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을공동체 교육운영에 관한 개선방향 탐색: 여성마을활동가의 경험을 중심으로

        지희숙,김미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마을공동체 교육에 참여한 여성마을활동가의 경험을 토대로 교육운영 개선 방향을 탐색함으로써 마을활동가 교육지원 정책의 방향성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마을활동가 아카데미에 참여한 경력 여성마을활동가 30명 대상의 심층 면담과 문헌조사를 통해 자료를 생성하고 분석했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 여성마을활동가들은 ‘동 단위 마을공동체 교육운영 체계 구축’과 ‘마을공동체 교육 경험이 마을 활동과 일로 연계되는 체계적인 주민성장 설계’를 원했으며, ‘삶터 기반의 마을공동체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역량 강화’를 제시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 활동의 핵심 주체로 등장한 경력 여성마을활동가의 현장 경험을 토대로 도출된 결과라는 점에서 주민참여 기반의 다양한 지역재생 정책에서 여성활동가 육성과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농촌지역 평생교육활성화를 위한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분석

        지희숙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is study analyzed the roles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who are active in rural areas of Eup and Myeon units and for this, it selected the Didimdol area of Choongnam as its research subject area and analyzed data collected through literary analysis, personal interviews,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 Lifelong learning managers in the Didimdol area were shown to survey and utilize area resources, survey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conditions, discover resident learning centers, provide learning counseling in communities, survey resident education demands, develop, manage, and evaluate resident education programs, organize and support community learning clubs, establish Eup and Myeon lifelong learning cooperation systems, discover and utilize community education activists, create a culture of care in community lifelong learning, and improve problems of community lifelong learning sites. These signify roles of community unit lifelong learning educators as educational mediators who connect area-based lifelong learning centers, Eup and Myeon community residents, and community- based lifelong learning manager support policies are needed for the vitalization of lifelong learning in rural areas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농촌 읍・면 단위에서 활동하는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충남 디딤돌지역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문헌분석, 개인 면담,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디딤돌지역의 평생학습매니저는 지역 자원 조사 및 활용, 마을 평생교육실태 조사, 주민학습장 발굴, 마을로 찾아가는 학습상담, 주민 교육요구 조사, 주민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평가, 마을 학습동아리 조직과 지원, ・면 평생교육협력체계 구축, 마을 교육활동가 발굴과 활용, 돌봄의 마을 평생학습문화 조성, 지역 평생교육현장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지역 거점 평생교육센터와 읍・면 마을 주민을 연결하는 교육매개자로서 마을 단위 평생교육사의 역할을 의미하며, 고령농촌지역의 평생교육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 기반의 평생학습매니저 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물수지와 에너지수지 해석에 따른 수문기상성분 평가

        지희숙,이병주,남경엽,이철규,정현숙,Ji, Hee Sook,Lee, Byong Ju,Nam, Kyung Yeub,Lee, Chul Kyu,Jung, Hyun Sook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

        본 연구는 TOPLATS 지표해석모형의 물수지와 에너지수지 해석에 따른 수문기상성분 비교를 통해 그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역은 낙동강유역을 선정하였으며 2003~2012년에 대해 1시간, 1 km의 고해상도 수문기상성분을 산출하였다. 안동댐과 합천댐유역의 관측 일/월단위 댐유입량과 모의유량 비교하여 두 유역의 모의치가 관측값과 유사함을 보였다. 또한 C3와 C4지점의 에너지성분에 대한 Diurnally 분석을 수행한 결과 에너지수지 해석에 따른 순복사량, 현열, 잠열의 일중 변화패턴이 물수지 결과에 비해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4지점의 순복사량과 잠열의 평균제곱근 오차는 각각 22.18 $W/m^2$와 7.27 $W/m^2$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여름철과 겨울철의 계절평균 토양수분과 증발산량은 각각 36.80%, 33.08%와 222.40 mm, 59.95 mm로 산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해상도의 수문기상성분 모의 시 에너지수지 해석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공간수문기상정보를 활용한 홍수 및 가뭄 등의 재해기상 감시 및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OPLATS land surface model performance through comparison of results of water and energy balance analysis. The study area is selected Nakdong river basin and high resolution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of which spatio-temporal resolution is 1 hr and 1 km are simulated during 2003 to 2013. The simulated daily and monthly depth of flows are well fitted with the observed one on Andong and Hapcheon dam basin. In results of diurnally analysis of energy components, change pattern throughout the day of net radiation, latent heat, sensible heat, and ground heat under energy balance analysis have higher accuracy than ones under water balance analysis at C3 and C4 sites. Especially, root mean square errors of net radiation and latent heat at C4 site are shown very low as 22.18 $W/m^2$ and 7.27 $W/m^2$, respectively. Mean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in summer and winter are simulated as 36.80%, 33.08% and 222.40 mm, 59.95 mm, respectively. From this result, when we need high resolution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energy balance analysis is more reasonable than water balance analysis. And this results will be used for monitor and forecast of weather disaster like flood and draught using spatial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 KCI등재

