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제품에 기재된 라벨의 정보가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편식 대상으로

        주선희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6

        본 연구는 제품에 기재된 라벨의 정보가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식품의 경우 직접 맛을 보기 전에는 제품에 대해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소비자들은 라벨의 정보를 확인하여 제품을 판단할 가능성이 높다. 라벨에는 제품의 다양한 정보들이 기재되어 있으나 대표 성 있는 네 가지 요인인 브랜드명, 원산지, 가격, 유통기한을 라벨의 정보로 연구하고자 한다. 라벨의 정보들이 제품의 지각된 가치와 신뢰에 미치는영향과 지각된 가치와 신뢰가 고객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라벨 정보의 브랜드명은 감정적 가치, 경제적 가치, 신뢰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산지표기는 감정적 가치,경제적 가치, 신뢰에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벨에 표기된 가격은 감정적 가치와 신뢰에는 유의하나 경제적 가치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라벨에 표기된 유통기한은 감정적 가치, 경제적 가치, 신뢰에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적 가치는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가치 역시 고객만족과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이 제품에 대해 신뢰하는 경우 고객만족 및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고객이 제품에 대해 만족하면 추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들은 브랜드와 가격을 보고 제품에 대한 가치와 신뢰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감정적 가치, 경제적 가치 및 신뢰를 지각하면 제품에 대한 만족을 하고 타인에게 추천하려는 의도까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제품 라벨정보가 제품의 가치와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1인 가정과 다수 가정 간의 구매행태 비교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라벨의 다른 정보들이 소비자가 제품에 대해 가치지각이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거나 다른 개념과의 관계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별 소비자의 라벨정보에 대한 인식 및 정보획득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도 가치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본다. 제품의 특성에 따라 개념변수들 간의 관계가 차이가 날 수 있는데 가정간편식이라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라벨에 기재된 내용이 다른 유형의 제품에 비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비자가 실제 라벨에 기재된 내용을 모두 읽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정보를 획득하여 지각하며, 라벨 기재 내용에 따라 제품의 가치를 달리 지각할 수 있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소비자는 같은 제품을 더 비싼 가격에 구매하지는 않을지에 대한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나, 라벨에 가격이 표기되었을 때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점에서 본 연구의 공헌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As the HRM(home meal replacement) is diversified and the sales volume is rapidly increasing, companies develop and release new food brands continuously. Interests in HRM is getting higher, since it saves time of busy people and the sharp increase of single household, accordingly, the consumers' tendency of pursuing convenience is getting stronger. Consumers cannot check HRM food directly, and they do not know the quality before tasting it. Companies allow consumers to experience the product through free-sample stand. however, they cannot taste all products. Since HRM is not high involvement product, the consumers do not have strong will to seek for the product information. Therefo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getting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through the label on the packaging and judging the product in the purchase situation. However there are many information included on the labe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brand name, origin, price, and expiration date among the informations of label,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which consumers are most interested i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nformation of the label on perceived value and trust of food product, and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and trus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ecommend intention.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brand name of label information appeared to have positively influence on emotional value, economic value, and trust. As a result of the opposition, origin of label information has no meaningful influence on emotional value, economic value, and trust. Price on the label was significant for emotional value and trust, however, was not significant for economic value. Expiration date on the label h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emotional value, economic value, and trust. And the emotional value positively influenc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 intention. And the economic value also significantly a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 intention. Also, customers' trust of product significantly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 intention. Customers' satisfaction on product positively influence on recommend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perception of emotional value, economic value and trust of product appeared to create satisfaction on product and recommend intention.

      • 식용파로부터 Chitinase 및 β-N-acetylglucosaminidase의 정제와 특성에 관한 연구

        주선희,김재완 德成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1991 藥學論文誌 Vol.2 No.1

        Chitin is major component of the outer shell of crustaceans(shrimp and crab) is the second most plentiful natural polymer next to cellulose. Its chemical structure is β-(1->4) linked poly N-acetyl-D-glucosamine. Recently, chitin derivatives and its oligosaccharides have the potential as the new drug (antitumor, antithrombotic, and antiatheroclerotic). The complete enzymatic hydrolysis of chitin to free N-acetyl-D-glucosamine is performed by chitinolytic system including β-N-acetylglucosaminidase (GlcNAcase) as well as chitinase. It was found that the green onion(Allium fistulosum L.) showed both enzymatic activiti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purify and chracterize two kinds of enzyme above from the green onion. Protein fraction precipitated from ammonium sulfate was passed through the convention column chromatographic steps (gel-filtration and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partially purified. The specific activity of GlcNAcase was 8.60 units/mg and the purification was increased to 14-fold. The total recovery was correspondent to 6 %. The specific activity of chitinase was 1.74 units/mg. The optimum pH of GlcNAcase was 5.0 and its optimum temperature was in the range of 50-55℃. The pH stability was 7.0 and temperature stability was 30℃. The maximum activity of chitinase was shown in 0.05M citrate buffer (pH 5.0). A partially purified chitinolytic enzyme from the 10og of green onion could make 38mg of N-acetylglucosamine in hydrolyzing 700mg of colloidal chitin.

