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저 조익의 경학사상에 나타난 수양관 -논어천설을 중심으로-

        조정은(Jo, Junge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8 泰東古典硏究 Vol.40 No.-

        조익의 수양론에서 두드러지는 관점은 실천을 강조하는 것이다. 조익의 수양은 크게 경(敬) 과 경술(經術)로 나뉘는데, 둘 모두에서 이러한 관점이 드러난다. 우선 존양과 성찰로 구성되는 경은 표면적으로는 존양이 중시되지만 내 외면을 아우르는 성찰을 통해 존양을 이룬다는 점에서 실제적으로는 성찰이 중시된다. 이때 성찰은 사욕으로 인한 잘못을 경계하는 성격이 짙어서 실천적 맥락이 강하다. 경술이 앎과 행위를 아우르며 그 최종 목표가 행위에 놓인다는 점에서도 실천적 맥락을 지적할 수 있다. 행위에 관한 수양이 경술의 연장선상에서 다뤄지므로 행위 규범으로서 예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대신 사욕 제거를 통해 다다르게 될 최종 상태인 만물의 마땅한 위치를 예로 제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실천을 강조하는 조익의 수양관은 논어에서 경을 내적 태도에 국한시켜 해석하는 주희와 달리 외적 태도로까지 확장시키는 차이로 이어진다. 인간으로서 할 바를 다 한 후 학문을 익힐 것을 말하는 논어 1.6을 해석하면서도 조익은 실천만으로는 안 되고 학문으로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는 것에 무게를 두는 주희를 따르는 한편, 학문보다 실천이 앞서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지적하며 실천 지향성을 보여 준다.이 외 사욕 경계와 만물이 지닌 마땅한 법칙으로서 예를 보는 관점을 부각시킨다. 실천을 강조 하는 수양론인 만큼 양명학에 경도된 듯한 해석도 있지만 주자학을 벗어났다고 평가하기보다는 주자학의 틀 안에서 실천이라는 자신의 주안점을 살리는 수양론을 구축했다고 평가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조익은 주자학에 대한 이해가 무르익은 가운데 양명학이 영향력을 펼치기 시작한 16세기 말 17세기 초 조선의 사상적 토양을 바탕으로 주자학 체계 내에서 실천을 강조한 수양관을 경학사상에 투영해 나간 학자로 평가할 수 있다. Jo Ik’s prominent view on self-cultivation is to emphasize practice. Jo Ik’s theory of self-cultivation is divided into two main areas: the execution of jing 敬 and the study of the classics (jingshu 經術), both of which emphasize practice. In executing jing which consists of cunyang 存養 and xingca 省察, what gets first priority is cunyang; however, in fact it is xingca that assumes real significance in that cunyang is achieved through xingca which encompasses inner and outer cultivation. In Jo Ik’s theory, xingcha has strong practical connotations in that its meaning is closer to being alert to wrongful behaviors caused by selfish desire. This practical connotation can also be pointed out in the study of the classics: although this study pursues improvement both in knowledge and behavior, its ultimate goal is placed on behavior. Since the improvement of behavior is promoted in the study of the classics, the role of li 禮 as a norm of conduct is paid less attention. Instead, Jo Ik tends to present li as the proper positions of all things, which is the final state that will be achieved by eliminating selfish desire. Jo Ik’s emphasis on practice in self-cultivation renders a differentiated interpretation of jing in the Lunyu from Zhu Xi’s: Zhu Xi mostly interprets jing as an internal attitude whereas Jo Ik shows a stronger tendency to expand its meaning to an outer attitude. When interpreting Lunyu 1.6, which says study comes after fulfilling one’s everyday duties as a human being, Jo Ik, on the one hand, follows Zhi Xi’s interpretation that puts emphasis on study: everyday duties are not properly carried out if not supported by study. On the other hand, Jo Ik stresses practice by indicating that there is a case in which practice is more urgent than study. Besides, Jo Ik emphasizes being wary of selfish desire and sees li as the proper principles of all things. Since Jo Ik emphasizes practice, some of his interpretations are similar to Wang Yangming’s idea. However, we may reasonably place Jo Ik’s theory within Zhu Xi’s philosophical framework; Jo Ik explored Confucian classics reflecting his viewpoint on moral cultivation which puts special emphasis on practice, utilizing the academic soil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when Wang Yangming’s doctrine began to exert influence under a mature understanding of Zhu Xi’s doctrine.

