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산분해효소 첨가에 따른 1주령 육계의 맹장 내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채한화,최현지,홍의철,차지혜,임다정,박원철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6

        육계 사료 내 영양성분(조단백질, 인산분해효소)의 과잉 공급은 사료효율을 감소시키고 분뇨 내 질소와 인의배설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환경부하가 증가된다. 육계의 성장단계에 적합한 사료원료의 함량으로 영양소 이용률을높여 질소와 인의 배설로 인한 환경부하를 줄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주령 육계 36수를 대상으로사료 내 조단백질과 인산분해효소 첨가에 따라 유의미한 차등발현 유전자의 발현양상과 반응경로를 분석하였다. 이는전사체(RNA-seq, edge-R) 및 기능적 연구로 분석 되었다. 그 결과, 1주령 육계의 맹장에서 사료 내 인산분해효소의첨가량(1,000ppm에서 500ppm)이 감소함에 따라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131개 차등발현 유전자를 발굴하였다. 이 차등발현 유전자는 인산가수분해반응의 역반응인 인산화효소에 의해 활성화된 1) 단백질 자가인산화, 2) 산화적인산화 반응 등으로 ATP 에너지 생성과 관련 기능을 한다. 또한, 인산화효소에 의한 단당류(과당이나 만노스)의 인산화를 통해포도당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1주령 육계의 사료 내 인산분해효소 첨가수준에 따라 에너지 대사 기능이 어떻게 조절되고 영양분 사용이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것이다.

      • KCI등재

        피코나바이러스와 숙주세포 내 유입 수용체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구조 및 기능적 이해

        채한화,임다정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7

        Picornaviruses are a large family of small non-enveloped (+)single-stranded RNA viruses which cause a wide range of diseases in humans and animals. However, many of these viruses are not susceptible to currently available antivirals. We, therefore, review capsid proteins as suitable targets for genetic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inhibitors that can interfere with the picornavirus entry receptors in host cells. Host factors that are critical to the viral uncoating process may also form excellent targets for the inhibition of picornavirus replication. This review also sought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of picornavirus-host receptors (such as their entry, attachment, and decoy receptors). This would provide improved insights for formulating strategies to develop new inhibitors that block these viral invasions. Researchers should consider strategies such as antiviral agent combinations to regulate virus structural stability, for example, by capsid engineering for improved vaccines, and to neutralize viral infections, for example, by the use of receptor mimics. Additionally, combining viral inhibitors with different functional mechanisms and resistant profiles can create synergistic antiviral effects by 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existing antiviral agents. Last, the peptide-based antiviral strategy should be explored either as an alternative or as a complementary therapy with antiviral small molecules to improve antiviral potency and increase the resistance barriers of the inhibitors. 피코르나바이러스는 감염에 대한 치료를 위해 사용 가능한 항바이러스제가 없는 다양한 병원체를 포함하고 있는 매우 큰 바이러스과이다. 피코르나바이러스는 인간과 척추동물에서 질병을 유발하는 작고 외피가 없는 양성 단일가락의 RNA 바이러스이다. 그래서 우리는 피코르나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숙주세포 내 유입 수용체를 방해할 수 있는 저해제를 개발하는 데 적합한 표적으로 리뷰하였다. 또한, 피코르나바이러스의 탈외피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숙주 인자들도 피코르나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기 위한 좋은 표적이다. 이 리뷰에서 피코르나바이러스-숙주 수용체(이입, 부착, 그리고 유인 수용체)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는 바이러스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새로운 저해제의 개발 전략에 개선된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자들은 백신을 개선하기 위해 캡시드 공학기술로 바이러스의 구조 안정성을 조절하는 것과 수용체 모방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중화하는 데에 항바이러스제제 조합을 고려해야한다. 추가적으로, 다른 작용기전과 저항 프로파일을 가진 바이러스 억제제의 조합은 기존의 항바이러스제제의 물리적 성질을 변형함으로써 항바이러스 시너지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펩타이드 기반 항바이러스 전략은 항바이러스 잠재성 개선과 저해제의 저항 장벽을 높이기 위해 작은 항바이러스 분자의 대안 또는 보조물질로 탐색하는 것이다.

