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발생한 전거비 인대 거골 부착부 견열 골절(1예 보고)

        조형래,황태혁,왕태현,김근영,Cho, Hyung-Lae,Hwang, Tae-Hyok,Wang, Tae-Hyun,Kim, Keun-You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5 No.3

        Inversion injury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is very common. Few studies, however, have focused on avulsion fracture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A fracture producing a small fragment usually avulsed from lateral malleolus and may be easily misdiagnosed as a sprain because the fragment is superimposed on the lateral malleolus and goes undetected on early radiographs, especially in skeletally immature patients. We present a case of isolated avulsion fracture of the talar attachment of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in 13-year-old male patient. Diagnosis was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avulsed fragment was fixed to original talar footprint with suture anchors. A high level of suspicion must be maintained to obtain an accurate diagnosis of avulsion fracture in inversion ankle injury because of the high incidence in children and to prevent recurrent instability.

      • KCI등재후보

        산욕기 과보온으로 야기된 산욕기 발한 과다에 대한 증례 보고

        조형래 ( Hyung Lae Cho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5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18 No.4

        Purpose: The keeping warm and avoidance of cold are one of important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but sometimes overwarm for example over-bundling, an overheated room or a steam bath cause heavy sweats. I observed and treated three patients complained of heavy sweats, chills, fatigue, malaise, cold sensation and pain caused by keeping overwarm for postpartum care. Although the symptoms have aggravated, they have maintained keeping overwarm because of a belief of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The purpose of these cases studies are to report postpartum hyperhidrosis caused by keeping overwarm and to make a point of keeping the appropriate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during puerperium. Methods: I observed and treated three patients complained of heavy sweats, chills, fatigue, malaise, cold sensation and pain caused by keeping overwarm for postpartum care. I found that a cause of the symptoms was hyperhidrosis by keeping overwarm, and administered herbal medicine and was to keep the appropriate room temperature. Results: After medication of Herbal medicine(補中益氣湯加味方) and keeping the appropriate room temperature, they were improved. Conclusion: Postpartum care is not to keep overwarm but to keep the appropriate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 KCI등재
      • KCI등재

        야구 선수에서 발생한 제5요추의 비전형적 척추분리증: 2예 보고

        조형래 ( Hyung Lae Cho ),김두열 ( Doo Yeol Kim ),진홍기 ( Hong Ki Jin ),김지훈 ( Ji Hoon Kim ) 대한스포츠의학회 2021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9 No.4

        Lumbar spondylolysis is a frequent cause of low back pain especially in adolescents involved in sporting activities. It is considered as a fatigue-type defect in the pars interarticularis or isthmus resulted from repetitive hyperextension and rotation on the spine; however, there is still confusion in regard to imaging findings of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defect. We report two unique cases of fifth lumbar spondylolysis in professional baseball hitter and adolescent pitcher; early-stage unilateral incomplete isthmus fracture and bilateral fracture in a different configuration, respectively. Computed tomography demonstrated vertical and more coronally oriented fracture lines compared with typical spondylolytic defect, and repetitive rotation in the same direction of pitching might cause a different type of fracture on the contralateral isthmus with the preexisting unilateral defect. Intriguingly, early-stage unilateral fracture in hitter was united after only 6 weeks of rest and rehabilitation and able to return to the game.

      • KCI등재

        견관절 탈구의 도수 정복 중 생긴 의인성 골절 -2예 보고-

        조형래 ( Hyung Lae Cho ),김형민 ( Hyoung Min Kim ),박기봉 ( Ki Bong Park ),왕태현 ( Tae Hyun Wang ),이동현 ( Dong Hyun Lee ) 대한골절학회 2016 대한골절학회지 Vol.29 No.1

        견관절 탈구는 응급실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급성 관절 외상 중 하나이며 도수 정복을 통해 대부분 정복된다. 그러나 고령환자의 경우는 무리한 도수 정복 시 의인성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복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저자들은 견관절 전방탈구로 인해 응급실로 내원한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도수 정복 중 생긴 의인성 상완골 간부 골절 및 해부학적 경부 골절이 발생한 2예를 경험하였다. 1예는 최초 견관절 탈구 환자였으며 다른 1예는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였고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하고 있었다. 각각 골수강내 금속 정 및 역형성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Shoulder dislocation is the most common dislocation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In old age, the attempt of closed reduction is made with caution in order to prevent iatrogenic fracture around the shoulder. We report two cases of iatrogenic fractures of humeral shaft and anatomical neck in female patients older than 70 years old, which occurred during the manual closed reduction. One patient was proved as first-time and the other was recurrent. In addition, the second case had a massive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 Those patients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humeral nailing and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respectively.

