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문학교육에서 내면화 활동의 개선 방향 - 2015 개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진솔 ( Jin¸ Sol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3

        본고는 초등 문학교육에서 다뤄지는 내면화의 의미를 고찰하고 내면화 활동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살폈으며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문학교육에서 학습자는 작품 속 가치를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서 수용하기보다는, 능동적인 태도로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가치를 내면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면화는 비판과 상상의 작용을 통한 반성 작용으로서 의미화할 수 있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실제 2015 개정 국어 교과서에는 내면화를 위한 활동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한 내면화 활동의 개선 방향은 첫째, 문학 작품에 기반한 독자 경험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물의 말과 행동을 유기적으로 연결 지어 종합적 맥락을 파악해야 한다. 셋째, 서사적 상상력을 발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적극적 표현 활동이 가치의 내면화를 위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internalization in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education, critically examines the aspects of internalization activitie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literary education, learners need to actively internalize values through interaction with works in an active attitude, rather than accepting the values in works as already existing ones. Therefore, internalization can be understood as a reflection action through the action of criticism and imaginatio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 examined how the activities for internalization were implemented in the actual 2015 revised Korean textbook. To improve the internalization activity based on thi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reader's experience based on literary works.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connect the word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s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xt. Third, it is necessary to express narrative imagination. In this regard, active expression activities of learners are necessary for internalization of values.

      • KCI등재

        문학교육의 ‘경험’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진솔(Jin, Sol)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본 연구는 피상적이고 일회적인 독자의 경험을 다루는 문학수업에 문제의식을 지닌다. 문학교육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는 ‘교육적 경험’이란 일차적 경험에 의미를 더하고 다음 경험의 방향을 결정할 능력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고에서 초점을 맞추는 교육적 경험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은 학습자와 환경 간 상호작용의 산물이고 이는 문학교육에서 궁극적인 목표이자 방법이 된다. 둘째,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교육 요소가 되고, 현재의 경험이 미래 교육에 활용될 수 있기에 경험은 유기적이며 계속적으로 일어난다. 셋째, 교육적 경험은 독자의 반성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한 결과, 교육과 정에서 추상적인 경험 용어의 사용, 교과서에서 초점화하지 못한 일차적 경험 바탕의 교육 전개, 동기유발 중심의 단편적 활동 및 발문 제시의 한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 방안으로 ‘작품 주제와 관련된 나의 경험 초점화’, ‘동일한 사건에 대한 작중인물과 나의 경험 비교’, ‘경험에 기반한 작품 감상 후 가치 내면화’를 제안한다. This study is problematic for literature classes dealing with superficial and one-time reader experiences.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at needs to be addressed in literature education is to add meaning to the first experience and increase the ability to decide the direction of the next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focused on in this study include: First, experience is the product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environment, which becomes the ultimate goal and method in literature education. Second, experience is organic and continuous because past experience becomes an element of education for the present, and current experience can be used for future education. Third, educational experience requires reflective thinking of the reader.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revealed the limitations of abstract experience terms in the curriculum, first experience-based educational development, motivation-oriented fragmentary activities, and presentation. To improve this, I propose “focusing my experience related to the theme of the work,” “comparing my experience with the same person on the same event,” and “internalizing the value after appreciating the work based on experience.”

      • SCIESCOPUSKCI등재

        In Situ Preparation of Gel Polymer Electrolytes for WO₃/NiO Electrochromic Devices

        Jin-Sol Ra(라진솔),Seog-Jin Jeon(전석진) 한국고분자학회 2024 폴리머 Vol.48 No.3

        최근 전기변색소자의 스마트 아이웨어 등으로의 응용에 의해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보다 높아지고 있다. 고분자 젤 전해질은 누액의 위험이 적어서 안전하고,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어 스마트 아이웨어의 응용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PEGMEMA) 모노머와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가교제 기반의 전해질 전구체를 WO₃ 층과 NiO 층의 사이에서 in situ 경화하여 ECD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ECD의 광학밀도와 반응속도 등 전기변색특성과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PEGMEMA와 PEGDMA의 비율이 10:1 일 때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보다 높거나 낮은 비율에서는 저조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가교제의 함량에 의한 네트워크의 조밀함이 가교의 효율성 및 이온의 이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고분자 젤 전해질의 in situ 형성에서 가교제 함량 최적화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Recently, with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electrochromic devices (ECDs) to smart eyewear, the demand for safety in ECDs has increased. Gel polymer electrolytes (GPEs) have less risk of leakage and high ionic conductivity, making them suitable for smart eyewear. In this study, ECD was fabricated by in situ curing an electrolyte precursor based on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PEGMEMA) monomer and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cross-linker between WO₃ and NiO electrochromic layers.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ECDs, optical density and response time, and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tended to improve when the ratio of PEGMEMA to PEGDMA was 10:1 but showed degraded properties at higher or lower ratios. The result can be understood because the density of the network due to the cross-linker content affects the cross-linking efficiency and the movement of ions and suggests the need for optimizing the cross-linker content for the in situ preparation of GPEs.