      • KCI등재

        약물 유사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성질 기반 다양성 평가

        채한화,박원철,임다정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6

        약물 유사 화합물은 동일한 목표단백질에 작용한다는 가정 하에서 특정 약물과 유사한 구조와 물리화학적 특성을가진 화합물을 말한다. 이때 약물 유사성은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독성과 관련된 몇 가지 분자 매개변수(물용해도, 옥탄올-물 분배계수, 극성표면적, 회전결합수 등)에 의해 정의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Pubchem BioAssays에등록된 11,144개 화합물에 대해 약물유사성, 물리화학적 성질과 구조에 대한 유사성을 평가하기 위해 약물 유사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성질 기반 다양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Pubchem 데이터베이스 내 11,144개 화합물의 2D-구조로부터 물리화학적 성질과 ADMET 분자표현자를 계산했다. 이를 통해 화합물의 약물 가능성(QED score, Lipinski and Veber et al)을 측정하였고, 물리화학적 특성과 분자구조 다양성을 기반으로 약물 유사도를 평가하여 우선순위를결정하였다. 사례 연구로, 표적단백질에 대한 정보 없이 항녹내장제 유효화합물(AL-3750A, 세로토닌 5HT2 수용체 조절)과 유사한 물리화학적 성질 및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발굴하였다. 상위 5%내 유사한 화합물들 중에서 구조유사성을가진 화합물들은 세로토닌을 포함한 멜라토닌의 생성과 분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에, 물리화학적 성질이 유사한화합물들은 다른 구조와 기능을 가졌다. 결과적으로, 약물 유사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성질 기반 다양성 평가는 화합물을군집으로 분류하는 데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조의 선도물질을 발굴 및 최적화 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베이지안 모델 기반 약물유사 화합물의 간 독성 예측

        채한화(Han-Ha Chai),박원철(Wonchoul Park),진영배(Yeoung Bae Jin),임다정(Dajeong L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1

        Predicting hepatotoxicit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safety-related evaluations of drug-like compounds. Hepatotoxicity is related to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ug-like compounds, especially their structural aler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Bayesian model to predict the hepatotoxicities of 498 drug-like compounds based on their quantitative structure-toxicity relationships (QSAR). The devised model predicted the hepatotoxicity of these compounds using 25 structural descriptors (such as the ECFP6 fingerprint) and provided a sensitivity, specificity, and concordance of 97.2%, 86.9%, and 90.6%, respectively. The model also successfully classified the 498 drug-like compounds by hepatotoxicity. In addition, TOPKAT<SUP>@</SUP> toxicity models were used to predict hepatotoxic effects related to toxicological endpoints (i.e., LD50, LOAEL) and liver injury-related potentials, such as Ames mutagenicity, carcinogenicity in male and female mice, and developmental toxicity potentials. Our results indicate that combined use of the devised Bayesian hepatotoxicity prediction model and the TOPKAT<SUP>@</SUP> hepatotoxicity model could replace experimental safety assessments of drug-like compounds. Accordingly, adopting the devised Bayesian toxicity model would reduce the time and cost of animal-based toxicity research by considering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andidate compounds.

      • KCI등재

        다양한 종에서 하우스키핑 유전자 선택의 중요성

        채한화(Han-Ha Chai),노윤정(Yun Jeong Noh),노희종(Hee-Jong Roh),임다정(Dajeong L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하우스키핑 유전자는 에너지생성, 물질합성, 세포사멸 및 세포방어 등과 같은 세포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모든 유기체의 세포에서 발현된다. 세포의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때문에 발현 수준이 상대적으로 일정하여 단백질 발현 및 목적 유전자의 mRNA 발현 분석 등과 같은 유전자 발현 연구에서 기준 유전자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조직과 세포마다 다를 수 있으며, 특정 환경 하에서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우스키핑 유전자의 발현 안정성을 탐색하여 유전자 발현 연구에서 최적의 기준 유전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리뷰는 문헌을 통해 인간, 닭, 돼지 그리고 쥐에서 발견된 하우스키핑 유전자를 요약하고, geNorm, NormFinder 그리고 BestKeeper 소프트웨어를 통해 발현 안정성을 추정하였다. 하우스키핑 유전자의 발현 안정성에 대한 탐색은 유전자 발현 연구에서 실험 조건에 따라 가장 적합한 기준 유전자를 선별할 수 있고, 데이터의 정규화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Housekeeping genes are expressed in cells of all organisms and perform basic cellular functions such as energy generation, substance synthesis, cell death, and cell defense. Accordingly, the expression levels of housekeeping genes are relatively constant, and thus they are used as reference genes in gene expression studies, such as protein expression and mRNA expression analysis of target genes. However, the levels of expression of these genes may be different among various tissues or cells and may change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best reference gene for specific gene expression research by exploring the stability of housekeeping gene expression. This review summarizes housekeeping genes found in humans, chickens, pigs, and rats in the literature and estimates expression stability using geNorm, NormFinder, and BestKeeper software. The most suitable reference housekeeping gene can selected based on expression stability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the gene expression study and can thus be applied to data normalization.

