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기잠식효과를 고려한 혁신 과정의 분석

        조해진,송보미,박용태 한국경영과학회 2014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기술 발전 속도가 급속히 증가하고 혁신의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신제품 및 서비스의 혁신 확산 과정에서 잠재적인 자기잠식(cannibalization)효과를 고려하고 통제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에는 주로 바스(Bass) 모형을 비롯한 집합적(aggregate) 확산모형에 자기잠식효과를 포함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왔으나, 이는 자기잠식효과의 세부적인 매커니즘과 개별 고객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행위자(agent) 기반의 모델링 기법을 바탕으로 혁신 확산 과정에서 자기잠식의 영향을 개별 고객 수준에서 모형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먼저, 기존 제품과 신제품간의 잠재적 자기잠식영역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기업 내부 및 외부의 자기잠식요인을 파악한다. 고객 특성과 자기잠식영역 및 자기잠식요인을 고려하여 고객의 범위와 제품 채택 규칙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고객의 제품 채택행위를 제품 단위의 혁신 확산 과정에 통합하는 행위자 기반 확산 모형을 구축한다. 제안된 방법은 고객의 이질성을 고려한 혁신 확산 과정에서 자기잠식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이에 대한 내부 및 외부 요인들의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신제품 및 서비스의 혁신 확산 과정을 다각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관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Six unrecorded macrofungi from the Royal Tombs (Donggureung and Seooreung) of the Joseon Dynasty and Jongmyo Shrine, Korea

        조해진,임영운,Vladimir Li,Suldbold Jargalmaa,김남규,김민지,이현 국립생물자원관 2018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7 No.1

        Macrofungi are visible to the naked eye and play important ecological roles in nutrient cycles as decomposers and symbionts in forest ecosystems. Collectively, macrofungi have great potential as valuable resources for food, cosmetics, and medicinal uses. We surveyed the Royal Tombs (Donggureung and Seooreung) of the Joseon Dynasty and Jongmyo Shrine, where the surrounding vegetation is well-preserved, to investigate indigenous macrofungi. During surveys in 2015-2016, we discovered six macrofungi that were previously not recorded to Korea. They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using morphological features an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Cruentomycena kedrovaya, Dacrymyces aureosporus, Laetiporus versisporus, Parasola setulosa, Piptoporellus soloniensis, and Pluteus longistriatus. The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and molecular analysis are provided in this study.

