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양성 기반의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플랫폼

        최경란(Choi, Kyung R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0 No.-

        최근 미래 사회의 창조적 인재를 양성해야할 한국의 디자인 교육의 발전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지원 및 육성전략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동양성 기반의 새로운 디자인 교육 플랫폼을 제안한다. 창의적 인재 양성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인재상을 양성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교육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교육의 방향전환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제시하고, 그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연구의 배경 및 범위에 관해 기술하였다. 문헌조사와 한국디자인 교육의 위기의 현황을 (한국 산업 통계 조사)를 기초로 현재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둘째, 정보화 시대에 사라지게 될 교육 및 디자인 교육방향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에 관해 기술하였다. 현재는 지식기반 산업 성장전략을 우선시하는 전략으로 변화됨을 기술하였다. 셋째, 6가지 미래 인재의 조건과 아시아적 사고와 가치지향으로 바뀌는 상황에서 미래 디자인 교육이 동양성 기반의 창의력이 중심이 되어야 하고, 그를 위해서 어떠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지를 서술하였다. 대학의 교육의 방향과 프로그램의 구성안을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함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기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디자인 클러스터의 네트워크를 통한 실천방향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최근 동양성 기반의 정신을 중심으로 한국 디자인 교육의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고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확보방안은 네트워크의 통합적인 시스템 혁신이다. 디자인 클러스터, 대학, 디자이너, 스튜디오, 정책 기관, 디자인 단체, 기업, 미디어, 페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교육시스템 및 실천적 방법을 제시한다. As the recognition toward the Korean design education development to nurture creative talents for the future society has been expanded recently, various supports and promoting strategies are being suggested. This study suggests the orientalism-based new design education platform in design education field to nurture creative talents. To have the competitiveness of creative talent nurturing, the system and education programs to rear creative talent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w platform for the change of direction in design education and search for the methods in detail. The research process can be described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stated about the research background and its boundar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condition of the crisis of Korean design education (Korean Industrial Statistic Investigation), it described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stated about the education which will be disappear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change of direction in design education, and the new platform. In the current study, the change toward the strategies that give priority to the growth strategies on the knowledge-based industry was stated. Third, this study stated about that the future design education should be centered on the orientalism-based creativity in the trend changing to the six conditions for the future talents and the beliefs and values toward Asia, and what methods should be sought to achieve this trend. It suggested focusing on the aim for the direction for College education and its program curriculums as the solutions in detail. Fourth, based on the contents stated earlier in this study, it stated synthetically the direction of practice through the network of the design cluster and derived the implications.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cent orientalism-based mind, this study suggested the ways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 design education itself and have the competitiveness in design education programs. The ways to secure them is to come from the integrated system innovation of the network. By actively applying the design clusters, colleges and universities, designers, studios, government policy organizations, design institutes, corporates, media, and fairs, this study suggests the sustainable education system and the practical methods.

      •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관련변인

        최경란(Kyoung-Ran Choi),김경신(Kyeong-Shin Kim)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6 生活科學硏究 Vol.16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middle aged women’s crisis-consciousness and the related variable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crisis-consciousness and each variables and to find the influences of variables on it. This study was analysed through the sample of 346 middle aged women who are between 40-60 years old living in Daeje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e means of crisis-consciousness were higher than medium level and related variables were comparatively below median level. The scores of crisis-consciousnes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family income and religion especially. Also its were affected by self-esteem, marital satisfaction and aging preparations. So, personal, marital and social support system must be cooperated for improving of wellbeing of middle aged women.

