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축제콘텐츠의 원천콘텐츠화 전략 -<강릉부사 납시오>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해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3
2023년에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공식적으로 개최되는 지역축제는 1129개에 이를 만큼 전국각지에서개최되어 단순한 지역행사를 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그 성과를 관리해야 할 중요한 문화와 경제의 한 분야다. 하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지속적으로 향유와 소비가 가능한 문화콘텐츠와 달리 지역축제의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들은축제장에서 1회성 행사로 그치고 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유사한 속성을 지닌 두 분야의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이야기산업이라고도 불릴 만큼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이 매우중요하다. 따라서 콘텐츠 장르전환으로 경제적 가치를극대화 하기 위해서 이야기자원의 확보는 제조업의에너지나 원자재 확보만큼이나 콘텐츠의 창작과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요소라 하겠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서 본고는 전국 각지에서 활발하게 성장하고 발전하는 지역축제에 담긴 축제콘텐츠를 콘텐츠제작의이야기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 즉 원천콘텐츠로서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려 하고자 한다. 나아가 축제콘텐츠가 콘텐츠의 창구화, 장르전환에 있어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지도 살펴보려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결과를 실증하기 위해 강릉문화재야행의 축제콘텐츠인 <강릉부사 납시오>’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축제콘텐츠의 원천콘텐츠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출발한 본고는 축제콘텐츠와 관련한 기존논의를 바탕으로 축제콘텐츠의 창구화와 장르전환에 대해 살펴본결과 축제콘텐츠는 콘텐츠산업에 있어서 원천콘텐츠로 기능하기에 충분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강릉부사 납시오>의 사례를 분석해서 논의를 실증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신뢰성을 획득했다고 판단한다. As there are 1,129 local festivals officially hel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2023, local festivals held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are not just local events, but are a nationally important cultural and economic sector to manage their achievements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unlike 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continuously enjoyed and consum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online and offline, various events and programs of local festivals are often only one-time events at the festival venue, so the product life cycle in the two fields with similar properties is very different. Since cultural content is based on stories, stories and storytelling are so important that it is also called the story industry.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economic value through content genre conversion, securing story resources is as essential for content creation and development as securing energy and raw material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Considering this,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whether festival content contained in local festivals that are actively growing and developing across the country can function as a story resource for content production, that is, source content. Furthermore,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festival content is sufficiently valuable for windowing and genre conversion of content. For this, I summarized the results in order to review prior research at home and abroad and demonstrate the research results, and To demonstrate this, this paper analyzed the case of <Here comes the Gangneung Governor!>, a festival content of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and summarized the results. This paper, which star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original content of festival content, examined the windowing and genre conversion of festival content based on existing discussions on festival content, and found that festival content was sufficient to function as original content in the content industry. In particular, <Here comes the Gangneung Governor!>, a representative festival content of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Tour. It is judged that it has obtained some reliability in that it has demonstrated the discussion by analyzing the case.