      • KCI등재

        4차산업혁명시대에 지역문화클러스터 전략적 계획요소에 관한 고찰 -강릉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해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Now that Korea’s cultural contents are receiving worldwide attention and reputation, In addition to efforts at the national level, various attempts are also being made in local communities to enhance their cultural status and derive economic results through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Creating a cultural cluster is a policy tool that extends these demands. Due to th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brought about by technological changes, the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information industry structure center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now innovative changes are underway in digital convergence industrial form and structure centered on AI (Artificial Intelligence). Considering this periodic environment, this paper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related to industrial clusters and examined the planning factors that should be characteristically considered in the creation of cultural clust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like the case of Gangneungcity. Unlike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create and operate a cultural cluster in the region, Belows are seriously considered. first, consistency with City brands must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cultural policy and public procurement. second, the existence and development potential and unique of cultural resources must be considered. Lastly The fact that the supply and demand requirements of Professional labor force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ome of the policy decis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industries not only from a macro perspective of the national level but also from a micro perspective of a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y level. 대한민국의 문화콘텐츠가 세계적으로 관심과 명성을 얻고 있는 지금, 국가적 차원의 노력과 더불어 지역사회에서도 저마다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발굴과 개발을 통해 문화적 위상을 높임과 동시에 경제적 성과를 도출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문화클러스터 조성은 이런 요구의 연장선상에 있는정책적 수단이다. 기술의 변화가 가져온 사회환경의변화로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정보통신을 중심으로 한 정보화산업구조로 변화하였고, 현재는 4차산업혁명의 시대로 명명되면서 AI(Artifical Intelligence)를중심으로 한 디지털 융복합형 산업형태와 구조로 혁신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이런 시대적 환경을 고려하면서 문화클러스터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기존의 계획요소만으로는 제대로 평가할 수 없는 지금 이 시대에 필요한 중소형 도시의문화클러스터 조성에서 특징적으로 고려해야 할 특징적이고 전략적인 계획요소를 강릉시의 사례를 통해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와 달리중소형 도시에서 문화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운영하기위해서는 첫째, 문화정책부분과 관련하여 도시브랜드와의 정합성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그지역만이 갖고 있는 문화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문화자원의 존재여부와 발전가능성을 따져보아야 한다는점, 마지막으로 전문인력의 수급여건을 변화하는 환경에 맞추어 제대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 전략적으로 비중있게 다뤄져야 함을 밝혔다. 본 연구가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국가차원의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물론이고 지방중소도시 차원의 미시적인 관점에서도 한국의 문화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결정에 일정부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문화유산의 콘텐츠제작 활성화에 관한 연구 -강릉대도호부관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해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Until now, the value creation of cultural heritage has mostly been studied and discussed in the realm of tourism. Cultural heritage has been used as a resource to attract tourists, with its special nature as well as its own, but in the digital age represented online, cultural heritage is no longer just a tourist resource. While tourism offers an opportunity to access cultural heritage through direct experience such as visits and experiences, cultural contents need to be considered clearly separate from the areas of tourism in the sense that they enjoy storie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regardless of time or place. Tourism, contents and cultural heritage are in a mutually exclusive relationship and have their own boundaries. And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has been produced steadily for a long time in the areas of humanities such as history, folklore, literature, and sociology such as tourism and economics. However, the history of research on content has not been long, and the discussion of content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cannot be long-lived. However, the increasingly large convergence of the content industry and cultural heritage has become a challenge in an era that cannot be delayed. To that end, I reviewed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at Korea and abroad on the creation and activation of contents creation and production of Gangneung Daehobukwana. I also looked at the research reports and white papers published by the releva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As the result of that research, I suggested three ways to promote the creation of contents for a study of the specific facts of Gangneung Daedobukwana’s active creation and production, the first being the creation of a culture cluste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is very related to geographical integration, and the cultural industry also confirmed the same,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lustering around Gangneung Daedohobukwana.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story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of story resources related to local cultural heritage will be an area that responds to the diverse possibilities and functions of the story industry. Finally, I looked at establishing a virtuous circle of creativity and consumption, and I believe that this field is a task to continue to be watched with interest for the time being. 지금까지 문화유산의 가치창출은 대부분 관광의 영역에서 연구되고 논의되어 왔다. 문화유산은 지역이라는 특수성과 그 지역만이 갖고 있는 고유성이라는 특징을 내세워 관광객을 불러 모으는 자원으로 활용되어 왔는데 온라인으로 대표되는 디지털시대에 문화유산은 더 이상 관광자원으로만 머무르지 않는다. 관광은 방문과 체험 등 직접 경험을 통해 문화유산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 비해서 문화콘텐츠는 시간과장소에 구애 없이 문화유산을 접하고 문화유산과 관련한 스토리를 향유한다는 의미에서 관광의 영역과는분명히 구분되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관광과 콘텐츠와 문화유산은 상보관계에 있으면서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문화유산과관련한 연구는 기초학문 분야인 역사학, 민속학, 문학등의 인문학 분야와 관광학, 경제학 등의 사회학의 영역에서 오랫동안 꾸준히 연구결과물이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콘텐츠와 관련한 연구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문화유산과 관련한 콘텐츠에 대한 논의 또한 역사가 오래되었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점차 커져가는 콘텐츠산업과 문화유산의 접목은 미룰 수 없는 시대의 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강릉대도호부관아의 콘텐츠창작과 제작의 활성화에 대해 국내외 선행연구결과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관련기관과 단체에서 발행한 연구보고서 및백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는 모두3가지 콘텐츠제작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는데 첫째는문화클러스터 조성이다. 산업의 발달은 지리적 집적성과 매우 연관이 있는데 문화산업 또한 마찬가지임을확인했고 강릉대도호부관아 주변을 문화클러스터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두 번째는 스토리자원의 개발로 지역문화유산과 관련한 스토리자원의 개발은 이야기산업이 내재한 다양한 가능성과 산업으로서의 기능에 부응하는 분야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작과 소비의 선순환 구축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 분야는 어쩌면 당분간 계속 관심 있게 지켜보면서 논의를 이어나가야 할 과제로 판단하다.

