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복교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주영아,정현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2 청소년상담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omote school adjustment of dropout adolescents who returned to school,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designed to enhance three components of social competence - social problem-solv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elf-efficacy. The program was composed of 9 80-minute sessions, which utilized various group counseling techniques and cognitive-behavioral procedure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10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20 students who were recruited through advertizement of youth counseling center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were administered using various scales to measure students'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 three components of social competence(e.g., social problem-solv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elf 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dropout adolescents who returned to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복교생들의 재중도 탈락을 예방하고,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보는 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목표를 복교생 의 사회적 유능성을 증진에 두고, 이러한 목표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진행방법은 집단상담의 형태 로 이루어졌으며, 주로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에서 실시하는 기법들이 적용되었다. 프로그램의 실시는 경기도 ‘ㅅ’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에서 복교생 10명을 대상으로 2001년 5월 17일부터 6월 14일까지 매주 2회, 매 회기 80분 동안 9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참가자들은 경기도 ‘ㅅ’시, ‘ㅇ’시 청소년 상담실 홍보를 통해 모집되었으며, 참가를 신청한 20 명은 실험집단과 통제(대기)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적으로 배치되었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본 연구자가 하였으며, 효 과적인 실시를 위하여 진행자용 지침서 외에도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돕기 위한 참가자용 워크북을 제작하였 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사회적 유능성 측 정도구와 학교생활적응 측정도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종결로부터 3개월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추수검사를 실시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프로그램 효과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은 복교생들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과 학교적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論語』의 詩에 대한 고찰

        주영아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東方學 Vol.35 No.-

        본고는『論語』에서 『詩經』과 『시경』의 詩가 갖는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으로 諸注을 살피고, 그에 따른 해석과 이해, 수용과 비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어』는 공자와 그의 문인을 중심으로 넓고 풍부하고 깊이를 더하는 다양한 철학적 견해를 보이는 경서다. 저간의 문맥에는 철학적 의미를 담보로 하는 명리적 의미뿐만이 아니라, 삶의 일상을 통찰하는 날카로운 비판적 시각도 있으며, 사물이나 언어의 개념을 쪼개거나 포괄하는 합리적 사고를 요하는 논리도 있다. 『논어』가 보여주는 事物, 人間, 事體에 대한 전방위적인 해석과 이해는 儒者들의 고차원적인 섭렵뿐만이 아니라, 凡人까지도 分數에 따라 수용할 수 있고, 그것으로 일상에서 警戒의 범위로 삼게 한다. 이러한 이해는 언어의 철학적 의미를 일상 사물의 체득과 일치시켜 개념을 부각시키는 데에서 시작된다. 『논어』에서 仁, 義, 禮, 知, 治, 學, 樂 등의 추상적 언어는 古注, 朱子 注, 諸儒者 注 등의 해석과 수용․비판을 통해 적확한 상황적 요소가 반영되어 구체적 상황으로 실현되었다. 이는 『논어』의 언어로 유추하여 폐쇄시키는 것에서 한 걸음 나아가 설명과 해석이 가능한 개념어로써 소통의 상관물이 되기에 충분하다. 『논어』의 詩 역시 문학적 언어로써의 이해와 아울러 보편적 삶의 언어와 철학적 소통을 위한 언어로 이해와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y confirmed a meaning of 『Sigyeong(詩經, Book of Odes』 and of a poem, and of “Samusa(思無邪, there is no malicious intention in thinking)” as the process of exploring a meaning that a poem has in 『Noneo(論語,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addition, it grasped a meaning of a poem through Jujaju(朱子注) and examined even a critical receptive attitude that Yuja(儒者) in Joseon Dynasty and a scholar of the Chinese classics(漢學者) in modern times recognize. 『Noneo(論語)』 is a Confucian classic(經書) that shows diverse philosophical opinions, which are broad, rich, and deep, focusing on Gongja(孔子, Confucius) and his literary person. In the context of the occasion, there is even a sharply critical view, which discerns daily life, as well as a meaning of the worldly honor, which has a philosophical meaning as guarantee. There is also logic that requires rational thinking of splitting or embracing a concept of a thing or a language. The omnidirectional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ing, human being, Sache(reason and honor) that 『Noneo(論語)』 shows can accept ordinary person according to own place(分數) as well as Confucianist(儒者)s' high-dimensional reading, and comes to have it as the range of vigilance(警戒) in everyday life. This understanding begins from highlighting a concept by making a philosophical meaning of a language consistent with the realization of daily object. In 『Noneo(論語)』, the abstract languages such as In(仁), Ui(義), Ye(禮), Ji(知), Chi(治), Hak(學), and Ak(樂) were realized as a specific situation by being reflected the accurately situational element through interpreting, accepting and criticizing Jujaju(朱子注), and persons. This is enough to be a correlative of communication as a conceptual language available for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with going one step forward from what closes through inferring it as a language of 『Noneo(論語)』. It is clarifying that even a poem in 『Noneo(論語)』 is available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s a language of universal life and a language for philosophical communication along with understanding as a literary language. Accordingly, this study will explore many views such as grasping & understanding a meaning, realizing & interpreting, and accepting & criticizing a concept of “poem” in a part of mentioning a poem in 『Sigyeong(詩經, Book of Odes』 between Gongja(孔子, Confucius) and disciple. Also, when “poem” in 『Sigyeong(詩經)』 is understood through epigram, it will be able to know, too, about how Confucian scholar(儒學者)s in future generations, especially, Confucianist(儒者)s in Joseon are understanding. This discussion doesn't aim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but aims to grasp the openly academic attitude and perspective of all decent persons wh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poems that are accepted in 『Noneo(論語)』.

