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하운의 시의식 변모 양상

        조은하(Cho, Eun-Ha)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6

        한하운의 시세계에 대한 연구는 신세한탄이나 한국적 리리시즘과의 단편적 관계, 정치사적 맥락에서의 언급 등을 제외하고 온전한 시인으로서의 충실한 연구는 드물다는 점, 연구가 특정 작품에 편중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시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하운의 전기적 배경에 치중하여 시분석이 추상적이고 모호할 뿐 아니라 단편적이며 부분적이라는 점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고는 그의 시의식의 변모양상을 통해 그의 시세계의 깊이와 넓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단계는 ‘자기부정의 시의식’이다. 1단계는 다시 나병선고 이후의 자괴적 내면의식를 담은 시기와 이후 고향을 떠나 유리걸식하는 체관적 노상의식을 담은 시기로 이분했다. 2단계는 ‘자기성찰의 시의식’이다. 2단계는 다시 ‘꽃’의 심상을 통한 순정의 비원을 담은 시기와 ‘백(白)’의 심상을 통한 순수에 대한 희원을 담은 시기로 이분했다. 3단계는 ‘자기긍정의 시의식’이다. 3단계는 다시 보편성의 간구와 이에 반작용으로 확산된 대극적 의지를 담은 시기와 이후 보편성의 획득과 화해적 수렴을 담은 시기로 이분했다. There are many problems in studies on Han Ha-un’s poems.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lation with the sentiments and lyricism in korean mentality. And othe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olitical context of Han’s poems. But the study about the poems and poet itself is very rare. And also many studies are based on Han’s specific poems, or his personal background. This tendency makes the studies too abstract or too partial.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the full depth and width of Han Ha-un’s poems through the change of his poetic consciousness. This study differentiates the three stage in Han Ha-un’s poetic consciousness. First stage, ‘poetic consciousness of self-negation’ is divided into the time to contain the inner sense about self-destructiveness after leprosy, and the time to contain the resignation as a begger after leaving hometown. Second stage, ‘poetic consciousness of self-reflection’ is divided into the time to contain the sorrow of pure love through the imagery of flower, and the time to contain the remorse about the pureness through the imagery of ‘white’. Third stage, ‘poetic consciousness of self-approbation’ is divided into the time to contain the entreaty to universality and the will of extreme, and the time to contain the acquisition of universality and the pacificatory convergence.

      • KCI등재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비디오 게임의 메타적 재현

        조은하(Cho, Eun-Ha) 한국게임학회 2012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2 No.3

        ‘크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이하 CMS)’은 미디어적 재현의 새로운 형식으로서, 하나의 매체가 지닌 속성을 다른 매체 속에서 해당 매체의 계기를 이용해 재현한다. 디지털 시대의 ‘재매개’가 기존 미디어 콘텐츠의 새로운 기술에 기반한 재전유라 한다면, CMS는 각 매체가 지니는 고유한 형식 속에서 다른 장르 경험의 계기들을 사용한다. 기술의 가능성에서 경험의 가능성으로 재현의 초점을 전환한다. 그런 의미에서 CMS는 기술에 의해 일방적으로 주도되지 않는, 매체 생태계 속에서 발아된 생존 전략이다. 그 사례로서 뉴 미디어의 대표 장르로 각광받는 게임을 소재화하여, 올드 미디어인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통해 메타적으로 재현한 아담 페사파네(Adam PESapane)의 <게임오버>(2006)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일상적 관찰력과 시각적 상상력을 통해 게임의 서사적 연쇄를 부각시킴으로써 올드 미디어의 형식과 뉴 미디어의 내용을 결합하여 CMS의 조건을 경험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Cross-Media Storytelling(CMS) is the new method of media representation. It picks the features and the elements in one media, and uses them in another media. ‘Remediation’ in digital era uses the content of old media in new form based on new technology. But ‘CMS’ represents the basic elements of the media experience in each unique style of media. It changes the focus from the technology to experience. So CMS is the new strategy of the media not based on the new technology. Adam PESapane’s <Game Over>(2006) is a example for this strategy. It takes the game media as a subject matter. But it expresses the meta-representation of game experience in the “stop motion animation” Especially it emphasizes the narrative chain between the usual phenomenon and the visual imagination. And it shows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of new media experience in the old media genre. So it suggests the conditions of CMS.

