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詩經』의 관계 맺기를 통한 인간성 회복

        최미라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shī jīng』(『詩經』) have known as that erased not required a letter or phrase by Confucius. Confucian studies was dé(德) and xiū shēn(修身). Dé(德) and xiū shēn(修身) culture exert strong force to preserve human nature. but, human is easy to lose human nature from phenomenon that oneself is placed. Confucius discovered that is clear that find human nature losing from authors of 『shī jīng』(『詩經』). Because Confucius accepted their conception. Recovery of human nature is finding of relation. Relation is meaning that is life and exists. Also, life is process that constantly move in relation. Is been in confusion and quarrel and isolation that is continued if do not understand this. Being of relation is ‘Dependence’, ‘Desire to possess’. Irrespective the times, wrong relation makes isolation and discord status. All this isolation and discord occur in self. Need creative destruction through thinking if wish to escape isolation and discord status. The authors of 『shī jīng』(『詩經』) Psalms that final announcement is quoted in body be phenomenon and being that establish conversion of conception and relation of new angle with reconsideration about way, creative destroyer, and sees as rule of Chaos Maker. Conscious is action that do to touches sense experiencing by unconscious again and does exercise. yuàn tiān(怨天) that can see from poem of 『shī jīng』(『詩經』) can say as result of sense that unconscious experiences. Poem diversifies object and makes flower by authors or changes time, or is consciousness as all awake adaptation to circumstances. Confucius brought tiān(天) human inside. So, invents dé(德) and growed xiū shēn(修身) with anxietyConfucius embraced it ‘form a relation’ through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destruction authors of 『shī jīng』(『詩經』) had done. 『詩經』은 孔子가 刪削했다고 알려져 있다. 공자는 德과 修身을 학업으로 삼았는데 德과 修身은 人間性을 유지하는데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그러나 인간은 자신이 처한 현상 때문에 人間性을 상실하기 쉽다. 상실한 人間性을 찾기 위한 역력함을 『詩經』의 作者들에게서 발견한 것이 孔子이다. 孔子는 이들의 발상을 수용했기 때문이다. 人間性의 회복은 관계의 발견이다. 관계란 곧 삶이며, 존재한다는 뜻이다. 또한 삶이란 관계 안에서 끊임없이 움직이는 과정인데, 이해하지 못하면 계속된 혼란과 다툼과 고립 속에 있게 된다. 관계의 본질은 ‘의존’이나 ‘소유욕’이다. 시대불문하고 잘못된 관계는 고립과 갈등상태에 빠지게 한다. 이런 고립과 갈등은 모두 自我에서 생긴 것이다. 고립과 갈등상태를 벗어나고자 한다면 사유를 통한 창조적 파괴가 필요하다. 본고는 본문에 인용된 『詩經』 시편들의 作者들을 현상과 방법에 대한 재고를 바탕으로 발상의 전환과 새로운 시각의 관계를 설정하는 존재, 창조적 파괴자(Creative Destroyer)이며, 카오스메이커(Chaos Maker)의 典範으로 본다. 意識이란 무의식으로 체험한 감각을 다시 건드려 운동시키는 행위인데 『詩經』의 詩에 나타나는 怨天 또한 무의식이 체험한 감각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詩는 作者에 의해 사물을 다변화 하여 꽃을 만든다든지, 시간을 변화시킨다든지 해서, 모든 깨어있는 응변으로서 의식이다. 孔子는 天을 인간 내면으로 끌어들여 德을 창출하고 근심을 修身으로 발전시킨다. 孔子가 『詩經』의 作者들이 행한 창조적 발상과 창조적 파괴를 통해 ‘관계 맺기’를 수용한 결과이다.