      • KCI등재후보

        나노입자함유 교정용 레진의 기계적 특성 평가

        조정기(Jo, Jeong Ki)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2

        치과 교정장치로 주로 쓰이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가철성 교정장치의 자가중합 레진으로 조직 친화성체적 안정성과 색의 안정성 등의 장점이 있지만 가철성 교정장치는 구강 내에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Polymethyl methacrylate(PMMA)의 낮은 강도로 인하여 레진상이 파절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g-MSN(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과 graphene-oxide nanosheets(nGO), Cerium nanoparticle(CNP)의 항균효과가 입증된 orthodontic PMMA에 혼합하여 3점 굽힘강도, 탄성계수, 경도, 표면에너지를 실험하고자 한다. Ag-MSN, nGO, CNP을 함유된 orthodontic PMMA의 직사각형 시편(1.4×3.0×19.0mm)에 1mm/min의 속도로 3점 굽힘 강도 실험 결과 3점 굽힘 강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05). 경도를 평가한 결과 유지됨을 보였다. 표면조도 역시 큰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성공적으로 교정용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추후 항균실험을 추가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항균성이 있는 교정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Polymethylmethacrylate, which is mainly used as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s a self-polymerizing resin of a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and has advantages such as tissue affinity, volume stability and color stability but the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increases in use in the oral cavity as polymethyl methacrylate(PMMA).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esin phase is broken due to the low strength. In this study, three-point bending strength, elastic modulus, hardness, and surface energy were tested by mixing Ag-MSN(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 graphene-oxide nanosheets(nGO), and orthodontic PMMA, which has proven antibacterial effects of Cerium nanoparticles (CNP). The three-point bending strength test at a rate of 1mm/min on a rectangular specimen(1.4 × 3.0 × 19.0 mm) of orthodontic PMMA containing Ag-MSN, nGO and CN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p> 0.05). Evaluation of hardness showed that it was maintain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face roughness either. As a result, a resin sample for orthodontic preparation was successfully prepared in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maintain the strength by adding an antimicrobial experiment and to develop a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 KCI등재