        물수지와 에너지수지 해석에 따른 수문기상성분 평가

        지희숙,이병주,남경엽,이철규,정현숙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

        본 연구는 TOPLATS 지표해석모형의 물수지와 에너지수지 해석에 따른 수문기상성분 비교를 통해 그 적용성을 평가하 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역은 낙동강유역을 선정하였으며 2003∼2012년에 대해 1시간, 1 km의 고해상도 수문기상성분을 산출하였다. 안동댐과 합천댐유역의 관측 일/월단위 댐유입량과 모의유량 비교하여 두 유역의 모의치가 관측값과 유사함을 보였다. 또한 C3와 C4지점의 에너지성분에 대한 Diurnally 분석을 수행한 결과 에너지수지 해석에 따른 순복사량, 현열, 잠열의 일중 변화패턴이 물수지 결과에 비해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4지점의 순복사량과 잠열의 평균제곱근 오차는 각각 22.18 W/m2와 7.27 W/m2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여름철과 겨울철의 계절평균 토양수분과 증발산량은 각각 36.80%, 33.08%와 222.40 mm, 59.95 mm로 산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해상도의 수문기상성분 모의 시 에너지수지 해석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공간수문기상정보를 활용한 홍수 및 가뭄 등의 재해기상 감시 및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OPLATS land surface model performance through comparison of results of water and energy balance analysis. The study area is selected Nakdong river basin and high resolution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of which spatio-temporal resolution is 1 hr and 1 km are simulated during 2003 to 2013. The simulated daily and monthly depth of flows are well fitted with the observed one on Andong and Hapcheon dam basin. In results of diurnally analysis of energy components, change pattern throughout the day of net radiation, latent heat, sensible heat, and ground heat under energy balance analysis have higher accuracy than ones under water balance analysis at C3 and C4 sites. Especially, root mean square errors of net radiation and latent heat at C4 site are shown very low as 22.18 W/m2 and 7.27 W/m2, respectively. Mean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in summer and winter are simulated as 36.80%, 33.08% and 222.40 mm, 59.95 mm, respectively. From this result, when we need high resolution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energy balance analysis is more reasonable than water balance analysis. And this results will be used for monitor and forecast of weather disaster like flood and draught using spatial hydrometeorological information.

      • KCI등재

        기상청 GloSea의 위성관측 기반 토양수분(SMAP) 동화: 예비 실험 분석

        지희숙,황승언,이조한,현유경,류영,부경온 한국기상학회 2022 대기 Vol.32 No.4

        A new soil moisture initialization scheme is applied to the Korea MeteorologicalAdministration (KMA)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version 6 (GloSea6). It is designedto ingest the microwave soil moisture retrievals from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SMAP) radiometerusing the Local Ensemble Transform Kalman Filter (LETKF). In this technical note,we describe the procedure of the newly-adopted initialization scheme, the change of soil moisturestates by assimilation, and the forecast skill differences for the surfac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by GloSea6 simulation from two preliminary experiments. Based on a 4-year analysisexperiment, the soil moisture from the land-surface model of current operational GloSea6 isfound to be drier generally comparing to SMAP observation. LETKF data assimilation showsa tendency toward being wet globally, especially in arid area such as deserts and TibetanPlateau. Also, it increases soil moisture analysis increments in most soil levels of wetness inland than current operation. The other experiment of GloSea6 forecast with application of thenew initialization system for the heat wave case in 2020 summer shows that the memory ofsoil moisture anomalies obtained by the new initialization system is persistent throughout theentire forecast period of three months. However, averaged forecast improvements are not substantialand mixed over Eurasia during the period of forecast: forecast skill for the precipitationimproved slightly but for the surface air temperature rather degraded. Our preliminary resultssuggest that additional elaborate developments in the soil moisture initialization are still requiredto improve overall forecast skills.