      • 자아내면을 표현한 도자 조형 연구; 얼굴 표현을 중심으로

        진솔(Choi, jin-sol), 박재연(Park, jea-yean) 조선대학교 조형미술연구소 2014 조형미술논문집 Vol.14 No.1

        지금 현대사회에는 자아 상실시대이다. 스스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자기도 모르게 당연한 것처럼 다른 사람과 비슷하게 살아가고 있는 본인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자아의 소중함과 진정한 자기 자신을 알고자 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사회 구조속의 생활로 인해, 자기의 본질 적인 문제가 우선시 되는 것이 아니라 ,구조속의 자기 모습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모습을 많이 보여 주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논의 하고자 한다. 이러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타자와의 소통으로부터 자신의 존재를 인식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 진정한 자신의 모습으로 삶을 영위해야 한다. 얼굴은 감정이 외부로 노출되는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며, 인간 삶의 표상이자 변화의 상징이 함축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현대사회 속에서 겪는 여러 갈등으로 인해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자아의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자아개념과 정체성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특징에 나타난 사회문제들을 통해 자아상실의 원인을 찾아보고 자아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자아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고자 한다. 자아의 개념을 다루고, 자기 내면을 성찰하기 위해 자아내면을 얼굴의 이미지를 매치 시켜 활용하였으며, 거울지를 이용하여 자아를 바라보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속 파기를 이용하여 작품제작 하였고, 내 안의 있는 자아 모습을 통한 조형으로 표현함으로써 작품 속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고, 내 안의 내면과 자기 모습을 알아가는 것을 의식의 중요성을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Keywords : 자아내면, 얼굴표현, 도자조형, 속 파기 inner self, expression face, molding, Dig-up Technique

      •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 및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진솔(Jin-sol Park),문소영(Soyoung Moon)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2022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 및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있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시의 S양로시설에 거주 중인 양로시설 노인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J시의 C와 S양로시설에 거주 중인 양로시설 노인 10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 시행 전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및 우울감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실험집단에게는 2017년 2월13일부터 2017년 3월 31일까지 주 2회 각 50분씩 총 14회기 진행하였다.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 후, 두 집단의 주관적 행복감 및 우울감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하위영역인 내적 행복, 외적 행복, 자기조절행복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우울감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및 우울감에 효과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및우울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더불어 구조화된 악기연주활동이 양로시설 노인뿐만 아니라 요양시설 노인, 허약 노인 및 치매 노인에게까지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있음에 의의를 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on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happiness an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care.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elderly people from S residential care in city “J,” and the control group had 10 elderly people from C, S residential care in city “J.” Before implementing the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the subjects were pre-tested to obtain measures of their subjective happiness and depression leve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14 sessions, 50 minutes each,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13 to March 31, 2017. After these sessions, post-tests were conducted to both groups to track any changes in the participants’ subjective happiness and depression levels.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First,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elderly people in residential care. Also, the data also showed that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nts’ inner happiness, external happiness, and self-control happiness. Second,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in residential care. By proving that this study wor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program can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elderly residents’ subjective happiness and depression. Also, the study suggests that structured instrument-playing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for not only the elderly in residential care but also to nursing home elderly, frail and dementia elderly.

      • KCI등재

        사운드 디자인을 K위한 -POP 음악의 Wave-U-Net 및 주파수 분석을 통한 자동 Bass line 표기

        진솔(Choi, Jin Sol),김경철(Kim, Kyoung Chul),손채봉(Sohn, Chae-Bo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3