      • KCI등재

        생태적 삶을 위한 기독교교육

        조은하(Cho,Eun Ha)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7 기독교교육논총 Vol.15 No.-

        생태의 문제가 생존의 문제로 의식될 만큼 심각한 현대 사회 속에서 기독교인들의 생태적 삶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가능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생태문제에 대한 활발한 신학적 논의 중에서 지구가 계시의 매개체임을 제시하는 토마스 베리, 오늘날 신학의 과제는 현재의 위기와 변화된 사회의 특징을 담지하지 못하는 낡은 신학적 상상력과 감수성, 그리고 종교적 언어의 한계를 해체하고 새로운 언어로 하나님과 인간, 자연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것이라고 제안하는 샐리 맥페그, 생태문제는 단지 자연하고만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다. 사회나 문화와 관계가 있음을 강조하며 모든 존재의 연대성과 상호작용 속에서 공동운명체로서 인간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는 레오나르도 보프의 논의를 고찰한다. 이러한 논의 속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하나님과 자연과 인간의 연대성과 상호성에 대한 신앙적 인식을 위한 모색으로 타락/구원의 모형에 관한 신학적 강조로 지나치게 축소되어온“창조영성”회복을 제안한다. “창조영성”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으로서 긍정의 길, 부정의 길, 창조의 길, 변모의 길의 네 차원에서 각각, 하나님이 베푸신 창조의 신비와 우주적 환대에 응답하는 교육, 자기 비움의 과정, 즉 관상을 통하여 자기 비움을 실현하고 이를 통하여 신적 은총을 경험하는 교육, 우주를 창조하신 예술가로서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자연, 시, 그림, 등과 같은 예술에 대한 묵상을 통하여 창조의 경험에 동참하는 교육, 시간의 성스러움을 회복함으로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의 본래적 관계에 관한 인식의 회복뿐 아니라 연민을 통해 공동체의 삶을 위한 구체적 생활양식을 설계하고 실천함으로 새 창조계를 실현하는 교육 등을 제안한다. Ecological suffering is common to all parts of the globe and all species on the earth.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initiated by the need for living on ecological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Thomas Berry suggests that the earth is a medium of the revelation of God, Salle Mcfague takes up the position that theological imagination, emotion, and new language for post–modern society is needs. Lonardo Boff contends that ecology has to do with the relation, interaction, and dialogue of all living creatures (whether alive or not) among themselves and with all that exists. This includes not only nature but culture and society (human ecology, social ecology, and so on). From an ecological viewpoint everything that exists, co exists. We ne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correct understanding of creation spirituality that have been withering since the theology of Augustin, the so–called, fall/redemption theologies. This paper focuses on four way for a christian education of creation spirituality, in other words, the via positiva, the via negativa, the via creativa, and the via transformativa. The via positiva is a way of tasting the beauties and cosmic death of creation, which means us and everything else. To put it concretely, it is a christian education to give an answer to God’s hospitality in the creation world. The via negativa opens us to our divine depths and teaches us that the depth of nothingness is directly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everythingness. We learn we are cosmic beings not only in our joy and ecstasy but also in contemplation of pain, sorrow, emptiness, and darkness. The via creativa explores that creativity is a cosmic energy, cosmic birthing itself. In other words, art is the basic form of meditation in the creation–centered tradition. With art as meditation, we truly listen to the cosmos within us and around us and give birth to the ongoing cosmogenesis of our world and worlds. With art as meditation, creation as blessing is recovered and our trust in letting go is affirmed. The via transformativa challenges us to be transformers not merely of structures but surely of religious ones as well. In the interest of creation spirituality, The compassion in christian education is the requirements of the via transformativa.