      • KCI등재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차이

        주영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4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ASW 18.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둘 다 학교폭력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중등교사가 중등예비교사보다 유의하게 높다. 학교폭력 유형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는 괴롭힘을, 중등예비교사는 집단적 폭행, 집단따돌림을 가장 심각한 학교폭력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둘 다 사소한 감정 때문에 폭력행동이 일어나며, 피해의 원인으로 중등교사는 다소 고정적인 변인의 특성을 띠는 성격적 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중등예비교사들은 변화가능한 대인관계 기술 부족이나 대인관계 적응력 부족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피해학생에게 필요한 조치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는 전담부서 등에서의 상담, 중등예비교사는 전문적인 상담 및 개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우선적으로 필요한 점에 대해서는 중등교사는 학부모와 교사의 연계, 중등예비교사는 전인교육, 인성교육을 통한 예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가해학생 처벌, 담임교사와의 면담, 학부모에게 통지, 학생생활기록부 기록 의무화 등 모든 분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예방 혹은 대처에서 담임교사와 학생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모두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 과정에 새롭게 개설된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 과목의 개선점에 대한 제안에 대해,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의 결혼생활 조기 적응을 위한 가족대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쌍방향 언어 문화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바탕으로

        주영아,김현주,윤경주 재외한인학회 2013 在外韓人硏究 Vol.31 No.-

        The goal of the study is to develop some practical and functional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Korea so that they can adjust well in early years of their marriage. Inorder to achieve the goal, we reviewed a number of precedent studies onadjustm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urrent supports and servicesfor multicultural families from the government. Based on this, a both-waylanguage-culture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was designed andcarried out for two different groups from Nonsan and Taean. Although themain goal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the same, which is to help themto understand each other’s language and culture so that they can overcomedifficulties from cultural and language differences, one group had onedayeducation and another group had two-days one for some differentcircumstantial reasons. After the program, two groups were asked to fillout the satisfaction survey. The analysis of the feedback suggests few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rogramsin the future. The present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reviews studies on the early adjustments of foreign brides and case studieson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rograms. The second part introducestwo model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at were designed based on previousresearch,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participants withshort comments on limits of the present study. The final part suggests few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the implications from the feedback in the survey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다문화가정의 결혼생활 조기 적응을 위한 국가지원의 종류와 서비스 현황을 간단하게 파악하고, 둘째, 다문화가정의 결혼생활 조기적응을 위한 실험적 프로그램인 쌍방향언어문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배경과 교육내용을 소개하고, 셋째, 이 프로그램에 대한 이수자들의 만족도와 향후 프로그램을 위한 제안을 바탕으로 해서 다양한 가족 대상 프로그램 개발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문헌연구와 교육수행의 두 가지를 결합한 연구방법을 도입하였다. 