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네트워크 사회의 사회적 개인의 발현과 공조: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의제제안, 의제연결, 집단화 과정을 중심으로

        조희정 ( Hee Jung Cho ),이상돈 ( Sang Don Lee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1 시민사회와 NGO Vol.9 No.2

        이 글은 스마트 모바일과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로 추동되는 네트워크 사회로의 발전 속에서 시민의 자유로운 참여를 의미하는 사회적 개인의 실천, 신뢰와 공감에 의해 구성되는 네트워크 공조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에 대한 사례로 국내외 사례를 의제제안, 의제연결, 집단화 단위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술 매개를 통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사회의 민주주의의 특징이 사회적 개인과 네트워크 공조로 구성됨을 밝히고 그것의 정치적 가치를 강조한다. 먼저 의제제안 과정은 속보 전달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에 기반하여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시민의 자발성에 의해 일상적인 의제들이 노출되고, 상시적인 시민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약한 유대가 형성되고 있다. 네트워크 사회 속 개인은 상시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생산하는 과정의 중심이 된다. 다음으로 의제연결은 의제제안에 기반하여 개인 혹은 단체를 연결하거나 이슈에 따라 자원들의 연결을 도와준다. 이는 공조를 통한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지기도 한다. 개인의 자원은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연결은 유사한 목적을 가진 개인과 자원을 가지고 있는 단체와의 연결을 통해 의제 확대를 이끌어낸다. 본 논문에서 세 가지 유형의 참여형태를 관통하는 새로운 민주주의의 원리를 사회적 개인과 공조라고 본다. 이는 적극적 개인의 사회적 실천을 토대로 발전되며,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 사회가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가 동시에 결합되어 발전된다. This paper takes the issue of network collaboration which is made with the social trust and sympathy, the practice of social individual these are driven in the process of networked society, smart mobile and social media. And study the relative local and overseas cases through the issue proposal, contact, analysis of group unit. This work finds and suggests the political value and the nature of networked society in democratic based is composed of the social individual and network co-operation. First, the issue proposal is developed by the networked environment that makes possible fast information transmission. With this process, these general issues are exposed by the spontaneity of civic, And an individual in networked society is being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center of acquisition and production that is connected by the network. Second, based on the issue proposal, the contact connects individual or group in issue bases. IT gives more effective result by mutual-assistance. The resource of individual is fairly limited. That` why the mutual connection of individual and group make possible to bring the extended issue. In conclusion, these three types of approach to access new democracy are the result of collaboration with social individual. And the social practice of aggressive individual lead the development of the new democracy. In this process, the chang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provided by networked society combines and develop into the new democracy.

      • 19대 총선에서 온라인 선거운동 관리의 과제

        조희정 ( Hee Jung Cho ) 한국선거학회 2012 선거연구 Vol.2 No.2

        온라인 선거규제는 1996년부터 시작하여 2005년부터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채 10년이 되지 않은 기간 동안 중요 선거 시기마다 제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였다. 논쟁이 제기된 근본적인 원인은 신기술을 따라가는 법제도의 늦은 반응성혹은 과거의 부정선거 단속이라는 제도적 경로의존성을 버리지 못한 것에서 많은 사회적 폐단이 발생한다는 비판에 근거한다. 그러한 논쟁의 반복 과정에서 제도는 여전히 지체되었고 시민사회에서는 표현의 자유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여러 조항에서의 지나친 제한과 정부 개입의 과도함에 대한 비판 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였다. 이 글은 SNS 사용 확대를 배경으로 온라인 선거운동이 전면 허용된 19대 총선에서 온라인 선거규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19대 총선에서 나타난 온라인 선거규제의 특징을 알아보고 향후 남아 있는 과제를 정리한다. 특히 제도적 고려사항이 여전히 남아 있음에 유념하여 온라인 선거규제의 원칙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1996, starting the online election regulations have been earnest in 2005. However, to date, not less than 10 years for each system during the critical period for the election has caused controversy. New technologies have raised controversy to follow the fundamental cause of law enforcement late reactive or past election did not abandon the institutional path dependence occurs from many social problems that are based on criticism. Such an process of debate and delay in the system is still freedom of expression in civil society, as well as other restrictions and excessive government intervention in various provisions of the transitional and ongoing criticism as was suggested. Increased use of SNS in the background of this article online campaigning is allowed in the front line in the 19th general election by analyzing the Regulations appeared online in the next electio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gulatory challenges that remain to clean up. Still remain particularly in the institutional considerations in mind restrictions on the principle of an online campaign is to propose suggestions.