      • 문화융합의 관점으로 본 임권택 감독의 〈춘향뎐〉 연구

        조해진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9 문화예술콘텐츠 Vol.- No.3

        〈춘향뎐〉은 한국영화계의 거장인 임권택감독이 고전인 ‘춘향이야기’를 가지고 만든 영화다. 하지만 이 영화는 이전 영화들과 몇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먼저 원작에서 그 차이를 보이는데 이전의 작품들이 소설 〈춘향전〉을 원작으로 삼고 있는데 반해 〈춘향뎐〉은 ‘조상현 완판 판소리’를 원작으로 삼고 있다. 이는 판소리의 충실한 재현을 영화에 중심에 둔 감독의 의도를 단번에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춘향뎐〉은 극의 형식에서도 액자구조를 취함으로써 이전의 작품들과 변별성을 지닌다. 〈춘향뎐〉은 연기자에서도 이전 작품들과 매우 다른 면을 보이는데, 이전 작품들이 당대 최고의 스타배우를 기용해서 영화를 만든 반면, 〈춘향뎐〉은 16~18세에 이르는 젊은 남녀를 대상으로 신인배우 공개모집을 통해 발탁한 조승후, 김효정을 주연배우로 캐스팅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는 영화 흥행에 대단한 무리수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 원작에 충실하려는 임권택감독의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이런 도전은 한국영화사상 최초로 칸영화제에 공식경쟁부분에 초청되는 쾌거를 이룩한다. 하지만 이런 도전적 시도에도 불구하고 〈춘향뎐〉은 관객몰이에는 실패한다. 그 원인은 판소리의 대중성의 근간인 웃음의 실종, 판소리 해독의 난해함, 문화상품으로서의 판소리에 대한 이해력 부재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choonhyangdun〉 was made by Im-guentak who is one of the greatest movie director and That was made from the story of “choonhyang” which is one of the favorite and well-known story in Korea . That movie has some kind of different feature with other 〈choonhyang movies〉 fist of all, The original version is different to each other. Original of 〈choonhyangdun〉 was ‘choonhyangga performed by Cho-sanghyun’, The others were 〈choonhyng novel〉 which were so many adaptations. So, It means that The director want to make a movie faithfully with The original which is genre of pansori. and another different point is format of the movie. 〈choonhyangdun〉 has frame structure as a structure of the story. and another is an actor. that is so amazing around that time to the staff and the audience people. there were the rules that ‘choonhyang’ and ‘monrong’ have to casted by the best famous stars. however, Im-guentak audicioned new face to cast his movie. so, cho-sungwoo and kim-hyojung was casted at the movie for the fist time as an actor and actoress, both were main caracters. therefore some challenge for the populeration of pansori, the movie 〈choonhyangdun〉 was failed from the boxoffice. It left some lesson about the pansori and movie as a main genre of culture content field. The first is disappeare of largh, the second is difficulty of pansori and the last is the absence mind of culture content.