      • KCI등재

        지각적 호기심이 이문화에 대한 태도 및 이문화 제품의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할랄제품을 중심으로

        주선희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As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increase and Koreans traveling overseas become more frequent, a study on the level of domestic consumers’ acceptance of different cultures and the perception towards products from different cultures is needed. In this study, a perceptual curiosity, which is an individual personality, was divided into Diverse perceptual curiosity and Specific perceptual curiosity, and effects of perceptual curiosity on an attitude towards different cultures and an intention to recommend products from different cultures were examined. To prove validity of measurement items and reliability of data, SPSS and LISREL were used and to prove a hypothe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Diverse perceptual curiosity, which is Hypothesis 1,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s different cultures while the Specific perceptual curiosity, which is Hypothesis 2,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s different culture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attitude towards different cultures, which is Hypothesis 3,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commend the products from different cultures. 우리나라의 해외방문객이 증가하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해외 방문이 빈번해짐에 따라 국내 소비자들의 이문화에 대한 수용정도와 이문화제품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인성향인 지각적 호기심을 포괄적 지각호기심과 세부적 지각호기심으로 구분하여 지각적 호기심이 이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문화제품에 대한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개념 및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을 위해 SPSS, LISREL을 이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가설1인 포괄적 지각호기심은 이문화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설2인 세부적 지각호기심은 이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설3 이문화에 대한 태도가 이문화 제품에 대한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브랜드 일관성, 지속성, 개별성이 브랜드 진정성 및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주선희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4

        With the expanding range of companies' competition and the rapid universalization oftechnology,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companies to differentiate their brands. It willhave to be perceived as a authentic brand by consumers in order to increase the brand's awarenessand association within its product category. The authentic br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provideproducts or services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 consistent quality and guarantee, and to provideproducts or service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to the brand. In this study, we suggest brandconsistency, brand continuity and brand individuality as the antecedent factors that affect brandauthenticity, and study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investigate at the impact on brandequity when consumers perceive brand authenticit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authenticity and brand equity by classifying them into brand associations, brand awareness and brandloyalty by brand equity.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hypothesis was rejected in therelationship between brand consistency and brand authenticity,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brand continuity and brand authenticity was significant. And it was shown that brand authenticity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s it showed that brand authenticity had apositive effect on brand associati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all. The analysis withstructural model using LISREL showed that brand consistency, brand continuity and brandindividuality each had a positive influence in relation to brand authenticity. And even in the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brand authenti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associations,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indicating that the hypothesis is significant. Consistency isimportant in the delivery and quality of services promised to consumers despite the changing times,and when brands continue to be offered for a long time, consumers could perceive their brandauthenticity. In particular, the most important factor would be that consumers would recognize aauthentic brand when there is an individuality that is unique to the brand only. the consumer willrecognize it as a authentic brand. When consumers perceive the authenticity of a brand, it is easyto associate the brand within the product category, increasing brand awareness, and high loyalty tothe br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rand authenticity and increasing it, companies will haveto make efforts. 기업의 경쟁범위가 확대되고 기술의 빠른 보편화로 인해 기업의 브랜드 차별화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제품카테고리 내에서 해당 브랜드의 인지도 및 연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에게 진정성있는 브랜드로 지각되어야 할 것이다. 진정성있는 브랜드는 일관성있는 품질과 약속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하며, 해당 브랜드만이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가진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브랜드 일관성, 브랜드 지속성, 브랜드 개별성을 브랜드 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소비자가 브랜드 진정성을 지각할 때 기업의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브랜드 자산으로 브랜드 연상, 브랜드 인지, 브랜드 충성도로 구분하여브랜드 진정성과 브랜드 자산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한다. 구조방정식모델로 분석한 결과, 브랜드 일관성, 브랜드 지속성, 브랜드 개별성이 브랜드 진정성의 관계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 자산 간의 관계에서도 브랜드 진정성이브랜드 연상,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에서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모든 가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대의 변화함에도 소비자와 약속했던 서비스의 제공 및 품질에 대해서 일관성이 중요하며,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브랜드가 제공될때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한 진정성을 지각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브랜드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인 개별성이 존재할 때 소비자는 진정성있는 브랜드로 인식할 것이다. 소비자가 브랜드의 진정성을 지각하면 제품 카테고리 내에서 해당 브랜드의 연상이 쉽게 일어나며, 브랜드 인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에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보여 브랜드 진정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기업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인 미디어콘텐츠 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기성 추구성향 상호작용효과

