워의 국부좌굴강도

        최병호,박성미,황민오,Choi. Byung Ho,Park. Seong Mi,Hwang. Min-Oh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1

        최근 풍력타워구조가 대형화 되어가면서 단면효율성을 높이고 제작, 운반, 가설 과정에서도 경제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모듈화된 다각형 쉘구조의 적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6각형 단면 쉘 기둥을 6개의 단위모듈부재로 구성하는 6-모듈방식과 이보다 규모가 큰 3개의 단위모듈부재로써 구성한 3-모듈방식 등 두 가지 모듈러 제작방식에 대해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신개념의 모듈화 제작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초기상태를 고려하여 6각형 단면 쉘 기둥의 국부좌굴강도를 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다각형 쉘 기둥의 서브패널과 유사한 평판구조의 국부좌굴강도를 제시하고 있는 DIN 및 AASHTO LRFD 설계기준 외에 기존 연구자들의 제안식들과 해석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다각형 단면 쉘 기둥구조의 국부좌굴강도 해석결과과 비교적 잘 부합되는 제안식이 파악되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시된 모듈러 방식 다각형 쉘 타워구조에 관한 국부좌굴 기준강도식이 온전히 정립되려면, 향후 초기불완전성 모형에 대한 실험적 평가가 보완되어야 한다. Since dimensions and height of wind-turbine towers keep growing, new modular construction methods using polygonal-section shell columns are strongly required in order to enhance the economical construction during fabrication, transportation and erection of those. This study examines the local buckling strength of newly proposed 3-module type and 6-module type hexagon-section shell towers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Initial imperfections due to newly proposed fabrication processes were considered for numerical evaluation of local buckling strenngth of hexagonal section modular towers. The strength equations suggested by AASHTO LRFD, DIN codes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tically evaluated strengths from this study. From the comparative study, it could be identified that design equations show statistically better correlation with the analysis results. Experimental studies to verify initial imperfections existed in the modular hexagonal-section shell towers are required for future study.

      • 전신마취 도중 유발된 아나필락시스 -증례보고-

        최병호,설성한,유재하,Choi, Byung-Ho,Sul, Sung-Han,Yoo, Jae-Ha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06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6 No.2

        Generalized anaphylaxis is a most dramatic and acutely life-threatening allergic reaction. Most fatalities from anaphylaxis occur within the first 30 minutes postantigenic exposure. The mechanism of generalized anaphylaxis is the reaction of IgE antibodies to an allergen that causes the release of histamine, bradykinin, and others. These chemical mediators cause the contraction of smooth muscles of the respiratory and intestinal tracts, as well as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Four major clinical symptoms are recognized: skin reactions, smooth muscle spasm (gastrointestinal and genitourinary tracts and respiratory smooth muscle), respiratory distress, and cardiovascular collapse. Epinephrine is the drug of choice for the management. Its syrnpathomimetic effects directly counteract most aspects of the attack. Respiration must be immediately supported by the establishment of a patent airway along with artificial ventilation. The circulation should be supported and the existing hypotension overcome by placing the victim in a position to allow gravity to aid venous return and by administering intravenous fluids, vasopressors, and corticosteroids. When an imperceptible pulse is evident, external cardiac compression must also be instituted. This is a case report of anaphylactic shock care during general anesthesia, possibly due to penicillin, pancuronium and others.