        욕망[欲]과 기(氣) 개념으로 접근하는 『순자』와 『여씨춘추』의 음악론

        조정은(Jo Jungeun)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40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musical discourses of the Xunzi and the Lüshi chunqiu in close relation to the concepts of desire to enjoy music and qi resonating with musical sounds. The Lüshi chunqiu criticizes the condemnation of music on the assumption of an innate desire for music. On the other hand, it criticizes extravagant music seeing that only appropriate stimuli can evoke pleasure through their contribution to the preservation of life. The “Yuelun” chapter of the Xunzi also admits an innate desire for music, but it mostly supports the role of music as an edifying tool instead of an object of desire. Therefore, in the “Yuelun”, the main function of music lies not in evoking pleasure but edifying the people, which shows a divergent view from its opening statement acknowledging an innate desire for enjoying music. Both the Xunzi and the Lüshi chunqiu endow music with special func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qi. However, these functions are not the same between the two texts. In the Xunzi, music exerts an edifying effect based on the resonance between music and qi in the body which share ethical value. In the Lüshi chunqiu, music resonates with qi in the natural world through their similar physical movements; as a result, music contributes to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This, along with its contribution to the preservation of life, articulates a belief that music enhances intrinsic qualities. Since the main focus of the “Yuelun” is not music as an object of desire, it barely mentions the problems caused by indulgence of musical pleasure. Moreover, although it attaches a particular role to music, namely that it is an educational tool, this aspect needs further elaboration to be a successful development of previous discussions about cultivation by means of music since it makes individual effort in the process of cultivation less important. The Lüshi chunqiu properly responds to the demand of musical discourse of the time in two ways. As a refutation of condemnation of music, it does not only advocate the indispensability of music but also criticizes extravagant music on the basis of positive recognition of desire as well as emphasis on the preservation of life. In addition, it extends musical harmony to the harmony of the natural world by reflecting the correlative thinking that emerged at around the same time. 이 논문은 『순자』와 『여씨춘추』의 음악론을 음악을 즐기고자 하는 욕망과 음악 소리와 공명하는 기를 중심에 두고 분석하는 글이다. 『여씨춘추』와 『순자』는 당시 팽배했을 음악 비판에 욕망의 문제를 지적하며 반기를 든다. 『여씨춘추』는 음악을 즐기고자 하는 욕망을 긍정하며 비악론을 비판하는 한편, 양생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자극만이 즐거움을 줄 수 있다고 보면서 사치스러운 음악도 비판한다. 『순자』는 음악을 즐기고자 하는 선천적 성향을 가장 먼저 지적하지만 전반적인 논의는 교화의 수단으로서의 음악에 초점을 맞춘다. 음악의 불가결성은 음악을 즐기고자 하는 욕망에 있지만 음악의 효용은 즐거움보다는 교화에 있게 된 셈이다. 『순자』와 『여씨춘추』는 기 개념을 통해 음악에 특별한 기능을 부여하지만 그 내용은 서로 달라서, 『순자』에서 음악은 체내 기와 윤리적으로 공명하여 교화 작용을 수행하고, 『여씨춘추』에서 음악은 자연계 기와 물리적으로 공명하여 천지의 조화에 기여한다. 천지의 조화는 양생과 함께 음악의 자연성 진작 기능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순자』는 음악적 즐거움을 중심에 둔 논의를 전개하지 않기 때문에 즐거움의 탐닉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제대로 답하지 못한다. 또한 교화 작용을 통해 음악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지만 음악 교화에서 개인의 수양 영역이 축소되어 음악의 도덕적 효과에 관한 이전 시대 논의를 성공적으로 이어가지 못한다. 『여씨춘추』는 욕망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양생의 관점과 결합시켜 음악을 옹호할 뿐 아니라 음악 탐닉을 비판하기도 하고, 기의 공명을 통해 음악을 천지의 조화에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비악론에 대한 대응과 맹아적 단계의 상관적 사유의 반영이라는 당시 음악론에게 요구되었음 직한 내용을 적절히 담아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근대 미션계 의학교의 발전과 토착화 : 의학교육 체계화를 위한 논의를 중심으로