        주선희,고보라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9

        최근 다양한 채널의 등장으로 일반인들도 1인 미디어를 통해 불특정다수의 시청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증감함에 따라 본 연구는 1인 미디어콘텐츠의 특성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가치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기성 추구성향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SPSS프로그램을 통해 1인 미디어콘텐츠의 특성인 정보품질, 정보신뢰성, 유희성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가치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기성추구성향과 지각된 가치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은 콘텐츠 제작시 내용 및 구성에 있어서 오락적 요소 못지않게 내용의 신뢰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방향으로 신기성추구성향의 직접적인 효과와 1인 미디어콘텐츠를 이용하는 시청자의 특성이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 연구를 진행해 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with coming of various channels, the public are communicating with unspecified massive consumers through personal broadcasting. It is becoming more popular as a positive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personal broadcasting contents on perceived value, perceived valu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novelty seeking.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s of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trust, and entertainment on the perceived value,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media contents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perceived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But The interaction effect of novelty seeking and perceived value is not significant. Therefore, content creators should make efforts to create content as much as to the trust of content as entertainment elements in content and composi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meaningful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on the direct effects of the novelty trend and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viewers' characteristics using personal media contents.

      • KCI등재

        개인성향에 따른 1인 미디어 콘텐츠의 가치 지각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선희,송민영,김병국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2

        As the popularity of single-person media content increases, We investiga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recommend to others. Individuality was studied on the tendency to sensation seeking and novelty seeking, which is a tendency to take boredom sensitive to monotonous and repetitive daily routines, and novelty seeking refers to new information and stimuli. The hypothesis was that high sensation seeking and high novelty seeking would perceived emotional value, epistemic value, and economic value for a single person 's media content.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21.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The novelty seeking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value, epistemic value, and economic value. Users who want to explore and enjoy new things could perceived the emotional value of having fun, fun, and sadness through single-person content, perceived a epistemic value and enjoy new information and situations as a tool to recognize new stimuli and know what they didn't know. And it could be seen that users perceive the economic value that they can enjoy at low cost or free service. The sensation seek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pistemic value, but it did not affect emotional value and economic value significantly. Those who have a high tendency to sensation seeking can perceive curiosity about one-person media contents, so that they can perceive epistemic value. However, those who feel that they have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economic value and emotional value can easily understand that expecting one's content does not feel bored by paying for a low cost or free service. 1인 미디어콘텐츠의 인기가 증가됨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성향이 1인 미디어에 대해 가치를 지각하고 타인에게 추천하려는 의도에 대한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단조롭고 반복적인 일상에 대해 권태로움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성향과 새로운 정보 및 자극을 탐색하며 추구하려는 성향이 높은 사람은 1인 미디어콘텐츠에 대해 감정적 가치, 지식적 가치, 경제적 가치를 지각할 것으로 보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SPSS21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가설검증결과, 신기성 추구성향은 감정적 가치, 지식적 가치, 경제적 가치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것을 탐색하고 즐기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1인 콘텐츠를 통해 즐거움, 재미, 슬픔을 느낄 수 있는 가치를 지각하고, 새로운 자극을 지각하고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는 도구로 지식적 가치를 지각하며, 새로운 정보 및 상황을 탐색하는 데 저렴한 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 경제적 가치를 지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감각추구성향의 경우 지식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감정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태감을 쉽게 느끼는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사람은 1인 미디어콘텐츠에 대해 호기심을 충족 가능하므로 지식적 가치를 지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저렴한 비용이나 무료 제공이 아니라 비용을 지불하고서라도 재미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이용자는 지루한 콘텐츠를 이용하면서 경제적 가치를 지각하기보다 콘텐츠 비용을 지불을 하고서라도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는 콘텐츠를 보기를 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모바일홈쇼핑의 특성과 개인성향이 소비자의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