지역문화유산의 콘텐츠제작 활성화에 관한 연구 -강릉대도호부관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해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Until now, the value creation of cultural heritage has mostly been studied and discussed in the realm of tourism. Cultural heritage has been used as a resource to attract tourists, with its special nature as well as its own, but in the digital age represented online, cultural heritage is no longer just a tourist resource. While tourism offers an opportunity to access cultural heritage through direct experience such as visits and experiences, cultural contents need to be considered clearly separate from the areas of tourism in the sense that they enjoy storie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regardless of time or place. Tourism, contents and cultural heritage are in a mutually exclusive relationship and have their own boundaries. And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has been produced steadily for a long time in the areas of humanities such as history, folklore, literature, and sociology such as tourism and economics. However, the history of research on content has not been long, and the discussion of content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cannot be long-lived. However, the increasingly large convergence of the content industry and cultural heritage has become a challenge in an era that cannot be delayed. To that end, I reviewed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at Korea and abroad on the creation and activation of contents creation and production of Gangneung Daehobukwana. I also looked at the research reports and white papers published by the releva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As the result of that research, I suggested three ways to promote the creation of contents for a study of the specific facts of Gangneung Daedobukwana’s active creation and production, the first being the creation of a culture cluste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is very related to geographical integration, and the cultural industry also confirmed the same,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lustering around Gangneung Daedohobukwana.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story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of story resources related to local cultural heritage will be an area that responds to the diverse possibilities and functions of the story industry. Finally, I looked at establishing a virtuous circle of creativity and consumption, and I believe that this field is a task to continue to be watched with interest for the time being. 지금까지 문화유산의 가치창출은 대부분 관광의 영역에서 연구되고 논의되어 왔다. 문화유산은 지역이라는 특수성과 그 지역만이 갖고 있는 고유성이라는 특징을 내세워 관광객을 불러 모으는 자원으로 활용되어 왔는데 온라인으로 대표되는 디지털시대에 문화유산은 더 이상 관광자원으로만 머무르지 않는다. 관광은 방문과 체험 등 직접 경험을 통해 문화유산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 비해서 문화콘텐츠는 시간과장소에 구애 없이 문화유산을 접하고 문화유산과 관련한 스토리를 향유한다는 의미에서 관광의 영역과는분명히 구분되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관광과 콘텐츠와 문화유산은 상보관계에 있으면서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문화유산과관련한 연구는 기초학문 분야인 역사학, 민속학, 문학등의 인문학 분야와 관광학, 경제학 등의 사회학의 영역에서 오랫동안 꾸준히 연구결과물이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콘텐츠와 관련한 연구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문화유산과 관련한 콘텐츠에 대한 논의 또한 역사가 오래되었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점차 커져가는 콘텐츠산업과 문화유산의 접목은 미룰 수 없는 시대의 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강릉대도호부관아의 콘텐츠창작과 제작의 활성화에 대해 국내외 선행연구결과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관련기관과 단체에서 발행한 연구보고서 및백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는 모두3가지 콘텐츠제작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는데 첫째는문화클러스터 조성이다. 산업의 발달은 지리적 집적성과 매우 연관이 있는데 문화산업 또한 마찬가지임을확인했고 강릉대도호부관아 주변을 문화클러스터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두 번째는 스토리자원의 개발로 지역문화유산과 관련한 스토리자원의 개발은 이야기산업이 내재한 다양한 가능성과 산업으로서의 기능에 부응하는 분야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작과 소비의 선순환 구축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 분야는 어쩌면 당분간 계속 관심 있게 지켜보면서 논의를 이어나가야 할 과제로 판단하다.
조해진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9 문화예술콘텐츠 Vol.- No.3
〈춘향뎐〉은 한국영화계의 거장인 임권택감독이 고전인 ‘춘향이야기’를 가지고 만든 영화다. 하지만 이 영화는 이전 영화들과 몇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먼저 원작에서 그 차이를 보이는데 이전의 작품들이 소설 〈춘향전〉을 원작으로 삼고 있는데 반해 〈춘향뎐〉은 ‘조상현 완판 판소리’를 원작으로 삼고 있다. 이는 판소리의 충실한 재현을 영화에 중심에 둔 감독의 의도를 단번에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춘향뎐〉은 극의 형식에서도 액자구조를 취함으로써 이전의 작품들과 변별성을 지닌다. 〈춘향뎐〉은 연기자에서도 이전 작품들과 매우 다른 면을 보이는데, 이전 작품들이 당대 최고의 스타배우를 기용해서 영화를 만든 반면, 〈춘향뎐〉은 16~18세에 이르는 젊은 남녀를 대상으로 신인배우 공개모집을 통해 발탁한 조승후, 김효정을 주연배우로 캐스팅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는 영화 흥행에 대단한 무리수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 원작에 충실하려는 임권택감독의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이런 도전은 한국영화사상 최초로 칸영화제에 공식경쟁부분에 초청되는 쾌거를 이룩한다. 하지만 이런 도전적 시도에도 불구하고 〈춘향뎐〉은 관객몰이에는 실패한다. 