        조정은(JO Jeong Eun)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1

        본 논문은 근대 중국을 배경으로, 미션계 의학교의 통합 및 의학교육의 체계화, 의학교육체제의 통일성 확보를 둘러싼 의료선교사 안팎의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중국에서의 서양의학 교육의 발전과정과 함께 의료선교사업의 토착화의 단면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주요 사료로는 博醫會에서 편찬한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Journal을 이용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의료선교사들 사이에서는 미션계 병원 및 의학교의 운영ㆍ관리권을 중국인에게 넘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또 한편으로 본국에서의 지원이 부족하게 되더라도 중국에서의 의료선교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길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을 의료선교사업의 "토착화"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선교사업의 토착화를 위해서는 의료선교사의 조수라고 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는 학생이 아닌 직접 병원과 의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중국인 의사가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의학교를 통합하여 교육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었다. 1900년대부터 시작된 의과대학의 설립, 특히 協和醫科大學(Union Medical College)의 설립은 이를 위한 노력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편으로는 중국에 존재하는 의학교의 교육과정 및 기간, 과목 내용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박의회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학교육위원회를 설립하고, 각 의학교의 운영에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의학교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격렬한 논의가 진행된 것은 의학을 중국어로 가르쳐야 할 것인지 영어로 가르쳐야 할 것인지의 문제였다. 의료선교사가 목표로 삼고 있던 의학교육의 토착화를 위해서는 중국어로 가르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영어를 사용한 교육이 중국어를 사용한 교육보다 더 수준이 높은 의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반박도 만만치 않았다. 영어교육을 통한 수준 높은 의사 양성을 주장한 대표자가 바로 록펠러 재단(Rockefeller Foundation)의 China Medical Board이다. 즉, 의료선교사업의 토착화와 의학교육 수준의 향상이라고 하는 중요한 두 사안이 서로 대립되는 양상을 보이는 데에 의료선교사들의 고뇌가 있었다. 1930년대에 이르면 미션계 의학교 중 대부분이 중국어와 영어를 병용하는 길을 선택하였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의료전문가의 양성과 수준 높은 의사의 양성이라고 하는 두 가지 사항을 모두 충족시키고자 한 것이다. 또한 영어를 배울 수 있다고 하는 점은 미션계 학교라고 하는 특징을 보여주는 것으로 다른 의학교와의 경쟁에서 유리한 점으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mission medical schools and systemize medical education in modern China, look at the discussion inside and outside of medical missionary regarding unification of medical education system, and consider one aspect of indigenization of medical missionary work with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Western medicine education in China. One of the major historial materials is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Journal compiled by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Association(boyihui). In the 20th century, there was an increasing voice that operation and management rights of mission hospital and medical school should be taken over to Chinese people among medical missionari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 pursuit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so that medical missionary work could be continued in China even when resources fell short. This movement can be called as "indigenization" of medical missionary work. For indigenization of such a medical missionary work, it requires high-quality Chinese doctors who can operate hospitals and mission medical schools rather than students who can play a role as assistant for medical missionar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mission medical schools and improve education level. Establishment of medical college started from the 1900s,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Union Medical College stems from such an effor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till problems in that curriculum, period, and subject contents of mission medical schools in China are not unified. To solve this,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Association tried to establish a Medical Education Committee and obtain unification in operating each mission medical school. The most heated dispute in operating a mission medical school was whether they should teach medicine in Chinese language or English. It is right to teach it in Chinese language for indigenization of medical education that medical missionary sets as a goal. However, there was a refutation that education in English would foster more highly advanced doctors than education in Chinese. The person who argued that education in English would high-quality doctors was China Medical Board in Rockefeller Foundation. In other words, contrasting patterns of two important agendas: indigenization of medical missionary work and medical education level were attributable to agony among medical missionaries. In the 1930s, most of the mission medical schools related to the mission work selected combin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English language. The aim was to satisfy both the two agendas: cultivation of medical experts and cultivation of high-quality doctors targeting Chinese people. Also, the ability to teach in English means that it is a mission school, which is an advantage in competing with other medical schools.

      • KCI등재

        제주지역 관광지 유형별 지각된 가치와 가격 공정성간의 영향관계

        조정인(Jo Jeong-In),서용건(Suh Yong-Kun),김영남(Kim Young-Nam) 한국지역사회학회 2017 지역사회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ived values of visitors according to tourist site types including nature, culture and human-made facility, and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perceived values to price fairnes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is field relatively while some relative studies deal with price fairness in hotels and restaurants which have been relatively perceived commonly with their prices. Two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follows: 1)There are differences on perceived values according to tourist site types and 2)There are influences of perceived values to price fairness differently. The valid data of 298 were collected in three different tourist sites including natural, cultural and human-made facilities as a main theme.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sthetic value was highest for natural tourist sites whil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were highest for cultural sites, and novelty value was highest for human-made sites. There were the significant influences of esthetic and emotional values to price fairness for natural sites, the effects of esthetic, emotional, functional, and social values for cultural sites,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functional, and novelty values for human-made sites.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셀프리더십 및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조정자 ( Jo Jeongja ),이종연 ( Lee Jongye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셀프리더십,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적응성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셀프리더십,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진로적응성, 셀프리더십, 계획된 우연기술은 서로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이 있지만, 부모양육태도는 다른 변인들과 유의하였으나 낮은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진로적응성에 계획된 우연기술이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보였고, 다음으로 셀프리더십이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나, 부모양육태도는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요인들 중, 계획된 우연기술에서는 낙관성이 셀프리더십에서는 자연적 보상 전략이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진로교육 및 상담에서 계획된 우연기술과 셀프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variables which have an impa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wo questions were addressed: (1) Is there a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students`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self-leadership,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tion? (2) How much do high school students`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self-leadership,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fluence career adaptabil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showed that: (1)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career adaptability, self-leadership,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hile low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and the other variables; (2) Career adaptability was affected the most by planned happenstance skills, followed by self-leadership, but not by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variables, the optimism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the natural compensation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showed the strongest influence on career adapta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self-leadership need to be enhanced for increasing the career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