      • SCOPUSKCI등재

        일부 자원 여성에서 모발염색 후 림프구의 DNA손상과 관련 요인

        진아,은하,설동근,이은일,Cho, Jin-A,Oh, Eun-Ha,Sull, Dong-Geun,Lee, Eun-Il 대한예방의학회 2002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5 No.4

        Objectives : To evaluate the DNA damage by hair dyeing in human lymphocytes Methods : Comet assay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NA damage in lymphocytes by hair dyeing. Twent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women volunteers whose age ranged from 55 to 67 year old. All subjects had no smoking histor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6 hours after hair dyeing. DNA damage was evaluated by means of the tail moments, which were quantified by a KOMET 4.0 image analysis system. Results : The tail moments before hair dye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bjects except for the high frequency group. The mean values of the tail moments in subjects with low and high frequencies of hair dyeing were 1.39 and 1.77, respectively (p<0.05). The tail moments after hair dyeing increased significantly, The mean values of tail moments in subjects before and after hair dyeing were 1.45 and 1.79, respectively (p<0.01). However, the difference levels of DNA damage in lymphocytes before and after hair dyeing were found to be slightly lower in both the dietary supplement taking group and high frequency group. Conclusions : The high frequency group appears to have a higher level of DNA damage than the low frequency group before hair dyeing. DNA damage in lymphocyt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olunteers after hair dyeing. In this study, the related factors such as high frequency and taking dietary supplements appeard to reduce DNA damage in lymphocytes after hair dyeing.

      •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Ⅶ)