      • KCI등재

        고전 서사물 반-공감적(反共感的) 감상 연구 -인물의 고통을 대하는 비-연민적(非憐憫的) 태도를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6 No.-

        이 논문에서는 문학 교실에서 학습자들이 문학 텍스트 속 특정 인물에 공감하지 않는 비-공감/반-공감 감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선악 서사에서 악인에게 공감하는 감상 결과는 종종 작품 속 다른 인물들의 고통에는 무감한 비-공감과 선인들이 더 선인다웠어야 한다는 질책성 반-공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감상 현상은 공감이 지닌 스포트라이트 속성을 보여준다. 문학 교실 내 고전 서사물 감상에서는 인물의 고통에 비-연민적 태도를 드러내는 감상 결과와 종종 마주치곤 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고전 서사물 감상에 관여하는 다양한 맥락의 교차 지점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학습자들이 고전 서사물을 감상하며 선인과 악인에게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자들은 선악 서사를 감상하며 선인과 악인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다르게 적용한다. 학습자는 악인으로 평가받는 인물과 수평적 관계를 맺으며 악인의 서사에 공감적 이해를 시도하는 것과 달리, 선인으로 평가받는 인물들과는 수직적 관계를 맺은 채 등장인물보다 우월한 지위에 있는 재판관의 위치에서 선인들의 일거수일투족을 평가하곤 한다. 둘째, 고전 서사물 감상에 자주 등장하는 ‘창의성’이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악 서사 혹은 선인이나 악인에 대한 기존 평가를 비트는 질문들 중에는 선인에 대해서는 반-공감을, 악인에 대해서는 공감을 유도하는 질문들이 많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고전 서사물 감상에서 선인 혹은 악인에 대한 평가는 ‘기존의 평가 뒤집기 = 창의적 접근 = 선인에게 반-공감하기 = 악인에게 공감하기’의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셋째, 공감이 야기하는 ‘스포트라이트’ 현상이 뚜렷이 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비-연민적 감상 태도를 드러내는 학습자들은 선인에게 반-공감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는 반면, 작품 속 악인이나 작품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주변 인물에 공감을 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감상 과정에서는 공감의 스포트라이트 효과가 작동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고전 서사물 감상에서 작품에 제시된 다양한 고통의 서사를 탐색하는 것은 공감의 한계를 제어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자리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서 다루는 고통의 종류와 내용은 인간들이 실제 삶에서 부딪치는 고통만큼이나 다채롭고 다양하다. 고통의 서사에 대한 탐색은 인간의 삶에 대한 탐색이다. 고전 서사물 감상 국면에서 인간의 고통에 주목하고 다양한 고통의 서사를 연민의 태도로 탐색하는 교육 내용은 고전 서사물의 주요 주제를 고찰하는 시각이 될 수 있으며, 공감 중심 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능하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d phenomena where learners do not exhibit empathy according to the order inherent in the text in the literature classroom, especially the non-empathetic/anti-empathetic appreciation results lacking empathy for a specific person in the text. In the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the instance where sympathy for a character and anti-empathy intersect can often be found when viewing good and evil narratives with a clear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If the existence of a suffering human being is the inevitable result of an evil act, it is not justified to evaluate the good and evil in a literary work, neglecting the existence of the suffering human. Nevertheless, in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in the literature classroom, the literature classroom often encounters the results of appreciation that reveal a non-compassionate attitude to a character’s suffering.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at the intersection of various contexts involved in the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First, because learners appreciate classical narratives and apply different standards to the good and the wicked, the learner establishes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evaluated as being bad, and tries to understand the wicked person’s narrative sympathetically. On the other hand, they have a vertical relationship with people who evaluated as being good. They evaluate the progress of the predecessors in the position of judges who are superior to the characters. Second, it is because “creativity”, which often appears in appreci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intervenes. Among the questions that twist the narrative of good and evil or the existing evaluation of good or bad, there are many questions that induce anti-empathy for the good and empathy for the bad. Third, it is because the “spotlight” phenomenon caused by empathy clearly manifests. Empathy is advantageous in concentrating on the pain of a specific person and imagining the depth and concreteness of the pain. However it is vulnerable to broadly reflecting and examining the entire situation in the work. Regarding the aspect of appreciating classical narratives,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focuses human suffering and explores various narratives of pain with compassion can serve as a perspective on the main themes of classic narratives, and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 escape empathy-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개인발표 : 고전시가교육 평가 연구 (1) -평가 프레임을 중심으로-