      • KCI등재

        둥근 모서리를 갖는 절곡 자유돌출판의 유효폭 분석

        최병호,조광일,김태봉,Choi, Byung Ho,Cho, Kwang Il,Kim, Tae Bong 한국강구조학회 2016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8 No.5

        본 논문은 절곡 제작된 U형 단면 거더의 상부플랜지를 구성하는 자유돌출판의 좌굴거동 특성에 논하고자 한다. 절곡된 판 부재는 둥근 모서리를 가지므로 단면의 유효폭-두께비가 불명확하고 이에 따라 공칭 압축강도를 산정하는 데 모호한 면이 있다. 냉간성형에 의해 둥근 모서리를 갖는 자유돌출판의 등가유효폭을 평가하기 위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절곡에 따른 재료특성과 기하하적 특성을 반영하였다. 본 변수 해석적 연구로부터 각진 모서리를 갖는 일반적인 자유돌출판의 좌굴강도와 비교 분석하여 등가유효폭-두께비를 추정하였다. 국내 설계기준의 공칭 좌굴강도식이 근거하고 있는 이론식과의 비교를 통해 기준공식의 적용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This study numerically investigates buckling behavior of press braked steel plates with a free edge that consists of the upper flange of U-shaped box girder. Since the press-braked plates include a rounded edge, the effective width to thickness ratio of the press-braked upper flange is obscure to determine the nominal compressive strength. This study performed 3D finite element analyses to evaluate an equivalent effective width of cold-formed plate with a free edge. Through the parametric numerical analyses, the elastic buckling stresses of the rounded corner plat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flat plates and then, the equivalent effective width has been estimated. A comparative study with Euler buckling formula speculated in the domestic design specifications has been conducted.

      • KCI등재

        조직공학용 사람 치조골세포의 인공증식

        최병호,박진형,허진영,유재하,Choi, Byung-Ho,Park, Jin-Hyoung,Huh, Jin-Young,Yoo, Jae-Ha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7 No.5

        Background: Autogenous alveolar bone cell transplantation may be suitable for tissue engineering for alveolar bone reconstruction. This study aimed to isolate human alveolar bone-derived cells (HABDCs) and to evaluate the ability of collagen gels to support HABDC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for human alveolar bone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Method: Cultures of primary HABDCs were established from alveolar bone chips obtained from 10 persons undergoing tooth extraction. These cells were expanded in vitro until passage 3 and used for the in vitro characterization of HABDCs and the in vitro analysis of collagen gels for alveolar bone tissue engineering. Results: Of the 10 attempts made to obtain HABDC cultures, eight were successful. HABDCs expressed the osteoblastic phenotype characterized by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and the mineralizat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in vitro. When seeded on collagen gels, HABDCs penetrated into the collagen gel matrices and proliferated inside the gels. Significantly, when HABDCs were embedded into the gels, collagen fibers and mineralization were produced within the gel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using cultured HABDCs and collagen gels for human alveolar bone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 KCI등재

        다단계 자중 프리플렉스 및 프리스트레싱 합성거더의 시공단계에 따른 휨성능 평가

        최병호,김태봉,박성균,Choi, Byung Ho,Kim, Tae Bong,Park, Sung Kyun 한국강구조학회 2017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9 No.4

        이 논문은 거푸집의 설치없이 간편하게 합성단면을 형성하고 다단계의 자중 프리플렉스 및 프리스트레싱을 비교적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합성거더 시스템의 휨성능에 관한 것이다. 시공단계를 고려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모형을 수립하고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강연선 긴장방법을 변수로 지정하여 합성거더 단면에 작용하는 선응력 분포와 강연선에 의해 도입되는 긴장효과를 수치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변수 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응력분포가 가장 유리한 해석모델의 제작과정을 표준제작단계로 선정하여 비선형비탄성 해석을 통해 극한휨강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국내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준강도와 비교 검토해보니, 적정 공칭내하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소요 안전율을 충분히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flexural performance of a composite girder system designed to readily form a composite section without a formwork and to easily realize multistage preflexing and prestressing. After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ing for construction stage analysis, the parametric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composite girder sections and the prestressing effects along with concrete pouring method and strand tensioning method. Based on the stress distribution analysis, a favorable construction stage model has been rationally chosen and then the ultimate flexural strengths were evaluate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which exceed the nominal flexural strength suggested by the current design specification(AS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composite girder and fabrication procedure should have a sufficient structural performance.