        은하(Eun Ha Chang),김은경(Eun Kyung Kim),혜승(Hye Seung Cho),김정수(Jung Soo Kim),김신아(Shin Ah Kim),박윤정(Yoon Jung Park),이지현(Ji Hyun Lee),최소담(So Dam Choi),김경량(Kyung Ryang Kim),장지순(Ji Soon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젠더이슈는 하나로서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논의에 있어서 끊임없이 강조되어오고 있음. 2000년 이후 UN 중심의 국제사회의 개발을 향한 의지를 담은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이하 MDGs)와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와,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서도 개발효과성 제고를 위한 성평등 이슈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음. ○ 한국은 2010년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여 개도국에 대한 지원 및 국제사회에서의 기여를 증대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오고 있으나, 성평등 및 여성역량강화를 위한 원조의 비율은 12% 수준으로 전체 DAC 회원국의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등 성평등 원조에 있어서는 여전히 많은 개선이 필요한 실정임. ○ 이러한 대내외적 필요성에 부응하여 2011년도부터 시작된 본 ODA 연구과제는 다차년도 연구로서 해마다 그 주제를 확장해오면서 아태지역 한국의 중점협력국 4개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양성평등 정책의 발전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한국의 ODA 정책방향을 고민해옴. ○ 특별히, 금년도 연구의 경우, 2015년 발표된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Better Life for Girls, 이하 BLG)’ 구상에 발맞추어 아태지역의 중점협력국 4개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소녀 관련 현지 수요를 파악하고, 소녀 관련 향후 한국 ODA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함. 2. 연구방법 및 내용 ○ 본 연구보고서는 본원의 ODA 사업의 다양한 활동에 따른 산출물 중 하나로서, 사업의 주요 프로그램들을 반영하여 구성한 보고서임. 따라서 학술적 연구에서 요구되는 방법론을 엄격히 적용하기는 어려운 구조적인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현장성을 반영한 연구로 진행함. ○ 본 연구사업은 2011년도부터 아태지역 4개 중점협력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을 대상으로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변화와 한국의 성평등 원조사업 증가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어 왔음. ○ 세부내용은 1) 초청연수, 2) 공동 연구, 3) 한국 여성정책 발전경험 공유, 4) 기타 연구활동으로 구성됨. ○ 초청연수 - 금년도 초청연수는 ‘소녀 및 청년여성의 역량강화(Empowerment of Girls and Young Women)’을 주제로 개최되었으며(2017. 9. 4. ~ 2017. 9. 8.), 4개 협력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소녀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공무원 및 NGO, 학계 전문가 29인이 초청되었음. ○ 협력국 공동연구 - 협력국 공동연구의 경우, 4개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여성 및 여아에 대한 현황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향후 관련 개발협력 수요발굴 및 현지의 정책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음. ○ 한국 여성정책 발전경험 공유 - 금년도의 경우, 한국이 비교우위를 갖는 여아 및 청소녀 관련 정책 및 사업 경험(아동성매매 신상공개, 남아 선호 사상 감소, 젠더 관점의 교과서 개정)을 사례연구화하여 협력국 정책전문가들과 공유함. ○ 기타 연구활동으로 문헌조사, 협력국 출장을 통한 모범사례 발굴, BLG 중점 협력국의 개발협력사례 분석, 젠더와 ODA 포럼, 성과평가 등의 활동을 진행함. ○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음. -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내용과 방법, 그리고 기여도에 대해서 설명함. - 제 2장에서는 개발협력 분야에서의 소녀관련 선행연구를 BLG의 세 영역인 교육, 보건, 미래역량을 중심으로 검토하며,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한 핵심요소인 젠더폭력에 대해서도 고찰함. - 제 3장에서는 본원 ODA 사업의 4개 협력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소녀현황을 교육, 보건, 미래역량, 젠더폭력의 네 개 분야로 나누어 분석하고 수요분야를 도출함. - 제 4장에서는 협력국의 소녀관련 정책수립에 참고할 수 있는 국내외 소녀 관련 모범 정책 및 사례를 소개하며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문헌연구, 협력국 현지의 소녀현황, 모범사례를 바탕으로 국별, 분야별 종합적인 제언을 제시함. KWDI has been conducting a multi-year ODA research project since 2011 with an objective of establishing political and social infrastructure for gender equality policy in the Asia-Pacific region. During the year 2011 ? 2012, KWDI partnered with Cambodia and Indonesia and carried out various programs including baseline surveys, policy dialogues, and capacity building training. From 2013, KWDI expanded the project to include Myanmar and Vietnam as additional partners. Now KWDI is working with these four countries, sharing each other’s experiences and deepening mutual learning. This year’s research report was initiated to identify local demands for women and girls in developing countries on the basis of the ‘Better Life for Girls (BLG)’ initiative announc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2016,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 of Korean ODA policy.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local demands of girls for project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o realize the BLG initiative in the Asia-Pacific partner countries of Cambodia, Indonesia, Myanmar, and Vietnam, and to suggest futur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ODA. Chapter 2 examines the preliminary research on girls in the field of development and cooperation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on three areas of the BGL initiative: education, health, and profession. In addition to the focus areas of the BGL, the chapter also conducts survey on literature of gender-based violence (GBV) against girls in terms of sexual violence, and harmful customs and practices. It then explores existing global framework on girls research and project and identifies the role of KWDI ODA in macro-discourse level. Chapter 3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girls in KWDI’s four partner countries (Cambodia, Indonesia, Myanmar, and Vietnam) centering on the aforementioned four focus areas: education, health, profession, and gender-based violence. Then, the chapter identifies core priority areas to realize a better life for girls by country and sector. Chapter 4 looks in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girls-related best policies and projects in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of the chapter summarizes one of the programs of this ODA project, that is, ‘Knowledge Sharing on Korea’s Development in Women’s Policies.’ It analyzed three topics: decline of son preference, law and policy on the public disclosure of child sex traffickers information, and gender-sensitive textbook revision in South Korea. The second section introduces South Korea’s best policy practices related with girls. They are: Center for Teen Women’s Human Rights (Teens-Up), Tacteen Naeil, and Mirim Girls’ Information Science High School, for which cases were introduced as a field trip sites during the 2017 KWDI SSAGE Workshop. The third section introduces three international best projects in regards to girls: UNICEF Nepal’s ‘Rupantaran,’ the World Bank’s Adolescent Girls Initiative(AGI) in Lao PDR and ‘Supporting Talent, Entrepreneurial Potential and Success (STEPS)’ project, and the Child Fund’s ‘Pass It Back’ program. By analyzing of best policies and projects, the Chapter concludes with an exploration of key factors for girls’ empowerment in four countries and the applicability of such factors. Chapter 5 presents political implications for girls empowerment in four countr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girls situation analysis of each partner country, and best practices review conducted in previous chapters. The report concludes with sectoral policy recommendations for Korea as well as donor nations and examines future research and project directions. The sectoral policy recommendations are based on the particular areas presented by the BGL and SDGs and are proposed by taking specific cases and applicability into account.