        조희정 ( Hee Jung Ch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0 문학교육학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rame on the evalu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The concept of frame is derived from cognitive psychology. The frame on the evaluation of Korean education is defined as the psychological structure that forms people`s way of thinking concerned with Korean education. The frame on the evaluation of Korean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a listing frame and a positioning frame which are made by effects on learners in Korean evaluation. The former is influenced strongly by outside situations of Korean subject, The latter is planned by inner principles of Korean subject. Two frames are different views on same evaluation and intend to make different types of evaluation. In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evaluation, there isn`t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frame on the evaluation and an assessment tool in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Some types of assessment can be used for both frames. In studies of Korean education evaluation, most studies are based on a positioning frame.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유아를 위한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리더십 교육 방향 모색

        조희정(Cho Hee 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현상학이 지니고 있는 사상적 특성을 살펴보고 교육과 유아 리더십 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현상학의 사상적 특성은 이성중심에서 탈피하고, 역동적 상호작용의 중시, 절대주의와 보편주의에서 다양성과 다원성의 지향, 고정되고 획일화된 틀의 지양과 새로운 대안적 방법을 추구한다는 점이며, 이것을 두 관점의 공통점으로 보았다. 우리의 미래 인재들인 유아들이 미래의 다원화 세계 속에서 잘 적응할 뿐 아니라 유능한 사회인으로서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리더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 유아들은 교과활동 속에서 만나는 다양한 맥락 내에서 미래의 리더십 기술을 위한 기초형성을 유아기에 할 수 있으며, 리더로서의 잠재성을 확인할 뿐 아니라 그들의 재능 또한 발달시킬 기회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a ideal feature which can be emanated from the postmodernism and phenomenology and describ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leadership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ideal feature of the postmodernism and phenomenology noted as an emancipation of reason-oriented thinking, an emphasis on dynamic interaction, a preference of variation and pluralism from the absolutism and universalism, an emancipation of a fixed and uniformed frame, and the pursuit of new alternatives. The chief features notes as a common feature of two viewpoint. Change of education need so that young children might adapts themselves to the pluralism and technetronic world as well as lead to transformation. Young children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future leadership skills in diverse context within the subjects activity, and nor only should these potential leaders be identified, but also their talents need the opportunity to develop.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수업목표 인식에 따른 수업실행 및 반성