      • 중학교 야구선수에서 시행한 주관절 초음파 검사의 결과

        황태혁,조형래,왕태현,진홍기,Hwang, Tae Hyok,Cho, Hyung Lae,Wang, Tae Hyun,Jin, Hong Ki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2

        목적: 중학교 야구 선수의 단체 검진에서 확인된 주관절 초음파 검사의 이상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4개의 중학교 야구부를 방문하여 주관절 통증 유무에 상관없이 총 93명의 선수(나이: 12~15세, 평균: 13.5세)에게 양측 주관절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는 양측 주관절의 내측과 전외측을 검사하여 각각 내상과 골단의 분리나 분절, 소두 박리성 골연골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주관절 통증 유무, 이학적 검사 소견과 초음파 이상 소견의 관계 및 투수와 일반 야수들의 초음파 소견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총 93명의 선수 중 36명(39%)에서 우세수의 초음파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내상과 골단 분리 또는 분절이 30명, 주두 박리성 골연골염은 2명, 두 병변 모두가 동반된 경우가 4명 이었다. 주관절 통증이 있는 37명 중 29명(78%)에서 초음파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학적 검사 상 내상과 골단 이상은 내측부 압통(59%), 외반 부하검사(52%)에서 양성을 보였으며 박리성 골연골염을 보이는 6명 중 5명(83%)에서 $5^{\circ}$이상의 주관절 굴곡 구축이 있었다. 내상과 골단 이상은 투수와 야수에서 진단 빈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박리성 골연골염은 투수에 많았다(p<0.05). 결론: 주관절 초음파 검사는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유용한 선별 검사이며 청소년 야구 주관절 통증의 주 원인이 되는 주관절 내상과 골단의 이상이나 박리성 골연골염을 조기 발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the elbows on group screening of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 Materials and Methods: Ninety-three players (age: 12-15, mean 13.5 years) of four middle school baseball team were evaluated with bilateral elbow ultrasonographies in the field regardless of elbow pain. Medial and anterolateral ultrasound examination of the both elbow were performed in the field to detect any abnormalities including medial epicondylar separation or fragmentation and capitellar osteochondritis dissecans respectivel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elbow pain, physical findings and sonographic abnormalities and the differences of sonographic abnormalities between pitchers and fielders. Results: Thirty-six of 93 (39%) players had sonographic abnormalities of elbow in dominant arm, 30 with medial epicondylar apophyseal separation or fragmentation, 2 with osteochondritis dissecans, 4 with both lesions. Twenty-nine of 37 (78%) players with elbow pain had sonographic abnormalities. On physical examination, players with medial epicondylar abnormalities had medial epicondylar tenderness (59%) and pain on valgus stress test (52%), and 5 of 6 (83%) players with osteochondritis dissecans showed flexion contracture more than $5^{\circ}$. The incidence of medial epicondylar abnormalities between pitchers and fielders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but osteochondritis dissecans was more prevalent in pitchers (p<0.05). Conclusion: Elbow sonography is a simple and useful screening tool in the field and also effective for early detection of medial epicondylar abnormalities or osteochondritis dissecans that could be the main causes of elbow pain in adolescent baseball players.