문헌연구부분에서는 다문화가정 실태조사, 그리고 이와 관련된기존의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다문화가정의 결혼생활 조기 적응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을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쌍방향 언어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두 번째 단계인 교육시행에서는 설계된 프로그램을 2차에 걸쳐 당일형과 일박이일형으로 나누어 시행하였고 교육프로그램 이수자들에게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결과를분석하여 향후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조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을 통해 다양한 가족대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즉 첫째, 다문화가정의 이주배우자와 가족간의 조기 적응의 중요성과 국가지원의 종류, 둘째, 조기적응을 위한 쌍방향 언어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소개와 만족도 조사 결과 분석, 셋째, 다문화가정의 조기 적응을 위한 향후 가족 대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이다.

      • SCOPUSKCI등재

        Pyrimidine 유도체에 의한 완두 Acetolactate Synthase의 저해에 관한 연구

        주영아,김대황,장수익,최정도,Joo, Young A,Kim, Dae Whang,Chang, Soo Ik,Choi, Jung Do 대한화학회 1997 대한화학회지 Vol.41 No.6

        Acetolactate Synthase(ALS)는 가지를 가진 아미노산 valine, leucine, isoleucine의 생합성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이다. ALS는 서로 구조적 유사성이 없는 최근에 개발된 sulfonylurea, imidazolinone, 그리고 trizolopyrimidine계 제초제들의 공통적인 작용표적이다. 완두로부터 분리한 ALS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한 4,6-dimethoxypyrimidine 유도체들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가장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유도체는 K11570으로 $IC_{50}$값이 0.2 ${\mu}M$이다. 완두의 ALS에 대한 K11570의 저해활성은 incubation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기질 pyruvate에 대해 혼합형 저해유형을 보여주었다. K11570와 sulfonylurea Ally, 그리고 feedback 저해제 leucine에 대한 dual inhibition 실험결과 이들 저해제의 결합부위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겹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Arg을 변형시킨 효소는 K11570, sulfonylurea Ally, 그리고 leucine의 저해 민감도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Trp의 변형은 저해 민감도에 영향이 없었다. Acetolactate synthase(ALS) is the common enzyme in the biosynthetic of valine, leucine, and isoleucine, and is the target of several classes of structually unrelated herbicides, including sulfonylureas, imidazolinones, and triazolopyrimidines. In an effort to develop new and desirable herbicides, we have synthesized 4,6-dimethoxypyrimidine derivatives, and examined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n pea ALS. The most active compound was found to be K11570 and $IC_{50}$ value for K11570 was 0.2 ${\mu}M.$ The inhibition of pea ALS by K11570 was biphasic, showing increased inhibition with incubation time. The K11570 showed mixed-type inhibition with respect to substrate pyruvate. Dual inhibition analysis of K11570 versus sufonylurea herbicide Ally and feedback inhibitor leucine revealed that three inhibitors were competitive for binding to ALS. The arginine modified enzyme showed decreased inhibition by K11570, sufonylurea Ally, and leucine, in constrast to, tryptophan modification did not affect on the sensitivity of ALS to the inhibitors.