      • KCI등재

        『詩經』에 나타난 행복구가와 인간성 회복

        최미라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s of singing happiness shown in poems of the Classic of Poetry(詩經) and the linkage thereof with the restoration of humanity. People sing songs when they are happy. They frank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philosophies – whether they are praises or criticisms – through songs. Confucius referred to this expression as “having no depraved thoughts(思無邪).” Anyhow, poetry restores humanity. The first collection of poetry, the Classic of Poetry, contains poems that sing happiness. This is the effort to restore humanity. The commonality and reality of Confucius’s life are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humanity. Inspirations or revelations that Confucius received 2500 years ago are the results of his sense of mission to practice self discipline and to restore morality to his identity that was increasingly separated from his true self. In the Analects, Confucius explains about benevolence(仁) as the way of restoring humanity, because, for him, benevolence was the prerequisite to singing happiness and self discipline to restore humanity. Many poems based on such benevolence can be easily found in the Classic of Poetry. The Analects quoted the Classic of Poetry eight times. Mencius sought the restoration of humanity from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Mencius also quoted the Classic of Poetry 37 times, which means that he acknowledged the latter. This suggests that both Confucius and Mencius acknowledged the Classic of Poetry as the prerequisite to the restoration of humanity, and that poems singing happiness are based on benevolence and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Great Learning(大學) and Doctrine of the Mean(中庸) quoted the Classic of Poetry 12 and 16 times, respectively. Great Learning argues that humanity cannot be restored by the person’s self discipline alone, but needs to be further refined. Sincerity(誠意) and right mind(正心) which are to discipline oneself and respect others, self-discipline(修身) and governing home(齊家) which are to practice self discipline and comfort others(治國), are ruling the state and pacifying the world(平天下) are the pursuit of singing happiness. This further expands into the restoration of humanity. Modern people should think of the meaning of singing happiness shown in poems of the Classic of Poetry in order to acknowledge the structure of restoring humanity. 본고는 『詩經』의 詩들에서 행복구가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인간성 회복과 연결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람은 행복하면 노래를 한다. 노래에 자신의 생각과 철학을 칭송이든 비판이든 솔직하게 담는다. 孔子는 이를 思無邪라고 했다. 하여튼 詩는 인간성을 회복한다. 최초의 시문집인 『詩經』에는 행복구가를 위한 詩들이 있다. 이것은 인간성 회복의 모습이다. 孔子 생애의 평범성과 현실성은 인간성 회복과 관계가 있다. 2500년 전 孔子에게 주어진 영감이나 계시는 자기 수양과 점점 더 분열되는 정체성에 도덕심을 회복시키겠다는 사명의식의 결과물이다. 『論語』에서 孔子는 인간성 회복으로서의 仁을 설명하고 있다. 孔子에게 仁은 행복구가의 전제였고 인간성 회복을 위한 修養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仁을 바탕으로 한 시들을 『詩經』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論語』에는 『詩經』이 8번 인용된다. 孟子는 인간성 회복을 仁義에서 찾았다. 孟子에서도 『詩經』은 37번이나 인용된다. 인용했다는 것은 인정한다는 전제이다. 결국 孔子와 孟子는 『詩經』을 인간성 회복의 전제로서 인정했다는 것이고 행복구가의 詩들은 仁과 仁義의 바탕이라고 설명된다. 『大學』에서 12번, 『中庸』에서 16번 『詩經』을 인용한다. 『大學』에서 인간성 회복은 인격주체의 자기 수양, 그 자체로만 완결되지 않고, 더 정교화 된다. 몸을 닦아 공경하는 誠意와 正心, 몸을 닦아 사람을 편안하게 하는 修身과 齊家, 백성을 편안하게 만드는 治國과 平天下가 곧 ‘행복구가’이며 ‘인간성 회복’으로 확장된다. 현대인들은 이러한 ‘인간성 회복’의 구조를 인정하려면 『詩經』의 詩들을 통한 ‘행복구가’의 의미를 생각하여야 한다.

      • KCI등재

        무선 이동 환경을 위한 개선된 TFRC 혼잡제어 메커니즘

        최미라,이미정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29 No.2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TCP 응용프로그램과 공존할 수 있는 혼잡제어 메커니즘으로 TFRC(TCP-Friendly Rate Control)가 제안되었는데, TFRC는 TCP 트래픽과 전송 대역폭을 공정하게 공유한다는 기본 특성을 지닌다[1-3]. 그런데, 실험을 통해 살펴본 결과 TFRC 혼잡제어 메커니즘이 무선 이동 환경에 적용될 경우에는 이동호스트가 핸드오프를 거듭할수록 처리율 및 공정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이동 환경에서의 TFRC 성능 향상을 위해 TFRC가 핸드오프 시 발생한 패킷 손실을 처리하는 방안과 핸드오프 직후 구동하는 혼잡제어 방식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연속적인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무선 이동 환경에서 제안하는 방안이 기존 TFRC에 비해 더 높은 처리율을 유지할 수 있고 공정성도 향상시킴을 볼 수 있었다. TFRC(TCP-Friendly Rate Control) is proposed to satisfy the demands of multimedia applications while being reasonably fair when competing for bandwidth with TCP flows[1-3]. However, TFRC has a shortcoming that the fairness and throughput are degraded when the mobile host using TFRC experiences handoffs.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trol mechanism based on TFRC, which deals with the congestion caused by handoffs as well as the losses caused during the handoff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mechanism achieves better throughput and fairness compared to TFRC for repeated handof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