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절화 장미의 줄기 절단 방법에 따른 수분흡수량의 차이

        주나리(Na Ri Joo),이정아(Jung A Lee),박천호(Chun Ho Pak),서정남(Jung Nam Suh) 한국원예학회 2004 원예과학기술지 Vol.22 No.2

        절화의 절단방법과 수송 유무에 따른 수분흡수량의 차이를 측정하여 최적의 절단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절화장미 ‘Calipso’와 ‘Vital’을 대상으로 7가지 절단처리 방법을 작용하였다. 15℃와 25℃ 온도에서 ‘Calipso’ 절화의 절단법에 따른 수분흡수량은, 깨끗한 사선으로 절단한 처리의 흡수량이 가장 많았고 거친 수평으로 절단한 처리의 흡수량이 가장 적었다. ‘Vital’ 장미의 수송유무에 따른 수분흡수량은 모의수송 처리구의 경우 깨끗한 사선으로 절단한 처리의 수분흡수량이 거친 수평으로 절단한 처리에 비하여 유의성이 있었고 생체중도 깨끗한 사선의 절단면이 거친 수평 절단면 처리에 비해 무거워 그 차이가 뚜렷하였다. 반면, 모의수송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두 처리구 간의 흡수량과 생체중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수분균형은 5일째부터 모든 처리구에서 흡수량보다 증산량이 많아져 절화의 수분균형이 무너졌다. 또한 절단면적에 따른 수분흡수량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추가적으로 실시된 실험에서는 절단 면적이 넓을수록 수분흡수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o optimize stem-end cutting method under transport stimulation conditions, water uptake potential was investigated in Rosa x hybrida, ‘Calipso’ and ‘Vital’ roses. Seven stem-end cutting methods were applied to roses with or without transport simulation. During storage at 15℃ and 25℃, ‘Calipso’ rose showed largest water uptake by treatment of sharp-diagonal cut, while least water uptake by rough-horizontal stem-end cutting at both the temperatures. In the experiment of transport simulation combined with cutting treatments using ‘Vital’ roses, water up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harp-diagonal treatment than in rough-horizontal treatment after transport simulation. Fresh weight was heavier by sharp-diagonal stem-end treatment than by rough-horizontal stem-end treatment.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 uptake and fresh weight between the cutting treatments when roses were not transport-simulated. Starting from the 5th day of the treatment, water balance began to reversed when water transpiration rate was higher than uptake in each treatment. Additional experiment on cutting area indicated that water uptake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cutting area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식물번식 프로그램이 저학년 아동의 생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곽혜란,손선녀,주나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생명 존중 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등 1학년 교육과정을 분석 하여 식물 번식과 관련된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학습내용과 통합 후 수준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재량학습을 통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Y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식물번식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와 연관된 영향을 조사하였다. 양적 조사는 생명 존중 의식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때 하위영역은 인간생명 존중, 동물생명 존중, 식물 생명 존중, 통합 생명 존중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결과는 실험반과 비교반을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조사는 식물 번식 프로그램 후 실험반과 비교반을 대상으로 식물에 관한 역할극, 식물에 관한 시쓰기, 생명에 관한 연상하기를 생명 존중 의식과 관련된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조작적 정의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여 영역에 따른 어휘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식물 번식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생명에 대한 생각을 지식적인 측면만이 아닌 생명에 대한 사랑과 다정한 마음을 내면화키고 이를 통하여 학생의 인간, 동물, 식물, 통합 생명 존중 의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물 번식 프로그램의 적용은 자신과 사람의 생명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동물, 그리고 식물과 자연까지 살아있는 소중한 존재임을 알게 하여, 인간, 동물, 식물 그리고 더 나아가 지구상의 모든 것이 함께 살아가는 것이라는 것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 태도를 갖게 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 the textbook of 1st graders to organize plant propagation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1st graders educational process. Plant propagation program was also conducted to inspect the effect of plant propagation activities on the changes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of 1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changes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was examined by the questionnaire which have 4 sub categories as 'human life respect', 'animal life respect', 'plant life respect' and 'life respect' as quantitative data by paired t-test. To validate the qualitative changes of 1st graders, student wrote a poem, do a role play and think of words associated with life-respectiveness. To analyze the qualitative changes of student, we classified the words by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each words. As result, the plant propag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students to have more attention of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not only the program let elementary students realize that not only humans were valuable things but also plants and mother nature were all living organisms and that all living things on earth were living together. They also realize that destructing nature means threatening our own lives. In conclusion, the plant propaga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low graders for their life respect consciousness and t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ll living things in earth were together and precious things.