      • KCI등재

        T-세포 항원 수용체 매개 신호전달 조절자로서 돼지 CD45RO 구조특성

        채한화(Han-Ha Chai),임다정(Dajeong L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백혈구 공통 항원인 돼지 CD45는 PTPRC 유전자에 암호화 되어 있으며, CD45엑손의 선택적 스플라이싱에 따라 다른 T-세포에서 발현되는 티로신 인산분해효소이다. CD45는 기질인 TCR의 CD3ζ 사슬, Lck, Fyn, Zap-70 kinase의 인산화된 티로신에서 인산을 분해하여 T-세포 항원 수용체(TCR) 매개 신호전달을 조절한다. CD45의 조절이상은 많은 면역 질환과 관련이 있어서, CD45는 면역약물 개발에 표적이 되어왔다. TCR 신호전달의 조절효과를 가진 주요 구조적 특징을 특성화하기 위해, 사람의 알려진 CD45 구조를 템플릿으로 적용하여 돼지 CD45RO(가장 작은 CD45 isoform)의 단백질 구조와 예측된 돼지 CD45RO 모델구조에 CD3ζ 사슬의 ITAM(REEpYDV)를 도킹하여 CD45RO/ITAM 펩타이드 결합구조를 예측하였다. 돼지 CD45RO의 구조적 특징은 세포외영역의 구조견고성과 세포질내 티로신 인산분해효소 도메인의 KNRY와 PTP signature 기능모티프(두 기능 모티프는 ITAM 펩타이드 결합부위의 좁은 입구로 역할)에 있었다. 주요 구조특성은 돼지 CD45RO-ITAM 펩타이드 결합구조 안정성과 결합친화력을 조절하면서 기질 선택성에 영향을 준다. 돼지 CD45RO의 구조적 특성은 T-세포에 특이적인 면역 조절제를 탐색하는 데에 적용될 것이다. Pig CD45, the leukocyte common antigen, is encoded by the PTPRC gene and CD45 is a T cell-type specific tyrosine phosphatase with alternative splicing of its exons. The CD45 is a coordinated regulator of T cell antigen receptor (TCR) signal transduction achieved by dephosphorylating the phosphotyrosine of its substances, including CD3ζ chain of TCR, Lck, Fyn, and Zap-70 kinase. A dysregulation of CD45 is associated with a multitude of immune disease and has been a target for immuno-drug discovery. To characterize its key structural features with the effects of regulating TCR signaling, this study predicted the unknown structure of pig CD45RO (the smallest isoform) and the complex structure bound to the ITAM (REEpYDV) of CD3ζ chain via homology modeling and docking the peptide, based on the known human CD45 structures. These features were integrated into the structural plasticity of extracellular domains and functional KNRY and PTP signature motifs (the role of a narrow entrance into ITAM binding site) of the tyrosine phosphatase domains in a cytoplasmic region from pig CD45RO. This contributes to the selective recognition of phosphotyrosine from its substrates by adjust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binding affinity of the complex. The characterized features of pigCD45RO can be applied in virtual screening of the T-cell specific immunomodulator.