        조희정(Cho, Hee-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목표 인식에 따른 수업경험과 반성이 어떠한 의미를 주는지를 알아봄으로서 교사교육 교수자들에게 시사점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모의수업 모형은 ASSURE 이론을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모의수업 상황에 맞게 개발한 모형으로, 모의수업 절차 항목과 수업반성전략을 포함한다. 연구 참여자는 S시에 소재한 A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으로 2012년 2학기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교과목을 수강한 40명이다. 모의수업에 대한 코멘트 기록지, 모의수업 평가지, 마이크로티칭에 의한 자기행동관찰, 저널분석, 피드백과 토의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 모형에 기초한 수업을 통해 수업목표를 인식함에 따라 짜임새 있는 계획안 작성과 그동안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숨어있던 요소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체계적인 계획안 작성이 수업을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또한 수업의 방향을 잡게 하는 목표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계획안 작성이 유아중심의 수업을 생각하게 하고, 교구에 대해 새로운 생각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양한 수업반성전략은 자신의 수업 반성은 물론 공감과 격려를 통한 성장의 계기를 갖게 되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으며,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수기술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suggestions to instru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analyzes the main meaning of lesson implementing and reflec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instructional objectives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simulated instruc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dure of entering simulated instruction and refl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using ASSURE theory.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0 early childhood education juniors, studying in 2012 at a four year university in S city.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follows: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comment record of the simulated instruction, self behavioral observation through microteaching, reflective journal, feedback and evaluation by researcher and colleague, lesson plan, researcher feedback on reflective journal, discussion material on the feedback, evaluation checklist. To find out the result of data analysi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ystematically wrote lesson plan through model application, and in the meantime found elements hiding that they had not seriously thought about. These systematic plans to write gave me to confidence that I could do a better lesson. Also, creating a lesson plan that was based on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that could seize the direction of the lesson made me think of early childhood oriented education and there was an opportunity to reflect some new thinking about the media. Through a variety of assessments that reflected their own lessons and had been a valuable experience for them through empathy and encour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교육과 교과서 ; 국어 교과서의 역사적 변천 연구

