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작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 이론 수업사례연구 - <극작개론> 수업을 중심으로 -

        최민아 한국교육연극학회 2023 교육연극학 Vol.15 No.3

        It is essential for learners who want to be creative and opinionated playwriters who have practic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ntegrated and applied skills obtained from Flipped learning. Introduction of Playwriting class which uses Flipped learning, is planned pre-class learning contents, learner-centered activities, mini-lecture, discussion, and feedback. Specifically, as a bridge between on/off-line classes, learner-centered activities are mainly two parts; creative short-writing and analyzing practice using various dramas that help to understand class contents and improve practical ability as a creator. The result of this planned class showed tha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creased through pre-class learning content, which can easily access and revisiting online, and maneagible learning speed. Moreover, learners could get activeness and stability from pre-class. Through surveys, the learners also made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creation and critical thinking and realized class satisfaction to achieve various methods of learning; online lecture, analysis of dramas, practices of writing, and peer’s evaluation. 자기 주도적 학습 습관과 스스로 지식을 통합해보며 그것을 응용하여 적용하는 능력은 예술 분야에서자기 주도적 행위로 생각과 메시지를 구현시키는 창작자가 되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는 매우 필요한 능력이므로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단순한 교실에서의 이론 수업이 아닌, 플립러닝을 적용한 ‘극작개론’ 수업을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이는 온라인의 동영상 강의와 학습활동 과제, 오프라인의 미니강의와 토론, 학습활동 평가와 피드백으로 구성되었다. 특별히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수업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학습활동 과제는 창작을 해보는 ‘실습’이나 실제 작품의 예를 가지고 ‘분석’을 해보는 두 가지형태로 나뉘어 동영상 강의의 이해하여 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설문을 통해 알아본 수업의 성과로는 동영상 강의와 수업에서의 재방문과 스스로의 속도에 맞춘 학습등을 통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의 향상되었고, 사전학습의 설계가 학습자에게 능동적인자세와 안정감을 주었다. 이론과 적용, 창작, 토론 등의 다양한 과정을 통해 창의적 이해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의 향상되며 각각의 과정을 완수해가며 학습자들이 만족감을 느끼도록 하였다.

      • KCI등재후보

        20–30대 성인 아토피피부염 호전에 관련된 요인 분석: 2016–2018년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최민아,김민정,김석중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6

        Background: Research has reported that atopic dermatitis degrades the quality of lif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is study, therefore, explored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Methods: Three hundred and forty-eight adul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atopic dermatitis (recovery group, 146; atopic group, 202) in the Korean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Complex sample descriptive, crosstab, and logistic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in adult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characteristics, lifestyle, mental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Results: Among sever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age, sex, and marital status. When these factors were included ascovariates in logistic regression models, adult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recovery group if they thought positively about their health condition, iftheir stress recognition was low, and if they had enough sleep time during the week. Furthermore, adult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recoverygroup if they were engaged in high- and moderate-intensity activities at work and leisur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mental health, sufficient sleep time, and high- and middle-intensity activities are important factors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e expect that these findings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young working adults who suffer from atopic dermatitis. 연구배경: 아토피피부염은 사회초년생에 해당하는 20–30대 성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30대 성인 아토피피부염 호전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30대 성인 중 아토피피부염에 관해 의사 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는 348명(호전군: 146명, 비호전군: 20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성인 아토피피부염 호전과 관련된 요인을 사회인구학적 요인, 생활습관및 정신건강, 신체활동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복합표본 기술 통계,교차 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연령, 성별, 결혼 여부가 성인 아토피피부염 호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연령, 성별, 결혼 여부를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 스트레스 인지율이 낮은 경우, 주중 수면 시간이 많은 경우 아토피피부염 호전군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일이나 여가 활동에서 중/고강도 신체활동을 한 경우 아토피피부염 호전군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20–30대 성인에게 긍정적 정신건강, 충분한 수면, 중/고강도 신체활동이 아토피피부염 호전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아토피피부염으로 고통받는 사회초년생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효과

        최민아,한유진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12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7 No.1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on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ity targeting 3-5years old (Korean age) general young children. The present study is nondirective and nonstructural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and is different from preceded directive and structural group play therapy program. Ultimately eight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of four children with considering their gender and age. The child- centered group play therapy was performed for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15 sessions in total.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significantly changed overall self-esteem and subordinate factors which were cognitive ability, physical ability, peer acception and mother acception. Second,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overall sociality and autonomy area. Third, during the process of sessions,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showed positive change in behaviors that indicated self-esteem and sociality.