그 원인은 판소리의 대중성의 근간인 웃음의 실종, 판소리 해독의 난해함, 문화상품으로서의 판소리에 대한 이해력 부재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choonhyangdun〉 was made by Im-guentak who is one of the greatest movie director and That was made from the story of “choonhyang” which is one of the favorite and well-known story in Korea . That movie has some kind of different feature with other 〈choonhyang movies〉 fist of all, The original version is different to each other. Original of 〈choonhyangdun〉 was ‘choonhyangga performed by Cho-sanghyun’, The others were 〈choonhyng novel〉 which were so many adaptations. So, It means that The director want to make a movie faithfully with The original which is genre of pansori. and another different point is format of the movie. 〈choonhyangdun〉 has frame structure as a structure of the story. and another is an actor. that is so amazing around that time to the staff and the audience people. there were the rules that ‘choonhyang’ and ‘monrong’ have to casted by the best famous stars. however, Im-guentak audicioned new face to cast his movie. so, cho-sungwoo and kim-hyojung was casted at the movie for the fist time as an actor and actoress, both were main caracters. therefore some challenge for the populeration of pansori, the movie 〈choonhyangdun〉 was failed from the boxoffice. It left some lesson about the pansori and movie as a main genre of culture content field. The first is disappeare of largh, the second is difficulty of pansori and the last is the absence mind of culture content.
조해진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6 No.-
오랜 예술 표현양식인 시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고대 양식으로부터 진화를 거듭하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특히 인간의 창의성과 시대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과 개입은 시를 통해 독자들에게 전달했고 점차 그 스펙트럼을 넓혀가며 오늘날에 이르렀다. 이런 시는 본격적인 영상시대가 도래하면서 점차 독자들과 사회로부터 외면당해 왔지만 본격적인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상과의 손쉬운 조우가 가능해졌음을 계기로 다시금 이전의 예술적 기능과 사회참여 역할로의 부활을 모색할 시점에 이르렀다. 본고는 이런 점을 견지하면서 AI를 통해 시의 본래 역할과 기능을 회복함은 물론이고 대중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도구로서 AI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함과 동시에 시대환경에 걸맞는 시문학의 확장가능성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다. 그 결과 본고는 시와 직접 관련된 세 주체에 대해 AI활용을 모색할 수 있었는데 먼저 시인은 AI 를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직접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시청각콘텐츠를 제작해 봄으로써 시의 운율, 음률, 이미지 등을 영상과 음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출판사는 AI를 활용해서 책의 표지 디자인, 윤문, 편집 등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소규모 출판사에는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과 출판할 시집과 관련한 시청각콘텐츠 제작 같은 홍보활동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문학관이나 문학 동호회 같은 문학단체에서는 프로그램기획과 운영, 그리고 시작품을 소재로 한 다양한 시청각콘텐츠제작을 통해 본연의 친목활동, 선양활동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할 수 있었다 Poetry, a long-standing form of artistic expression, has continued to develop, evolving from ancient forms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n particular, human creativity and active interpret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were conveyed to readers through poetry, and the spectrum gradually expanded to the present day. With the advent of the full-fledged video era, poetry like this has gradually been neglected by readers and society, but with the full-fledged AI era, easy encounters with video have become possibl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llowing them to regain their former artistic fun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t has reached a point where it is seeking to revive its role. In keeping with this point, this study not only restores the original role and function of poetry through AI, but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AI as a tool to reach the public, and at the same tim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poetry appropriate to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started discussing about it. As a result, this paper was able to explore the use of AI for three entities directly related to poetry. First, poets can receive direct help with creative ideas through AI, and at the same time, by producing audio-visual content, the poem's rhyme, melody, It was revealed that images, etc. can be confirmed through video and music. Publishers can use AI to easily design book covers, edit, edit, etc., which can be of direct help to small publishers, and can help with promotional activities such as producing audio-visual content related to poetry collections to be published. presented. Literary organizations such as literature museums and literature clubs were able to claim that they could easily carry out their natural social activities and promotion activities through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and the production of various audio-visual contents based on prototypes.