      • KCI등재
      • KCI등재

        긴꼬리닭의 깃털조직에 대한 차등 메탈화 영역 유전자 연구

        최현지,채한화,임다정,박원철,박종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6

        To identify the regulatory factors of gene expression for the breed-specific phenotype of long-tailed chicken, we focused on whole genome DNA methylation. The differential methylated regions (DMR) containing methylated CpG sites have an important effect on disease progression compared to single CpG sites. In this study, the DNA data of the tissues of long-tailed fowls were used. These were mapped to the reference sequence of chicken using the sequence analysis software Bowtie2. The genome-wide DNA methylation profiling was carried out through the MEDIPS package. Accordingly, the CpG counts of the entire chromosome were identified and the DMR genes related to the tongue-to-feather trait (logFC>0 and p-value<0.01) were selected based on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function of the DMR gene was identified by gene ontology and the results were visualized as a circos plot. Thus, DNA methylation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CpG region. The DMR genes of the chest feather, tail feather, and tibialis posterior feather were confirmed to be numbers 48, 6 and 472,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Wnt-signaling pathway was activated in the tissue of the tibialis posterior feather, where the highest number of genes were found in the DMR. It thus appears that the epigenetic aspect of the specific traits of long-tailed males such as tail feathers and molting can be interpreted better through genome-wide DNA methylation. 긴꼬리닭의 품종 특이 표현형에 대한 유전자 발현의 조절인자를 구명하기 위해서, 전장 유전체에서 DNA-메틸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메틸화된 CpG 부위를 포함하는 차등 메틸화 영역(DMR)은 단일 CpG 부위와 비교하여 질병 진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긴꼬리닭 수컷의 조직샘플에서 생산한 DNA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틸화 분석을 수행했다. Bowtie2를 이용하여 참조서열에 맵핑하였다. MEDIPS 패키지를 통해 전장유전체에서 DNA 메틸화 분석을 했다. 이를 통해 전체 염색체의 구역별 CpG 수를 확인했고 통계적인 유의 기준으로(logFC > 0 및 p-value < 0.01) 혀 대비 깃털 조직 관련 DMR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DMR 유전자들은 유전자 온톨로지(GO) 분석을 통해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Circos plot을 사용해 연구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결과적으로 DNA 메틸화 분석을 통해 조직별 CpG 영역을 확인하였고 가슴 깃, 꽁지깃, 꽁지 부근 깃에서 각각 48개, 6개, 472개 DMR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특히 가장 많은 수의 차등 메틸화 영역 유전자가 나온 꽁지 부근 깃털 조직에서 Wnt-신호전달 경로가 활성화됐다. 긴꼬리닭 수컷의 특이적인 형질인 꽁지깃 및 환우에 대하여 후성 유전학적 측면의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sthole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from Hanwoo (Bos taurus coreanae)

        김승창,이승환,채한화,김의형,정기용,장선식,최봉환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9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6 No.3

        Due to the ban on the use of antibiotics, interest has been increas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agents to treat various diseases using natural resources. Osthole, a natural coumarin compound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exerts an anti-inflammatory effect, but its effects in cows remain unknown.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sthole on lipopolysaccharide (LPS)- or concanavalin-A (Con-A)- stimulate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was assessed. Jugular venous blood was collected from Korean calves, and PBMCs were isolated. They were then used to study the immune response of PBMCs to treatment with osthole and LPS or Con-A for 72 h by measuring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interferon-γ (IFN-γ). Osthol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mRNA secretion of TNF-α and IFN-γ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osthole inhibited LPS- or Con-A- induced TNF-α and Con-A-induced IFN-γ production significantly in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clearly suggest that osthole inhibited the LPS- or Con-A- stimulated up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causing obvious cytotoxic effects. Osthole could also protect cows from LPS- or Con-A- induced endotoxin shock, possibly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hich suggests that osthole might be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the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한우와 칡소의 선발신호 분석을 통한 한우의 인위적 선발 영역 탐색

        임다정,이승환,최봉환,채한화,손주환,유다영,김태헌,강희설,조용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6

        Korean cattle (Hanwoo)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f breeds according to their color, brown, brindle and black. Among the three breeds, the brown Hanwoo has been subjected to intensive artificial selection over the past seventy years to improve meat production traits such as carcass weight and marbling. In this study, three methods (Rsb, iHS and FST) were applied to identify genomic regions of artificial selection for traits in Hanwoo. To identify traces driven by the artificial selection process called the Hanwoo breeding program, we scanned the genome of set of brown and brindle Hanwoo using 50K SNP Chip. As a result, we identified 41, 23 and 50 highly homozygous regions that seem to be very strong and/or recent artificial selections in brown Hanwoo compared to the brindle Hanwoo from Rsb, iHS and FST, respectively. To go further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observed signatures of selection, we subsequently performed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using candidate genes. As a result, candidate genes have enriched GO terms such as muscle development or immune response. Artificial selection might have targeted most of these genes was mainly oriented towards improvement of meat production in brown Hanwoo. 우리나라 고유 품종인 한우는 표현형 중 외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한우라 불리는 황갈색 한우, 칡소, 흑우로 구분되어 있다. 한우 집단 중, 황갈색 한우만이 육질, 육량 형질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개량프로그램에 의해 개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황갈색 한우와 칡소의 50K 고밀도 칩을 활용하여 선발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세 가지 분석법(Rsb, iHS, FST)에 따라 인위적 선발에 의해 진화적으로 선택된 유전체 영역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Rsb, iHS, FST 분석법에 따라 각각 41개, 23개, 50개의 후보유전체 영역이 칡소와 비교하였을 때 황갈색 한우에서 유의적으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후보 유전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군을 대상으로 유전자 기능에 대한 주석 달기를 진행하였을 때, 근육 발달, 면역 반응 등의 기능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영역들이 진화적 관점에서 황갈색 한우의 적응과정에 있어서 육질 등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였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