      • KCI등재

        먹방의 유행과 문화현상 연구

        조은하(Eun-Ha Cho)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2000년대 초반 뉴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등장한 먹방은, 사회경제적 조건의 악화 속에서 혼자 식사를 해야 하는 청년 세대의 삶을 반영하였다. 많은 젊은이들이 먹방을 함께 시청하며, 비슷하게 어려운 처지를 겪는 이들과 가상적 일상 생활의 공동체를 구축하며 위안을 얻을 수 있었다. 이후 먹방은 사회를 반영하며, 또한 시청자의 요구를 수용하며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여, 현재는 한국에서만이 아니라 글로벌 현상이 되었다. 기존 연구는 이런 먹방의 성장과 변화보다는 초반에 나타나는 화제거리로서의 현상에만 주목하여 먹방을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먹방의 성장과 발전이 사회적 변화 과정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전개되었는가, 그리고 이런 먹방의 고유성이 어떻게 뉴 미디어의 특성 속에서 등장할 수 있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먹방이 세계적 현상으로 성장한 맥락과 기존 미디어에 미친 영향 등을 두루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Mukbang, which appeared through the new media platform in the early 2000s, reflected the life of the young generation who had to eat alone in the face of deteriorating socio-economic conditions. Many young people were able to watch Mukbang together, and gain comfort by establishing a virtual community of everyday life with those who suffered similar difficulties. Since then, Mukbang has evolved into various forms, reflecting the society and also accommodating the needs of viewers, and now it has become a global phenomenon, not just in Korea. Early research focuses on the phenomenon as a bizarre side that appears in the early stages rather than the growth and change of Mukbang, and deals with it in a limited way.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se limitations, and examines how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Mukbang interacted with the social change process, and how the uniqueness of Mukbang could emerg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media.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look at the context of the growth of Mukbang as a global phenomenon and the impact on the legacy media.

      • KCI등재

        네팔 교육현황의 성인지적 분석과 쟁점

        혜승(Cho, Hye Seung),은하(Chang, Eun Ha),김정수(Kim, Jung-soo),김희(Kim, 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네팔의 교육현황을 성인지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내 성평등 달성을 위한 주요 쟁점을 드러내어 향후 한국의 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문헌검토와 현지조사의 전문가 면담을 통해 나타난 네팔의 교육기회, 교육정책, 사회·문화적 젠더규범의 세 가지 측면에서의 주요 쟁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기회 측면에서는 여전히 여학생의 교육기회가 남학생에 비해 제한되고 있으며 특히 일부 지역의 상대적으로 열악한 교육환경과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인해 성별격차가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교육 정책적 측면에서는 소외계층과 여성의 교육을 보장하고 성인지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 토대가 잘 구축되어 있으나, 사회·문화적 요소와 결합하여 정책의 이행 면에서는 여러 한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근 지방정부의 교육과 관련된 역할이 강화되는 가운데 지방정부의 역량부족 문제가 도전과제로 지적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사회문화적 젠더규범 역시 여아들의 학업 지속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한국의 교육개발협력에 주는 시사점으로 교차성을 고려한 교육기회에서의 성별격차 해소 지원, 성인지적 교육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 사회·문화적 젠더규범을 고려한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Nepal education from a gender-sensitive lens to reveal the major issues of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in Nepal, and to draw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South Korea. [Methods] To this end, using document analysis and experts interviews from field research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major issues focusing on three domains; Nepal’s education opportunities, education policies and socio-cultural gender norms. [Results] As a result, female students, particularly in some regions, face more limitation than male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 opportunities due to relatively poor education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context. In terms of education policy,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is well established to ensure the access to education for underprivileged and women and to provide gender-responsive education.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implementation of policies combined with socio-cultural factors. In addition, whil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n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recently, the lack of local government’s capacity is pointed out as a challenge. Finally, various socio-cultural factors also act as an obstacle for girls to continually pursue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a) a detailed approach considering the intersectionality and gender gap in education opportunities; b) policy cooperation and support for gendersensitive education capacity building; c) and consideration of Nepal’s soci-cultural gender norms in the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Nepal and South Korea.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문화생태계