      • 회전근 개 판분리 파열에 따른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의 결과

        구정회,조형래,박만준,김정철,Ku, Jung Hoei,Cho, Hyung Lae,Park, Man Jun,Kim, Jeong Cheo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전층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시 관찰되는 회전근 개 판분리 현상의 유무에 따른 술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관절경하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 48예(남자 31, 여자 17, 평균나이 57.6세, 범위 45~68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파열 크기는 2.8 cm(범위: 1.2~3.6 cm) 이었고 판분리 유무에 따라 봉합법을 달리하여 판분리가 있는 경우 점액낭 층과 관절면 층을 각각 구분하여 봉합하였다.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6개월(범위: 18~33)이었으며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점수와 등속성 근력 평가를 이용하여 기능적 결과를 판정하였고 술 후 평균 8개월(범위: 6~13)에 촬영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을 판정하였다. 관절경하에서 관찰된 판분리 현상의 양상과 나이, 성별, 이환 기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 재 파열 빈도와의 상관 관계를 판정하였다. 결과: 술 후 44예(91.7%)에서 견관절의 기능적 호전을 보였다. 관절경 소견 상 48예 중 15예에서 회전근 개의 판분리(31%)가 관찰되었으며 대부분 내측과 후내방으로 퇴축되어 있었고 분리된 두 층 중 관절면 층이 더 두꺼운 경우가 8예(53%), 점액낭층보다 근위부 및 후내방으로 전위된 경우가 9예(60%)이었다. 최종 추시 상의 기능적 점수는 판분리 현상의 유무와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 이환 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는 판분리 현상과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고령일수록 판분리 현상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p=0.041). 술 후 촬영한 29예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 상 완전치유가 14예(48%), 부분치유가 9예(31%)이였으며 6예(21%)에서 봉합부의 완전 재파열이 발생하였으나 이 중 50%는 임상적 결과가 양호로 판정되었다. 추시 자기 공명 영상 상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에서는 79%(15/19),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는 80%(8/10)에서 봉합부가 치유된 것으로 판정되어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의 복층 이열봉합술은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의 단층 이열봉합술과 유사한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이 관찰되었다(p=0.165). 결론: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 시 판분리 현상은 본 연구에서 약 31%이였으며 이는 고령에서 더 흔히 관찰되었다. 성별, 이환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기능적 결과 및 술 후 만족도에 있어 판분리 파열의 영향은 없었으며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도 판분리 현상이 없는 회전근 개 파열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 after arthroscopic repair in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with and without delam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October 2008, we included 48 consecutive shoulders (31 males, 17 females; mean age 57.6 years; 45~68) who had arthroscopic double row repair for fullthickness tears of the rotator cuff. Mean rotator cuff tear size was 2.8 cm (range: 1.2~3.6) and the techniques of tendon-to-bone fix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elamination; separate row fixations of bursal and articular layer were used in delaminated tear. The mean follow-up was 26 months (range: 18~33) and functional and structural results were evaluated by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ale, isokinetic strength testing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btained mean 8 months (range:6~13) postoperatively. The patterns of delamination, age, sex, symptom duration, size of tear, satisfaction rate, retear rate ware compared and significance was set at p values < 0.05. Results: Postoperative functional shoulder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in 44 shoulders (91.7%). Delamination was observed in 15 shoulders (31%) and it extended proximally and posteriorly in the majority of shoulders, and the articular layer was thicker (8/15, 53%) and more retracted (9/15, 60%) compared with the superficial bursal layer. Final follow up functional shoulder score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non-delaminated and delaminated tears and the presence of delamination had no correlations with sex, symptom duration, tear size and satisfaction rate, however, older age had more delaminated tears (p=0.041). Follow up MRI in 29 shoulders revealed that fourteen (48%) shoulders had complete healing; nine (31%), partial healing; six (21%), complete retear but the half of the retear group showed favorable clinical results. 79% (15/19) in non-delaminated tear and 80% (8/10) in delaminated tear were judged as healed tendon on MRI and double-layer double row repairs in delaminated tears resulted in nearly same rate of structural integrity of single-layer double row repairs (p=0.165). Conclusion: The incidence of delamination in our series was 31% and older age had more delaminated tears. Sex, symptom duration, preoperative size of the tear, functional results and satisfaction rate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presence of delamination. Nearly the same postoperative structural integrity was noted in both delaminated and non-delaminated tears.

      • 외상성 견갑하건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조수현,조형래,구정회,황태혁,박만준,최재혁,Cho, Su-Hyun,Cho, Hyung-Lae,Ku, Jung-Hoei,Hwang, Tae-Hyok,Park, Man-Jun,Choi, Jae-Hyuk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3