      • KCI등재

        초보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

        최경란(Kyungran Choi),오정희(Junghee Oh),홍지영(Jiyoung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들이 상담과정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J지역과 D지역 소재의 상담관련 대학원 재학이상, 3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초보상담자 12명을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개의 영역, 19개의 범주, 5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결과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내담자 보호’(범주: 내담자 보호의 어려움 등), ‘사전 동의’(범주: 내담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사전 동의 받는지 의문이 듦 등), ‘비밀보장’(범주: 초보상담자로서 불안을 감소시키려는 욕구와 비밀보장이 갈등됨 등), ‘상담기록물 관리’(범주: 기록물 관리가 비밀보장을 어렵게 할까 우려됨 등), ‘상담자 전문역량’(범주: 전문역량이 부족하나 성장하고자 사례를 진행하며 갈등함 등), ‘상담자 보호’(범주: 위기사례에서 상담자가 보호받지 못함 등), ‘상담자의 자격관리’(범주: 수련기관과 프로그램을 신뢰할 수 없음 등), ‘수퍼비전 관계’(범주: 다중관계로 상담에서 힘듦을 말하지 못함 등), ‘운영기관과의 관계’(범주: 기관방침과 내담자 복지가 상충됨 등) 영역이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보상담자의 상담과정에서 경험되는 다양한 윤리적 이슈를 밝히고, 이러한 이슈에 내적논쟁을 심화하거나 완화하는 환경적 요인을 탐색적으로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초보상담자의 적응과 윤리적 발달을 위한 제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ethical issues experienced by novice counselor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Methods For this study, 12 novice counselors with 3 years or less of counselling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experience in J and D regions were interviewed with three focus groups and analyzed the data. Results From the results analyzed, 9 areas, 19 categories, and 52 concepts were derived. The main concepts are ‘Client protection’ (category: Difficulty relating to client protection, etc.), ‘Informed consent’ (category: Doubt about whether client was given enough explanation before informed consent, etc.), and ‘Confidentiality’ (category: Dilemma between desire to relieve anxiety as a novice counselor and concern of confidentiality, etc.), ‘Management of counseling records’ (Category: Worries if client confidentiality would be in crisis because of the management of consult records, etc.), ‘Expert competency of counselors’ (category: Conflict between recognition of incompetence and desire of self-improvement, etc.), ‘Counselor protection’ (category: Difficulty in counselor protection in critical situations, etc.), ‘Qualification management of counselors’ (category: Mistrust in training institutions and training programs, etc.), ‘Relationship in supervision’ (category: Difficulty in discussing hardships in counseling due to multipl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etc.), and ‘Relationships in operating institutions’ (Category: Conflict between institutions’ policies and welfare of client, etc.) were extract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adaptation and ethical development of novice counselors were discussed among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전라지역 정자건축의 배치 및 평면 유형 특징에 관한 연구

        최경란(Kyung-Ran Choi),김상협(Sang-Hyup Kim),조윤성(Yun-Seong Cho)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1 No.2

        우리나라 전통건축 중 궁궐이나 주택, 사찰, 서원 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이에 반해 정자에 관한 연구는 저조한 편이다. 정자는 앞에서 언급한 건축물들에 비해 실제 생활의 공간으로 쓰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연과 함께 하는 삶 그리고 휴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면서, 정자에 대한 관심도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정자건축은 그 입지 및 배치가 매우 중요하다. 정자 자체만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어우러지는 건축물이기 때문이다. 고로 정자의 구성 및 평면이 개방되어 있는 정도에 따라서 주변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조건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정자의 활용도가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지역 정자건축의 배치 유형을 분류하여 특징을 알아보고, 배치에 따라 평면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한다. 또한 전라지역 정자건축의 평면 유형이 시대별로 변화해 온 과정 및 정자 내 공간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Research for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Palace, House, Buddhist temple is gone vigorously. But, research about Jeong-Ja is less. Jeong-Ja is less case used by actuality life-space comparing to other architecture. But, as interest about a rest which partake with nature rises, interest about Jeong-Ja is increasing slowly. The position of Jeong-Ja architecur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architecture that join with nature. Condition that can see surrounding scenery according to Jeong-Ja’s organization and plan’s open is become different, and practical use degree of correct characters can change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searches feature sorting Jeong-Ja of Jeonra district’s position type hereupon, and grasp whether some connection is to position type and plan type. Also, search process that Jeong-Ja of Jeonra district’s plan type changes by age about my space use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