      • KCI등재

        영상콘텐츠 제작활성화를 위한지방자치단체 투자결정 모형 연구-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

        조해진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48

        Culture contents are contents that make up the media from the media point of view, but function as goods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Generally, the economic value of goods is divided into market value and non-market value, in which the value of the goods can be exchanged for such objects as currency, without any mention of the value of the goods. All goods have market value and non-market-related value, but cultural contents can be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product whose market value and non-married content are equally operated.In this respect, the value assessment of cultural content can not be considered only in the context of the existing technology assessment, product evaluation, and the value range of cultural content can not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any previous point of view of the user using the term, in addition to the profit. The local governments ‘ biggest reason for investment and production support in cultural content is also to help the local economy. This is a more engrossing attitude than the material value of cultural contents, and I would suggest that the content that has obtained the value of the product increases its awareness and affinity, so the positive value of the culture contents will be greatly appreciated. For this reason, it can be seen that measuring the value of a product in assessing the value of a cultural content is close to its public value and can not be denied that the existing valuation of cultural content does not help local governments decide to invest in cultural content. Starting from a worrisome point of view, the report was a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rom surveys of data and Delphi, telephone surveys and face-to-face surveys on video content investment models of local governments. First, local administrative bodies should invest video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public values as well as commodities. Second, although existing content value assessments have focused on commodity values, they need to apply to the investment models of local governments, as they have a positive impact on public values. Third, the public value areas that were not considered in the existing valuation areas could also be included in an investment assessment, creating a model that could be more loyal to 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s. 문화콘텐츠는 미디어의 관점에서 보면 미디어를 구성하는 내용물이지만 경제적관점에서 볼 땐 재화로서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재화의 경제적가치는 시장가치와비시장가치로 구분되는데 시장가치의 경우 따로 언급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화폐등 물질로 교환할 수 있는 가치를 의미하는 반면 비시장가치는 실질적으로 물질적교환의 행위가 객관적 가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없는 가치를 의미한다. 모든 재화가시장가치와 비시장가치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지만 특히 문화콘텐츠는 시장가치와비시장가치의 비중이 균등하게 작용하는 대표적 재화라 할 수 있다.이 점에서 문화콘텐츠의 가치평가는 기존의 기술평가, 제품평가와 같은 맥락에서만 고려될 수 없고문화콘텐츠의 가치 범위가 이윤과 더불어 그 용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저마다의관점이 적용되는 특성으로 인해 이전의 가치평가와는 전혀 다른 방식의 접근을 요구한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문화콘텐츠에 투자와 제작지원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역시지역경제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이는 문화콘텐츠의 재화적 가치 보다는 공적가치에 무게가 실린 태도인데 재화적 가치를 획득한 콘텐츠가 인지도와 호감도를상승시키는 점을 감안할 때 문화콘텐츠의 재화적 가치는 공적 가치에 매우 큰 긍정적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이런 이유로 문화콘텐츠의 가치평가에서 재화적 가치측정이 공적 가치와도 밀접하다고 볼 수 있으며 기존의 문화콘텐츠 가치평가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콘텐츠 투자결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우려적 관점으로 출발한 본고는 지방자치단체의 영상콘텐츠 투자모형에 관해서자료조사와 델파이조사, 전화조사, 대면조사 등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영상콘텐츠 투자는 재화적 가치는 물론이고공적 가치를 고려한 투자가 이우러져야 한다. 둘째, 기존의 콘텐츠 가치평가가 재화적 가치에 집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재화적 가치가 공적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할 때 지자체의 투자모형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기존의 가치평가 영역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공적 가치영역도 투자평가에 포함시킴으로서 공공기관의 역할에 보다 충실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몇가지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는 데 먼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콘텐츠투자결정에서 일종의 규범적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가 부재했던 점을 미루어볼 때 향후 이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선도적인 방향성을제시했다는 점에서 일정부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강릉국제영화제 지향점에 관한 고찰

