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경 나사 고정술용 강봉의 굽힘 강도

        석세일,김진혁,이상민,정의룡,진건형,조성태,이성재,김봉주,이지호,손홍문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2

        연구목적 : 척추경 나사 고정술시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강봉으 굽힘 강도를 알아 보고 척추 변형의 수술적 치료시 가장 효과적인 강봉의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척추경 나사 고정술시 사용되는 4 종의 강봉(① 강봉직경 7mm,316L stainless steel ② 강봉직경 6mm,Titanium alloy ③ 강봉직경 6.35mm,Titanium ④ 강봉직경 5.5mm, Titanium)과 형상기억효과를 갖고 있는 Mi-Ti재질의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으로서 형상기억효과를 나타내는 matensite온도 이후의 강봉 2종(⑤ 강봉직경 6mm, SMA after martensite temperature ⑥ 강봉직경 7mm, SMA after martensite temperature) 에 대하여 굽힘 강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강봉 8개에 대하여 MTS 858 Bionix test system을 사용하여 ASTM 규정에 맞추어 굽힘 강도와 굽힘에 대한 Young's modulus of elasticity를 구하였다. 결 과 : 굽힘 강도와 굽힘에 대한 Young's modulus of elasticity는 모두 7mm stainless steel 강봉이 가장 크고 (143.7±3.8 N/mm 및 135.1±3.0 GPa), 6mm SMA after martensite temperature 강봉이 가장 작았다(58.1±2.8 N/mm 및 68.0±2.1GPa). 7mm SMA after martensite temperature 강봉의 경우 7mm stainless steel 강봉 보다는 작지만 ,6.35mm titanium 및 6mm titanium alloy 강봉과 비슷한 굽힘 강도 및 Young's modulus of elasticity 를 보여 주었다. 결 론 : 7mm stainless steel 강봉이 가장 큰 굽힘 강도를 보여 척추 변형의 척추경 나ㅏ 기기술기 교정 정도 및 교정 소실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강봉의 강도가 강할수록 다른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기에 측만증의 수술적 교정시 강봉의 선택은 만곡의 유연성을 포함한 시술 대상의 측만 변형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한 후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7mm SMA 강봉의 경우 기존의 titanium 재질의 강봉과 유사한 굽힘 강도를 보이기에, 굽힘강도가 약한 6mm 형상기억합금에 비해 척추 변형의 수술적 교정시 보다 유용할 수 있다. Purpose : To measure bending stiffness of rod in pedicle screw systems and identify the optimal rod for surgical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ies. Materials and Methods : Bending stiffness of six different rods-7 mm stainless steeL 6 mm titanium alloy, 6.35 mm titanium, 5.5 mm titanium, 6 mm Shape Memory Alloy after martensite temperature, 7 mm Shape Memory Alloy after martensite temperature-were measured by MTS 858 Bionix test system according to the ASTM standards. The specimen number was 8 for each rod. Young's modulus of elasticity was calculated from load-displacement data. Results : Seven-mm stainless steel rod was stiffer than any other rods with bending stiffness of 143.7 ±3.8 N/mm, and also showed largest Young's modulus of elasticity of 135.1±3.o GPa. Six-mm Shape Memory Alloy rod after martensite temperature was most flexible with bending stiffness of 58.1±2.8 N/mm, and showed smallest Young's modulus of elasticity of 68.o:t 2.1 GPa Seven-mm Shape Memory Alloy rod after martensite temperature was similar to the 6.35 mm titanium and 6 mm titanium alloy rod in bending stiffness and Young's modulus of elasticity. Conclusion : Seven-mm stainless steel rod was the stiffest rod tested, which is necessary to improve correction rate and maintain achieved correction. However, the rod selection should be individulized since stiffer rod might increase the chance of acute failure. Seven-mm Shape Memory Alloy could be more useful in deformity correction than 6 mm Shape Memory Alloy since it was not only similar to other rods in stiffness but also had shape memory function which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desired position of the spine.

      • KCI등재

        흉부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에서 상부만곡 유합의 적응증 : 분절 기기를 이용한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에서 이중 흉부만곡의 인지와 치료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Double Thoracic Curve Pattern in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Treated with Segmental Instrumentation

        석세일,김진혁,김원중,이상민,이지호,김우일,황훈,진건형 대한척추외과학회 199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6 No.3

        서론 : 이중 흉추 만곡을 갖는 특발성 척추측만증에서 상부 흉추 만곡에 대한 유합술의 적응증은 아직까지 명백하지 않으며, 상부 흉추 만곡을 간과할 경우 술후 대상 부전 또는 어깨 높이의 차이가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연구목적 : 본 논문은 후향적 연구로, 특발성 척추측만증에서 상부 흉추 만곡의 유합술에 대한 적응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분절 척추경 나사 고정술 및 반회전술(derotation)로 치료한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 중 하부 흉추 만곡 40도이상, 상부 흉추 25도 이상인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중 18명은 상,하부 흉추 만곡 모두 유합하였으며(제 1군), 22명은 하부 흉추 만곡의 각도 및 교정도와 양측 어깨높이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 제 1군에서는 상부 흉추 만곡은 술전 45±9도에서 술후 21±11도로 55.2±17.7%교정되었으며, 하부 흉추 만곡은 술전 55±10도에서 술후 20±10도로 교정되었다. 어깨높이 차이는 술전 -6±12㎜에서 술후 1±9㎜로 개선되었다. 제 2군에서는 상부 흉추 만곡은 술전 32.5도에서 술후 도로 18±6%교정되었으며, 하부 흉추 만곡은 술전 58±10도에서 술후 18±6도로 교정되었다. 어깨 높이의 차이는 제 1군에서는 술전 어깨높이 차이x0.6+12㎜이었다. 결론 : 상부 흉추 만곡이 25도 이상인 특발성 흉추 척추만증에서 술전 좌측 어깨높이가 우측보다 비슷하거나 높을 경우 상하부 만곡 모두 유합하여야 술후 어깨높이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indications of fusing the proximal thoracic curve when treating an idiopathic thoracic scoliosis with segmental instrumentation. Summary of background data : Failure to recognize a significant proximal thoracic curve often results in postoperative shoulder asymmetry due to relative overcorrection of the lower thoracic curve. With segmental instrumentation that enhances the correction of the instrumented curve, the double thoracic curve pattern that needs fusion of both the proximal and the distal thoracic curves needs to be redefined. Materials and methods : Forty thoracic AIS patients with a right lower thoracic curve >40 and a left proximal thoracic curve >25 treated by segmental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were analyzed after a minimum follow up of 2 years. Results : Of the 40 patients. 18 were treated by fusion of both the proximal and the distal curves while 22 were treated by fusion of the distal curve only. The postoperative shoulder height difference(SHD.㎜) was 0.9 x preoperative SHD(㎜) + 5.3 for the both curve fusion and 0.6 x preoperative SHD(㎜) + 12 for the distal curve fusion(linear regression), showing that proximal thoracic curve fusion improved the SHD when the left shoulder was level with or higher than the right. Conclusions : An idiopathic thoracic scoliosis with a proximal thoracic curve>25 and level or elevated left shoulder should be considered a double thoracic curve pattern and treated by both the proximal and the distal curve fusion when using a segmental instru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