조해진,임영운,Vladimir Li,Suldbold Jargalmaa,김남규,김민지,이현 국립생물자원관 2018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7 No.1
Macrofungi are visible to the naked eye and play important ecological roles in nutrient cycles as decomposers and symbionts in forest ecosystems. Collectively, macrofungi have great potential as valuable resources for food, cosmetics, and medicinal uses. We surveyed the Royal Tombs (Donggureung and Seooreung) of the Joseon Dynasty and Jongmyo Shrine, where the surrounding vegetation is well-preserved, to investigate indigenous macrofungi. During surveys in 2015-2016, we discovered six macrofungi that were previously not recorded to Korea. They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using morphological features an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Cruentomycena kedrovaya, Dacrymyces aureosporus, Laetiporus versisporus, Parasola setulosa, Piptoporellus soloniensis, and Pluteus longistriatus. The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and molecular analysis are provided in this study.
4차산업혁명시대에 지역문화클러스터 전략적 계획요소에 관한 고찰 -강릉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해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Now that Korea’s cultural contents are receiving worldwide attention and reputation, In addition to efforts at the national level, various attempts are also being made in local communities to enhance their cultural status and derive economic results through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Creating a cultural cluster is a policy tool that extends these demands. Due to th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brought about by technological changes, the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information industry structure center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now innovative changes are underway in digital convergence industrial form and structure centered on AI (Artificial Intelligence). Considering this periodic environment, this paper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related to industrial clusters and examined the planning factors that should be characteristically considered in the creation of cultural clust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like the case of Gangneungcity. Unlike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create and operate a cultural cluster in the region, Belows are seriously considered. first, consistency with City brands must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cultural policy and public procurement. second, the existence and development potential and unique of cultural resources must be considered. Lastly The fact that the supply and demand requirements of Professional labor force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ome of the policy decis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industries not only from a macro perspective of the national level but also from a micro perspective of a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y level. 대한민국의 문화콘텐츠가 세계적으로 관심과 명성을 얻고 있는 지금, 국가적 차원의 노력과 더불어 지역사회에서도 저마다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발굴과 개발을 통해 문화적 위상을 높임과 동시에 경제적 성과를 도출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문화클러스터 조성은 이런 요구의 연장선상에 있는정책적 수단이다. 기술의 변화가 가져온 사회환경의변화로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정보통신을 중심으로 한 정보화산업구조로 변화하였고, 현재는 4차산업혁명의 시대로 명명되면서 AI(Artifical Intelligence)를중심으로 한 디지털 융복합형 산업형태와 구조로 혁신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이런 시대적 환경을 고려하면서 문화클러스터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기존의 계획요소만으로는 제대로 평가할 수 없는 지금 이 시대에 필요한 중소형 도시의문화클러스터 조성에서 특징적으로 고려해야 할 특징적이고 전략적인 계획요소를 강릉시의 사례를 통해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와 달리중소형 도시에서 문화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운영하기위해서는 첫째, 문화정책부분과 관련하여 도시브랜드와의 정합성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그지역만이 갖고 있는 문화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문화자원의 존재여부와 발전가능성을 따져보아야 한다는점, 마지막으로 전문인력의 수급여건을 변화하는 환경에 맞추어 제대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 전략적으로 비중있게 다뤄져야 함을 밝혔다. 본 연구가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국가차원의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물론이고 지방중소도시 차원의 미시적인 관점에서도 한국의 문화산업발전을 위한 정책결정에 일정부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