      • KCI우수등재

        3 차원수치(次元數値)모델을 이용(利用)한 동지군해(東支郡海)의 태풍해일(颱風海溢)의 산정(算定)

        최병호,Choi, Byung Ho 대한토목학회 198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 No.4

        황해(黃海) 및 동지나해(東支那海)의 동수역학적(動水力學的) 3차원수치(次元數値)모델이 이 해역(海域)의 조석(潮汐), 해일(海溢), 항류순환(恒流循環) 및 조경(潮境) 등(等)의 물리적과정(物理的過程)을 연구(硏究)하기 위해 개발(開發)되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동지군해(東支郡海)의 3 차원(次元)모델은 1978년(年) 하절(夏節)의 5 일간(日間), 태풍(颱風)(웬디호(號))에 의(依)해 야기(惹起)된 해일(海溢)에 의한 해류분포(海流分布)를 산정(算定)하는데 적용(適用)되었다. 산정(算定)된 황해(黃海)와 동지나해(東支那海)의 지역적(地域的) 수심별해류분포(水深別海流分布)가 제시(提示)되었으며 분석검통(分析檢討)되었다. 본(本) 연구(硏究)는 역학원리(力學原理)에 입각(立脚)한 동지군해(東支郡海)의 태풍해일(颱風海溢) 예보체계(豫報體系)의 수립(樹立) 위(爲)한 첫 시도(試圖)로서 수행(遂行)된 것이다.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numerical model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intermediate scale processes in the region.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three dimensional computation of the typhoon induced currents on the continental: shelf for a 5 days period in Summer, 1978. The circulation pattern showing depth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urrents over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s presented and analyzed. This initial study has been undertaken in association with the programme of establishment of real-time forecasting schemes based on dynamic principles.

      • KCI등재

        오디 괄약근 기능 이상으로 인한 소아의 재발 급성 췌장염 1예

        최병호,박선민,김호각,김정미,홍석진,김정옥,조민현,최병호,Choi, Byung-Ho,Park, Sun-Min,Kim, Ho-Gak,Kim, Jung-Mi,Hong, Suk-Jin,Kim, Jung-Ok,Cho, Min-Hyun,Choe, Byung-Ho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1 No.2

        저자 등은 원인이 확실하지 않았던 재발성 급성 췌장염의 14세 소아 환자에서 오디 괄약근 운동 검사로 오디 괄약근 운동 이상을 진단하고, 내시경 췌관 유두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Recent studies suggest that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SOD) is one of the possible causes of unexplained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in children. A 14-year-old boy who had suffered from idiopathic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was diagnosed with SOD. Abdominal ultrasonography, computeriz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revealed no evidence of stone, tumor, or pancreatic ductal anomal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nd sphincter of Oddi manometry (SOM) revealed elevated basal pressure and tachyoddia consistent with SOD. Hence, an endoscopic pancreatic sphincterotomy was performed.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associated with SOD in a child. ERCP and SOM may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multiple unexplained attacks of pancreatic pain and negative abdominal imaging.

      • KCI등재

        장골의 해면 입자골 또는 블럭골을 이용한 치조열의 재건에 관한 비교 연구

        최병호,이충국,민연숙,홍순재,Choi, Byung-Ho,Yi, Choong-Kook,Min, Yon-Sook,Hong, Soon-Xae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7 No.2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forms of iliac cancellous bone grafts better restore alveolar clefts. Study design : Forty consecutive patients who required a unilateral alveolar cleft graft were studied. Group I (20 patients) had reconstruction with iliac cancellous particulate bone grafts and group II (20 patients) had reconstruction with iliac cancellous block bone grafts.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radiographically and clinically. Results : The group with the block bone grafts showed less postoperative problems and better incorporation of the bone graft than the group with the particulate grafts. Conclusion : Surgical reconstruction of alveolar process defects in patients with alveolar cleft using iliac cancellous block bone is a more reliable method than particulate bone grafts both for closing the oronasal fistula and for building interalveolar septal h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