        조희정 ( Hee Jung Cho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본 논문은 해방 이후 각 교육과정별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습자가 접하는 첫 교과서-초등학교 1-1학기, 중학교 1-1학기, 고등학교 1학년(혹은 상권)-의 초판을 기준으로 서지 사항, 단원의 구조, 1단원 학습 내용을 고찰하였다. 정부 수립 이전 국어 교과서의 저자는 민간 학회인 조선어학회이며, 정부 수립 이후 정부 내에서 문교 행정을 담당하는 문교부-교육부-교육인적자원부로 이어졌다. 4차 이후 저자와 편찬자가 분리하였는데, 교과서 편찬 기관은 국가 기관에서 민간의 기관으로 이월하는 모습을 보인다. 교과서의 판형은 신국판에서 4×6배판으로 변화하며 ``읽기`` 중심의 강독 교재에서 ``활동`` 중심의 교과서로 변모하였다. 국어 교과서의 기본 학습 단위는 ``단원(單元, unit)``이다. 해방 직후 국어 교과서는 제재 자체가 단원 전체인 모습을 띤다. 읽기 자료 중심의 국어 교과서 구성은 국어교육 내 다른 영역은 교과서에서 배제한 채, 국어 교과서 단원 전체가 ``읽기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삼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개별 단원들의 학습 차이는 다양한 갈래의 읽기 제재를 통해 서로 다른 갈래의 글 읽기로 구현되도록 의도하였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후 국어 교과서는 제재와 학습 활동으로 구성된 소단원의 연쇄 구조를 취하다가, 4차 중학교 교과서부터 대단원과 소단원의 중층적 체계가 자리 잡게 된다. 각 학교 급별 국어 교과서 1학년 1학기 1단원에서는 단위 학교에서 처음 배워야 하는, 국어교육의 학습 내용을 전진 배치시키기 마련이다. 4차 교육과정기의 <바른생활 1-1>을 제외하면, 초등 1학년 1학기 1단원에서는 ``그림 읽기``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글자 학습의 동기를 끌어내는 데 주력하였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 1학년 1학기 첫 단원에서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기를 관통하는 하나의 흐름을 찾아내기 어렵다. 고등 국어 교과서는 1차와 5차 교과서에서는 국어 활동을 중심에 둔 학습 내용이 제시된 반면, 다른 시기에는 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갈래의 읽기 제재가 제시된 읽기 교육이 설계되었다. This thesis aimed to research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structure of a unit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in the Korean textbooks during all periods of curriculum after Korea`s emancipation. The materials for this study are the first edition of the first grade Korean textbooks in a primary school, a lower secondary school and a upper secondary school. Before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ment, authors of Korean textbooks were an academic society which was named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fter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ment, authors were replaced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government. The format of Korean textbook was changed from A5 size in black and white to B5 size in full color, which reflected a change of the viewpoint that a textbook was a workbook for a learner`s language activity, not a set of materials for reading. The Korean textbook is composed of a lot of units. The first unit looks the first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in the each school step.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etters, which used various illustrations, has been focused on in the first unit of the primary Korean textbook. As distinct from the primary Korean textbook, there is nothing in common with between the first unit of lower secondary Korean textbooks. The contents of the first unit of upper secondary textbooks were both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ased on Korean activity, speaking and listening, and various materials for reading including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공과대학 프로젝트형 글쓰기 상담 연구 -제안서와 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조희정 ( Hee Jung Cho ),이희영 ( Hee Young Lee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본 논문에서는 공과대학 대학생들의 프로젝트형 과제에서 요구되는 글쓰기 갈래의 특징을 살피고 면대면 글쓰기 상담을 통해 공과대학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글쓰기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 초점을 둔 글쓰기 갈래는 공과대학의 전공 글쓰기에서 학습자들에게 자주 요청되는 프로젝트형 과제의 제안서와 결과보고서이다. 프로젝트형 과제는 소규모 그룹 중심으로 협업을 기본으로 삼는 집단 글쓰기로 개발한 기술을 구매할 기업이나 개인을 예상 독자로 상정한다. 글쓰기 상담을 통해 확인한 바는 공과대학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과제형 글쓰기에서 겪는 어려움은 제안서와 결과 보고서에 수록할 내용이 없어서라기보다는 각 갈래의 특징을 이해하지 못 한 상태에서 글을 써야 하기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즉, 공과대학 학습자들은 내용 생성의 측면보다는 내용 구성의 측면과 내용 표현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공과대학 프로젝트형 과제의 글쓰기 교수-학습 내용으로는 첫째, 제안서와 결과보고서 같이 프로젝트형 과제에서 요구하는 갈래의 특성에 대한 이해, 둘째, 팀별 기술 개발 과정에서 생성한 내용을 구조화하고 배치하는 내용 구성, 셋째, 구체적이고 간결한 문장 구조 중심의 글쓰기가 되도록 문장 표현 등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specific features of writing genre which was generated in proceeding engineering & technology related project and provide a writ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to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 technology. For this study, we had face to face writing counselling with students. The writing genre we discussed in this study is project documents including project proposals and project reports that students in engineering & technology are asked to write. This project assignment was a team work, and project documents were written by team members in a cooperative way. This project document aims at potential buyers, individuals or corporations who are also presumed readers. We proceeded the project documents writing counselling with students in respects of writing ``The purpose of project``, ``Table of contents and arrangement of diagrams``, ``Wrong sentence structures`` of project proposals and ``Table of contents``, ``Explanations of the required items and editions of contents``, ``Wrong sentence structures`` of project reports. Students in engineering & technology have troubles constructing contents and using proper expressions of words and sentences even though they know what to write. Their troubles are based on that they are not aware of specific features of writing genre they are working on. Therefore, three factors should be taught and emphasized in writing project documents of engineering & technology college. The first,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specific features of writing genre. The second, students should know how to organize contents in a process of the project. The third, students should know how to use right words in right places and to write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s in their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