      • KCI등재후보

        중도입국 청소년의 또래관계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주영아,김현주,윤경주 재외한인학회 2014 在外韓人硏究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migrant youths, who came back to their home country after spending some time abroad. The study mainly strives to delve into their peer relationship experience in order to support the adaptation period the migrant youth must face with in order to readapt to Korean socie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do the migrant youth experience in the peer relationship?’, ‘What are the helpful factors in the peer relationship?’, ‘What are the risk factors in the peer relationship?’, and ‘What do you need in the peer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migrant youths who joined the adolescent program provided by Foundation for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 Education Center. One researcher from this study and one doctoral student who is interested in this study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interviews were all recorded, have transcribed and the researchers categorized the data according to the semantical contents and analyzed the content according to their meanings. Data analysis resulted in 4 main themes, 13 semantic categories, and 25 subcategories. The 4 main themes are the peer experiences in the immigrant process, the helpful factors of the peer relationship after immigration, the risk factors of the peer relationship after immigration, and the needs of immigrant youth in the peer relationship. The helpful factors are the open points of view that accept the differences and personal efforts for making friends. The risk factors are the negative perspective of Koreans, the lack of opportunity to meet Korean friends, the language barrier, and the closed attitudes. The needs are the opportunities to meet Korean friends and the supports of the previous immigrant youth. To conclude, this study revealed the core contents of counseling service for migrant youths to aid their peer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d fundamental data for supporting immigrant youth to adapt into the new cultur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중도입국 하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또래관계 경험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요구를 탐색하여 긍정적인 문화적응 과정을 조력할 수 있는 상담 조력체제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주과정에서 또래관계 경험내용은 무엇인가?’, ‘또래관계에서 도움이 되는 점은 무엇인가?’, ‘또래관계에서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또래관계에서 바라는 점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대상은 이주배경 청소년 지원 기관과 중도입국 청소년 교육 기관에서 제공하는 이주배경 청소년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도입국 청소년 16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진의 연구자 1명과 주제에 관심이 있는 박사과정생 1명이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모두 녹음하여 전사한 후, 연구자들이 이 자료를 의미범주로 분류하였고 의미범주에 해당하는 하위 내용들을 분석,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주제와 13개의 의미범주와 25개의 하위내용이 추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이주과정에서의 또래관계 경험내용, 이주 후 또래관계 형성의 도움요인, 이주 후 또래관계 형성의 위험요인, 또래관계에서 바라는 점이며, 이에 따른 의미범주와 하위범주내용은 또래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는 주로 다양성과 차이점을 수용하는 개방적 시각,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개인적 노력 등이며 또래관계 위험요인의 하위범주내용은 한국인의 부정적 시각 인식, 또래와의 지속적 만남 어려움, 언어적 제약, 폐쇄적 태도로 나타났다. 이외 또래관계에서 바라는 점으로는 다양한 또래관계 경험을 원하고, 먼저 이주경험한 선배의 도움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의 또래관계 측면에서 필요로 하는 상담조력 서비스 내용을 밝히고, 중도입국 청소년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지원하는 다문화상담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제한점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작업동맹이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퍼바이지 자기개방을 매개로

        주영아,강순화,조하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청소년상담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작업동맹이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대학상담센터와 개인상담소, 공공기관에서 상담을 진행하며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상담자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작업동맹, 자기개방,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 수퍼비전 만족도 서로 간에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작업동맹이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방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작업동맹은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개방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지의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보다 자기개방을 통해 수퍼바이지의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과 수퍼비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퍼비전 작업동맹 자체에 대한 개입도 필요하지만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을 촉진하여 수퍼비전 성과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데 함의를 가진다. The present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supervisee's self-disclos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and counselor activity self efficacy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86 counselors who have practiced counseling at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private agencies, and public agencies. They all have experienced supervision on their counseling practice at the time of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five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supervisee'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self-disclosure, counselor activity self efficacy, supervision satisfaction are found. Second, supervisee's self-disclosure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and counselor activity self efficacy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In other words, supervisee'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unselor activity self efficacy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moreover,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between their relationship through self-disclosure as a mediator. Furthermore, the direct effect of supervisee'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on the supervisee's counselor activity self efficacy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was less than the mediation effect of supervisee's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alliance and the supervisee's counselor activity self efficacy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not only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itself is important to improve to supervision satisfaction, but also the supervisee's self-disclosure should be facilitated by supervisors in order to enhance supervisee's counselor activity self efficacy as well as supervision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