      • KCI등재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Ardisia속 식물의 열 성능 평가

        이나영,한승원,주나리,이종석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8 화훼연구 Vol.16 No.1

        본 실험에서는 Ardisia속 자생식물의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따른 온열환경을 조사함으로써 자생식물의 이 용에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가로 2m, 세로 1.3m, 높이 1.8m, 총 부피가 4.68m3의 밀 폐된 유리 챔버 내에 온도 조건 변화에 따른 실내공 간의 온도 및 습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Ardisia속 식 물에 의한 실내온도의 변화는 24oC 이상의 고온에서 는 식물이 없는 상태에 비해 감온 효과가 있었으며 3 종의 식물 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Ardisia속 식물 중에서 백량금이 온도 변화에 따른 습도 변화가 가장 민감하게 일어나 13%의 습도 변화를 보였고 57.3±3.1%로 비교적 높은 습도를 보였는데, 이에 비해 자금우는 8%, 산호수는 9%의 습도 변화를 보였고 자 금우와 산호수 모두 대부분의 낮 시간 동안 50~55% 의 실내 적정습도 범위를 유지했다. 식물체의 실내 발 열체로서의 열성능 평가 결과, 실내 온도를 28oC에서 26oC로 감온 시에는 식재에 의한 냉방 효과가 비식재 공간에 비해 7.5~13.6배 높았고, 적정온도 이상의 고 온에서는 자금우에 의한 냉방 효과가 백량금과 산호수 에 비해 더 좋았으며 적정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 었다. 실내 저온 조건에서는 비식재 공간이 식물을 배 치한 경우보다 높은 열량을 나타내 식물이 저온 조건 에서 냉방효율을 낮추므로 적정온도를 유지하는데 효 과적이었다. 이로서 Ardisia속 식물은 고온의 실내에서 주위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적정온도를 유지시키는데 효 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by Ardisia species planted in indoor space. Three Ardisia species (Ardisia japonica, Ardisia crenata and Ardisia pusilla) were used in this study and difference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ascertained in an empty chamber with and without plants. In high temperatures over 24oC, Ardisia species cooled down chamber more as compared to the control without plan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rdisia species. Ardisia crenata showed high relative humidity of 57.3±3.1% during most of the day time and 60.8±2.5% at low temperatures. However, Ardisia japonica and Ardisia pusilla showed 54.7±1.18% and 52.5±2.4%, respectively, on the average, and they maintained comfortable relative humidity during most of the day time. When the setting temperature was decreased from 28 to 26oC, Ardisia species showed 7.5~13.6 times greater cooling efficiency as compared to the control without plants, and at low temperatures the chamber without plants showed higher themal energy than the chamber with plants. Ardisia species were effective on cooling down the temperature at high temperatures and they showed a tendency to maintain proper temperatures at low temperatures.

      • 선박충돌과 인과관계

        강지혜(Kang, Ji-Hye),주나리(Joo, Na-Ri),임석원(Lim, Seok-W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9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ship collision and importance of causation decision. For example, the causal relationship of crashes due to internal factors or external factors. In addition, criteria for judging causality was reviewed. Also, applicaion to the case of collision accident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negligence was considered.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identifying the cause of a crash. moreover, It is need to conclude the final the causal relationship in damages compensation.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establish a causal relationship, and the causal relationship is very close to the judgment of responsi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