        최근의 K-POP 음악은 멜로디 라인도 중요하지만 곡을 구성하는 사운드를 어떻게 디자인 하는지가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자동으로 mixture audio에서 원하는 오디오를 분리해 내고, 작곡도 스스로 하는 등 음악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K-POP 음악 혹은 전자음악의 특징인 다양한 사운드소스가 섞인 음원을 각각의 사운드소 스로 분리하는 것에 특화되어있는 Wave-U-Net을 활용하여 특정 악기를 분리한다. 여기서 특정 악기는 본 논문에서 베이스에 초점을 둔다. 다른 악기에 비해서 두드러지게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베이스 특성 을 이용하여 Wave-U-Net을 통해 학습되어 임의의 곡에서 추출된 베이스 사운드소스 주파수 값을 Mel-spectrogram을 통해 분석하고, 곡의 코드 진행을 자동으로 분석해 주기 위한 실험을 진행한다. 베이 스 악기의 주파수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Low pass, Bass boost, Low pass + Bass boost 3가지 방식을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비교하고, 각 방법으로 분석한 베이스 라인의 정확도를 분석하여 이를 원본 음원으로부터 추출한 베이스 라인과 비교하여 최적의 방법을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본 실험을 진행하 며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In recent K-POP music, the melody line is important, but also how to design the sound that composes the song becomes an important factor. There are many various active research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usic field, such as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desired audio from the mixture audio and composing music by themselves. In this paper, we use ‘Wave-U-Net’, which specializes in separating sound sources containing various sound source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K-POP music or Electronic music, which are popular all over the world. The particular instrument here focuses on the ‘Bass’. We train Wave-U-Net using bass characteristics that have significantly low frequency band than other instruments. And we analyzes the bass frequency values from random songs using Mel-Spectrogram. Lastly, we experiment to automatically analyze the chord progression of the random song.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bass instruments, experiments are conducted by comparing three methods ‘Low Pass’, ‘Bass Boost’ and ‘Low Pass + Bass Boost’ and we select the best model.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we propose ideas that can be applied.

      • Monte-Carlo Simulation 을 이용한 Grade 91 강의 크리프 균열 성장속도의 확률적 예측

        진솔(Jin-Sol Park),김우곤(Woo-Gon Kim),박재영(Jae-Young Park),김선진(Seon-Jin Kim),김응선(Eung-Seon Kim) 대한기계학회 201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7 No.11

        This paper focused on a statistical analysis for evaluating creep crack growth rate (CCGR) of Grade 91 steel which is used in Gen-IV nuclear reactors. A series of CCG data was obtained from CCG tests conducted using 1/2” compact tension (CT) specimens under various applied loads at 600℃. The CCGR was statistically analyzed in terms of the empirical equation between the CCG rate (da/dt) and C* parameter. Three methods such as the least square fitting method (LSFM), the mean value method (MVM), and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 method (PDM) were compared u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da/dt and C* parameter, which were obtained using the Monte Carlo Simulation (MCS) technique under various load conditions.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edicted data followed the LSFM distribution well. The CCGR of Grade 91 steel could be successfully estimated in the viewpoints of probability.

      • KCI등재

        SiC/Al<sub>2</sub>O<sub>3</sub>/Vinyl-Ester 복합재료의 강화재 입자가 기계적 특성 및 파괴거동에 미치는 영향

        김다진솔 ( Da Jin Sol Kim ),윤유성 ( Yu Seong Yun ),권오헌 ( Oh Heon Kwon ) 한국안전학회 2017 한국안전학회지 Vol.32 No.3

        Particle reinforced composites are materials that have enhanced physical properties by adding particle reinforcements to polymer materials and have been applied to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the aerospace, bio-technology and automative industry. In this study, particle reinforced composites were prepared by mixing SiC/Al<sub>2</sub>O<sub>3</sub> to the vinyl ester as the thermoset re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echanical properties and fracture behavior by the tensile test and single edge notch specimen according to the addition ratio of reinforcement. Addition of 1 and 2 wt% of the particle reinforcement to the vinyl-ester resin was effective for the strength improvement. However, when it was more than 3 wt%, its strength was decreased. Also the highest elastic modulus obtained as 3.19 GPa was found at the 2 wt% addition of reinforcement. Futhermore the fracture toughness was evaluated by the energy release rate and the maximum critical energy release rate was obtained when 1 wt% reinforc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limit of adding of SiC/Al<sub>2</sub>O<sub>3</sub> for improvement of the mechanical and fracture performance is 2 wt% reinforcement particles.

      • 자존감을 통한 자아변화의 표현연구; 판 성형 기법을 이용

        진솔 Choi, jin-sol, 박재연 Park, jea-yean 조선대학교 조형미술연구소 2013 조형미술논문집 Vol.13 No.2

        이 시대에는 자아가 매우 필요한 시기 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소중함을 잘 모르는 시기이고, 스스로 자괴감에 빠지게 되는 사례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자아의 소중함 이라든지 자기의 안 좋은 습관을 버리고 다시 변화 하고픈 사람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자존감에 대한 정의를 내린 후, 자아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고, 변화 하는 삶의 기쁨을 알려주고자 하여 자아 변화를 통해 깎여가는 이미지를 작품의 소재로 활용하였으며, 판 작업을 이용하여 그 형태의 모습을 표현 하고자 하였다. 내안의 있는 자아변화를 통한 자존감을 조형으로 표현함으로써 작품 속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고, 내안의 자존감과 변화하고자 하는 것을 의식함에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Keywords : 자아변화, 자존감, 판 성형, 조형 Self-change, self-esteem, Ceramic Slab-building, mol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