        목적: 회전근 개 파열 중 견갑하건의 파열은 극상건이나 극하건의 파열 보다는 드물다. 저자들은 외상 후 발생한 견갑하 건의 단독 파열에 대해 관절경하 봉합술 후 기능적 결과 및 구조적 연속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외상 후에 발생한 편측 견갑하건 파열로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한 15예(남자 13예, 여자 2예, 평균 연령 46.2세, 범위: 35~52세)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 예에서 견갑하건 이외의 다른 회전근 개의 손상의 동반은 없었고 견갑하건의 완전 파열이 9예, 상부 2/3의 파열이 6예였으며 술 후 최소한 2년간 추시 하였다(평균 28개월, 범위: 25~38개월). 술 후 최종 추시 상에서 기능적 평가는 Constant 점수와 미국 견주관절 학회 점수(ASES index)로 판정하였고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봉합부의 연속성을 판정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결과 평균 기능적 결과 지수와 근력에 있어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Constant 점수는 술 전 41.5점에서 술 후 81.3점으로(P<0.05) ASES 점수는 술 전 46.4점에서 89.6점으로 향상되었다(P<0.05). 13예(87%)에서 술 후 결과에 만족하였으며 완전 파열의 경우가 부분 파열보다 기능적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술 후 평균 13개월에 촬영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15예 중 12예(80%)에서 봉합부가 치유된 것으로 판정되었고 봉합부의 연속성이 있는 경우보다 재파열된 예에서 술 후 견관절 기능적 점수가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P<0.05). 결론: 외상성 견갑하건 단독 파열환자에서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한 결과 동통, 견관절 운동역 및 근력의 유의한 향상 을 보였다. 술 후 봉합부의 연속성은 견관절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으며, 비록 완전파열의 경우가 부분파열보다 기능적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otator cuff tears involving the subscapularis are less common than those involving the superior and posterior rotator cuff.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port the clinical results of repair of isolated traumatic tears of the subscapularis tendon.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patients (13 males, 2 females; mean age 46.2 years; range 35 to 52) with unilateral ruptures of the subscapularis tendon after trauma who underwent arthroscopic repair between February 2003 and October 200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ll the cases were isolated tears of the subscapularis without the involvement of any other rotator cuff tendon and were followed for at least two years (mean 28 months). The entire subscapularis was involved in 9 cases and the tear was localized to the upper two thirds in 6 cases.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tus of patients with isolated subscapularis tear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Index (ASES Index) and postoperative integrity was determined through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sults: The average clinical outcome scores and strength were all improved significantly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The constant shoulder score improved from 41.5 to 81.3 points (P<0.05) compared to before surgery and ASES index improved from 46.4 to 89.6 points (P<0.05) postoperatively. Thirteen patients (87%)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he treatment. The total tears were significantly more improved by surgery than the partial tears. In 12 of 15 patients (80%) were judged to reveal healed tendon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t a mean of 13 months postoperatively. The postoperative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patients with a failed repair than it was for those with an intact repair (P<0.05). Conclusion: Repair of traumatic isolated subscapularis tears through arthroscopic techniques effectively restores patient function with regard to pain, mobility, strength and postoperative tendon integrity. The postoperative integrity of the repair correlates with the functional results and the total tears were more improved by surgery than the partial tears, but future studies may be needed.

      • 견관절 오구돌기 골절의 고정 후 발생한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 - 증례 보고 -

        구정회,조형래,조수현,황태혁,박만준,최재혁,Ku, Jung-Hoei,Cho, Hyung-Lae,Cho, Su-Hyun,Hwang, Tae-Hyok,Park, Man-Jun,Choi, Jae-Hyuk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3

        상완골두의 전상방부와 전방 오구견봉 궁 사이의 비정상적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전방부 동통을 유발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이는 견관절부의 수술적 치료로 인해 오구돌기와 소결절 사이의 해부학적 관계가 변형되어 견갑하근과 점액낭을 포함한 주변 연부조직의 충돌을 유발 하게 된다. 저자들은 오구돌기 골절을 유관나사를 이용해 고정한 환자에서 오구돌기하 공간의 협소화로 인해 견갑하건 파열을 동반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을 경험하였다. 관절경하에서 유관나사 제거 및 견갑하건 봉합 시행 후 술전 환자의 증상은 소실되었다.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수술 후 지속적 견관절 동통을 유발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Subcoracoid impingement resulting from abnormal contact between the anterosuperior humerus and the anterior coracoacromial arch represents an uncommon source of anterior shoulder pain. Certain operative procedures can also al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acoid and the lesser tuberosity, leading to impingement of the interventing soft tissue, including the subscapularis and the bursa. We describe an unique case of subcoracoid impingement with the tear of subscapularis tendon after the internal fixation of the fractured coracoid process with cannulated screw due to crowding of the coracohumeral space. Arthroscopic removal of the screw and repair of the subscapularis in our patient resulted in successful resolution of his symptoms. Although subcoracoid impingement is a rare cause of shoulder pain, failure to diagnose and treat this condition may represent a significant cause of failed shoulder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