        조해진 국제언어문학회 2021 國際言語文學 Vol.- No.50

        Korea is now joining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in film, and reflecting this situation, large and small film festivals are being held in various forms and contents throughout the country.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points that the Gangneu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GIFF) should pursue as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range of the film festival is too wide and there are many targets, so the research range of this paper is to limit the contents covered in this paper to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to derive the goals that Gangneu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hould have to grow into a sustainable and successful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Gangneu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Gangneu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s to make its Intention points in three parts. First, the identity as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must be specified. This is almost a prerequisite for successful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is also the first condition to be recognized for the status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t home and abroad. In the case of GIFF, it proposed a plan to strengthen the program for films with “original contents like novel, webtoon(comics) etc.” as an extension of this concept, given that it advocates a literature based film festival and is conducting related programs. Second, since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cts as a local festiva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enue. In the case of GIFF, it has been centered on Gangneung Art Center, which is somewhat far from other festivals in the region. but in 2021, sharing Venue with Gangneung's representative regional festivals like Gangneung Dano Festival and Gangneung Night Tour were included. Third, consideration for professionals at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needed. This is not just a problem of GIFF, but a problem faced by mos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s for a large portion of the event's cost. Therefore, concerns and discussions on this should be continued to provide a more stable working environment for more professional manpower. 우리나라는 이제 명실상부한 영화의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황을 반영해 국내에는 크고 작은 영화제가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와 내용으로 개최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강릉국제영화제(Gangnueng International Film Festval)가 국제영화제로서 지향해야 할 지점에 관해 논의를진행하고자 한다. 영화제의 범위는 너무 넓고 대상 또한 많아서 본고에서 다루는 내용은 국제영화제에 한정하고 이를 통해 강릉국제영화제가 지속가능하면서 성공적인 국제영화제로의 성장하기 위해 가져야 할 지향점을 도출하는 것까지를 본고의 연구범위로 삼는다. 본고에서 국제영화제의 특징과 강릉국제영화제의 개최현황을 살펴본 결과 강릉국제영화제의 지향점을 3가지 부분으로제시했다. 첫째, 국제영화제로서의 정체성을 구체화해야 한다. 이는 거의 대부분 성공한 국제영화제가 가지고 있는 필수조건이면서 국내외적으로 국제영화제의 지위를 인정받을 수 있는 첫 번째 조건이기도 하다. GIFF의 경우, 문학영화제를 표방하고 그와 관련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개념의 연장선상으로 ‘원작’이 있는 영화에 대한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둘째, 국제영화제가 지역축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행사장소의 고려가필요하다는 점이다. GIFF의 경우 그동안 지역의 타축제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강릉아트센터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지만 2021년에는 강릉대도호부관아 주변이 포함되면서 강릉단오제, 강릉야행 등을 비롯한 강릉의 대표 지역축제와베뉴(venue)를 공유하게 되었다. 셋째, 국제영화제의 전문인력에 대한 배려가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점은 비단 GIFF만의 문제가 아니고 행사비용의 상당부분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을 받는 대다수 국제영화제가 직면한 문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고민과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보다 전문적인 인력들이 안정적으로 근무하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 자기잠식효과를 고려한 혁신 과정의 분석

        조해진,송보미,박용태 대한산업공학회 2014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기술 발전 속도가 급속히 증가하고 혁신의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신제품 및 서비스의 혁신 확산 과정에서 잠재적인 자기잠식(cannibalization)효과를 고려하고 통제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에는 주로 바스(Bass) 모형을 비롯한 집합적(aggregate) 확산모형에 자기잠식효과를 포함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왔으나, 이는 자기잠식효과의 세부적인 매커니즘과 개별 고객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행위자(agent) 기반의 모델링 기법을 바탕으로 혁신 확산 과정에서 자기잠식의 영향을 개별 고객 수준에서 모형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먼저, 기존 제품과 신제품간의 잠재적 자기잠식영역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기업 내부 및 외부의 자기잠식요인을 파악한다. 고객 특성과 자기잠식영역 및 자기잠식요인을 고려하여 고객의 범위와 제품 채택 규칙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고객의 제품 채택행위를 제품 단위의 혁신 확산 과정에 통합하는 행위자 기반 확산 모형을 구축한다. 제안된 방법은 고객의 이질성을 고려한 혁신 확산 과정에서 자기잠식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이에 대한 내부 및 외부 요인들의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신제품 및 서비스의 혁신 확산 과정을 다각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관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