      • KCI등재

        사례 분석을 통한 생태 중심 미술교육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 개발 : 상생의 공동체로의 확장을 중심으로

        최민아,이선혜 한국미술교육학회 2024 美術敎育論叢 Vol.38 No.2

        본 연구는 기후와 생태 환경 변화,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생태 교육의 범위를 자연 생태뿐만 아니라 사회 생태로 확장하여 미술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태 중심 미술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생태교육의 확장을 위해 ‘생태미술마을 프로젝트’, ‘마을 중심의 대안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연 생태와 단절된 각 지역사회 속에서도 생태 중심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협력적 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생태 중심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 생태의 개념을 결합하여 마을에 주목하고 생태의 의미를 사회 생태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생을 위한 공동체적 가치 함양에 기여하는 미술교육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ecological education to not only natural ecology but also social ecology according to changes in climate, ecological environment, and population structure, and to propose an ecology-centered art education plan that can be used in art education fields. In order to expand ecological education, we analyze cases of the 'Ecological Art Village Project' and 'Village-centered alternative education', and through this, we suggest a new direction in which eco-centered art education can be achieved even in each community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natural ecology, and cooperate.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co-centered art education that can foster communicative and community competencies. This study combined the concepts of community and ecology to focus on villages and expand the meaning of ecology to social ecology.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sought ar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ontribute to cultivating community values ​​for coexistence.

      • KCI등재

        黃連解毒湯 외용제를 적용한 국내 치험례 고찰

        최민아,김규석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22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35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view study is to identify clinical indications of Hwangryunhaedok-tang(HHT) external appli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reatment by analyzing domestic cases applying HHT external treatment except for pharmacopuncture research. Methods : We searched 235 studies published in Korean since 2000 from four domestic database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OASI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KTKP),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s(KISS) using keywords such as 'HTT and external use', 'HHT and external agent' 'HHT and wet dressing', or 'HHT and case'. We excluded duplicate papers, papers related to acupuncture including pharmacopuncture, or papers not related to the topic. Results : We selected and analyzed seven case reports. HHT external agent was used alone in one case, as main treatment in two cases, and as adjuvant treatment in four cases. HHT external application was applied to various skin diseases accompanied by inflammation mainly in the form of wet dressings. Conclusion : HHT external agent may be effective on various skin diseases accompanied by inflammation when appli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ag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stage. Based on this result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establish the primary clinical indication of HHT external agent.

      • KCI등재

        서울지역 대학생 및 졸업생이 인식하는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전공변경 의도 및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관계

        최민아,김지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의 최초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이후 전공 변경 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추가로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시 거주 남녀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총 설문지 310부 중 응답 누락이 있거나 동일 응답을 반복하는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하고 299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은 전공 만족, 전공 몰입, 전공 변경 의도에 유의미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공 선택 결정 요인으로서 개인적 요인이나 장래성 요인이 높아질수록 불필요하고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긍정적 심리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전공 만족과 전공 몰입은 전공 변경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과전공 변경 의도 사이에서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궁극적으로 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효과와 연관됨을 추론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실제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공에 대한 만족 및 몰입 수준을 높이고 전공변경 의도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핵심 변수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전공 및 진로, 미래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학술적시사점이 있다. 둘째, 최근 대학입학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우수 인재 유치 전략의 필요성과 대학 경쟁력 및 경제성 제고를 위해소속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실무적 정책 수립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에 의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민아,서미아 한국가족치료학회 2023 가족과 가족치료 Vol.31 No.4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양가성에 의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6과 PROCESS macro 4.0을 통해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및 매개 효과,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 Boostraping을 통해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완벽주의, 정서표현양가성,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는 변인 간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부의 심리적 통제가 모의 심리적 통제와는 달리 직․간접 영향력이 모두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의 심리적 통제보다 높은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양가성에 의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추가분석을 통해 정서표현양가성의 하위요인인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의 하위요인인 독심술과 조절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이성 관계의 어려움을 돕기 위한 상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unrealistic expectations among romantic relationship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f major variables applying SPSS 26 and PROCESS macro 4.0, and a boosting algorithm was employed to verify significance. Results: The influence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unrealistic expect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on maladaptive perfectionism were confirmed.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relational ambivalence lowers mind reading among unrealistic expectations in romantic relationships. Therefore, it suggests that if you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expressing emotions through counseling, you can help restor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form healthy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