        주선희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5

        TV홈쇼핑사들은 TV채널과 전화주문방식이라는 채널에 국한되지 않고 모바일을 통해 채널 확장에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웹을 이용한 상호작용성과 편재성을 넘어서 모바일 라이브방송을 통해 더욱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모바일을 통해 라이브톡을 통해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에 중요시하고, 모바일 내의 자체 방송을 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을 중요시하는 활동은 놀이성향, 충동성향과 같은 소비자의 개인성향에 따라 소비자 플로우에 대한 차이도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홈쇼핑의 특성인 양방향성, 즉시성과 편재성이 소비자의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인성향에 따라 모바일홈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플로우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연 구하였다. 연구결과, 양방향성은 플로우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시성 역시 플로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재성은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성향 중 놀이성향이 높은 사람은 플로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동성향이 높은 사람 역시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플로우 상태는 모바일홈쇼핑을 이용하려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 home shopping companies are not limited to TV channels and phone-ordering channels, but are making efforts to expand their channels through mobile phones. Beyond its interaction and ubiquity using the web, it is expanding its contact point with consumers through mobile live broadcasting. Interacting, ordering, doing their own broadcasts within mobile App, and interacting and enjoying them are likely to differ depending on consumers' personality, such as playfulness and impulsivi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wo-way communication, Synchronicity and Ubiquity,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home shopping, on consumers' flow, and the effect on consumers' flow on mobile home shopping will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preferences. Interacting, ordering, doing their own broadcasts within mobile devices, and interacting and enjoying them are likely to differ depending on consumers' personal preferences, such as play and impulsive tendenc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wo-way communication was found to have not significant on flow, and Synchronicity was also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flow. It was found that ubiqu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low. Among the individuality, people with high playful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flow, and people with high impulsivity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low. Flow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ing mobile home shopping.

      • KCI등재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선희,구동모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논집 Vol.22 No.2

        최근 소비자의 지적 욕구나 감성 욕구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술을 들 수 있다. 예술은 인간의 인지적 능력과 감성적 능력을 모두 요구하는 산물이며 예술작품은 현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예술과 상업적인 제품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생산한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은 제품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현재 많은 기업에서 제품과 아트의 협업을 통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여러 산업에서 활발하게 예술과 콜라보레이션 활동이 일어나는 것은 소비자들이 아트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가치를 지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은 일반제품에 비해 창의적 요소인 독창성이 있으며, 심미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일반제품과 달리 제품이 가지는 상징적 특성을 부여받으며 한정적으로 판매하여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독창성, 심미성, 상징성, 희소성을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으로 들 수 있다. 지각된 가치를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 경제적 가치, 지적 가치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아트 콜라보레이션 특성인 독창성, 심미성, 상징성, 희소성이 감정적 가치와 지적 가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가치에는 상징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독창성, 심미성, 희소성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가치에는 심미성과 상징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독창성과 희소성은 사회적 가치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인 감정적 가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지적 가치는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 중 상징성이 모든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이 동일품목의 다른 제품에 비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예술성을 갖춘 고급제품으로 인지하고,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소유함으로써 소비자가 이 제품을 구입할 여유와 안목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상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Recently customers' epistemic need and emotional need tend to get higher. One thing that can satisfy such customers' need is art. Art could be a product which requires both human cognitive ability and emotional ability. Because art works are products which reflect the current times and integrate creativity. Art collaboration products, which are produced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art and commercial products have a meaning beyond the products. Currently many corporations introduce art collaboration products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and artists. Art collaboration was done mainly with high-priced products in the early days, however recently it is mostly done with daily necessities and low-priced products. This way, active collaboration with art in various industry means that customers perceive the value of art collaboration products. Art collaboration products have creativity which has more creative element than general products, since they have collaboration with art, and emphasize aesthetics. Also, different from general products, they are assigned with symbolic characteristics, and since they are sold limitedly, they have scarcity. Therefore, Originality, Aesthetics, Symbolic, Scarcity could be the characteristics of art collaboration product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rt collaboration products on customers' perceived value and product purchasing intention by dividing perceived value into four dimensions(i.e.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financial value, and epistemic value). 255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data of this research targeting the people in their 20s~30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and LISEREL 8.7. As the analysis result, originality, Aesthetics, symbolic, and scarcity,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art collaboration, significantly affect both emotional value and epistemic value. However, with regard to financial value, only symbolic had significantly affect, while originality, aesthetics and scarcity don’t affect significantly. And with regard to social value, only aesthetics and symbolic affect significantly, while originality and scarcity don’t affect significantly. Customers' perceived value(e.g. emotional value, financial value, social value, and epistemic value) all appeared to have significantly effect on art collaboration products purchasing intention.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 that symbolic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collaboration products affect all perceived value, so that it displays that customers perceive art collaboration products as high-quality products which have artistry compared to other products of the same item, and possessing art collaboration products symbolizes that the customers have affluent and discernment to purchase this product. And in the situation that product’s difference gets difficult, this research shows that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new products which can satisfy customers' demand through continuous art collab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