      • KCI등재

        평생교육활동가의 학습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지희숙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평생학습마을사업에 참여한 주민이 평생교육활동가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어떤 학습에 참여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 이들의 일상적 학습에 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평범한 주민에서 평생교육활동가로 성장한 평생학습마을매니저의 학습경험의 실제를 기술하고, 그러한 학습 활동 의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해 평생학습마을을 조성해가는 평생학습마을매니저 12명에 대해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평생학습마을매니저는 자신의 ‘일’과 마을 내·외부 주체와의 ‘관계’ 속에서 주도적으로 학습하며, 마을의 복합적인 맥락 속에서 학습하였다. 그 결과 평생학습마을매니저는 개인 차원에서 주체적인 학습자로 성장하고, 조직 차원에서 주민의 평생학습을 지원하는 교육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차원에서 평생학습을 중심으로 지역 참여의 수준을 높 여가는 시민의 정체성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평생학습마을매니저의 일상적 학습에서 나타난 특성은 일상성, 공공성, 운동성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that there have not been enough discussions on the daily takeaways of a manager of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even though they have grown to be lifelong education activis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city's lifelong learning project. So, this research describes the takeaways of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who have transformed from normal residents to lifelong education activists,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have been done to 12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Their learning activities have occurred during their work and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of the community, and the aspects have appeared differently in the complex context of community. As a resul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grew up as independent learners individually and acquired own his or her identity as a citizen who participated more in the community around lifelong leaning. The daily takeaway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anagers are characterized by dailiness, publicness, and motility of learning.

      • KCI등재

        성인학습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 방송대 학습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지희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2 평생학습사회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aspects of adult study circle activities of distant learning colleges and provides the further tasks for future study circles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KNOU). The study examined the study circles of KNOU in Mindulle and Gaenari area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their members. Results showed that the study circles keep produc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through experience involving trial and error learning. Further, the study circles were clearly divided into the learning-centered and learning and relationship-centered study circles, coping with the online learning at KNOU as a learning strategy by making progress in cooperative creating and selective using learning materials and preparing for exam.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tudy circles serve as a daily life-centered learning hub and play as a network that extends a learning network which individuals maintain, and lived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in the study circles allow the students to shape identities as a student of KNOU. The study discusses the further tasks for future activities of adult study circle, including that: First, an adequate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supporting study circles must be established. Second, study circle should be extended to regional active participations that are open to an opportunity of learning about major concentration in depth. Finally, a learning communit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essence of study circles needs to be built. 본 연구는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습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 방송대 성인학습동아리의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민들레 지역과 개나리 지역의 방송대 학습동아리를 선정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동아리는 시행착오 속에서 자신들의 고유한 학습동아리의 결을 만들어간다. 학습중심의 동아리와 학습과 관계를 중시하는 동아리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이들은 학습전략으로 협력적으로 진도 나가기와 학습자료의 선택적 생성과 활용, 공동의 시험대비로 방송대 학습에 대응하고 있다. 학습동아리의 교육적 의미는 일상생활중심의 학습허브로서 기능하며, 학습동아리에서의 실천 경험은 방송대 학생으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게 하고, 개별 학습자의 학습망을 확장시키는 연결망 역할을 하고 있다. 학습동아리 활동의 남겨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아리 지원을 위한 통합적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하며, 둘째, 전공학습에 대한 심화학습을 열어주는 지역참여로 확장해야 하며, 셋째, 기능적인 관계를 넘어 학습동아리의 본질에 맞는 학습공동체 형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