        조은하(Cho Eun-Ha)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7 No.-

        기술발달에 의해 촉발된 생산 및 유통의 변화와 그 변화의 파장 안에서 달라진 소비 형태를 경험한 주체들은 소설에 대한 기존의 고전적 인식을 유지하되, 별개의 심상을 지니게 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새로운 심상으로서의 소설을 생산, 소비, 유통하는 경험의 장(場)에 대해 ‘생태계’라 명명한다. 문화적 영역에 대한 생태계적 개념의 도구적 유효성은 작금의 지배적 문화현상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대중 문화가 자본주의에 힘입어 성장한 20세기 이후, 심상 혹은 인식의 구조 변화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급진적인 문화환경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기존과 다른 새로운 문화적 생산과 소비의 상호작용의 장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를 심상의 문제로만 인식하는 한, 작금의 급변하는 문화환경에 대해 온전히 이해하기 힘들다. 이러한 미시적 문화생태계는, 변화의 중심을 찾아내고 거기에서 근거한 통일성에 주목하는 고전적 사고에서는 비지(飛地)에 불과하지만, 각자 독립적 위치를 차지하고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만큼, 문화적 생산을 둘러싼 비지의 병존과 접합이라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Development of technology unleashes the change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culture industry. And a participant experiences the new way of consuming. New circulation betwee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ing gives us the new image about cultural product. We can call it ‘ecosystem’ the field of network of interaction in the new circumstance. Today, instrumental effectiveness of the ‘Ecosystem’ concept in cultural study has become quite obvious. Rapid change of popular culture is heavily indebted to capitalism in 20c. And the change of human mind or mentality can’t follow this change. Especially digital revolution makes the change sped up. With this change, the new field of cultural interaction comes on the scene. This new field has been in the existing ecosystem. But it has radically different properties. It makes a unique micro culture ecosystem. Classic approaches of culture study, which eager to find the cause in change of human mind and to build the totality of all changes, consider it as just an enclave in cultural era. But if we want to understand the radical change of culture ecosystem in the digital era, we should give the new perspective to this new micro ecosystem.

      • KCI등재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 게임서사를 중심으로

        조은하(Cho, Eun Ha) 구보학회 2006 구보학보 Vol.1 No.-

        컴퓨터의 상용화와 초고속 네트워크의 보급으로 인한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괄목할 성장은 강도 높은 사회ㆍ문화적 진파를 형성한다. 디지털 기술을 통해 가능해진 다양한 매체실험은 구술이나 문자매체 시대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세계를 문학영역에 열어주고 있다. 게임서사는 기존의 문학적 통념에 비추면 문학의 범주 안에서 언급할 만한 가치판단을 내리기 힘들다. 게임서사는 텍스트화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하이퍼텍스트의 일정 차원까지도 넘어서고 있으며, 동시에 인간과 프로그램의 상호작용에 의해 운용되기 때문이다. 책은 고정되고 완결된 완성체로 간주되는 바, 문학행위를 인간과 책의 상호작용이라고 표현할 수 없는 만큼, 컴퓨터 게임의 서사행위가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은 게임서사가 전통 문학과는 다른 범주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단순히 게임을 위한 스토리텔링이 아닌, 다양한 매체와 교류할 수 있는 전략적 창작, 그리고 단순한 트렌드의 반영이 아닌, 시대상을 점검하고 선도하는 발전적 기획력을 위해서는 게임서사에 대한 학문적 내밀화가 시급하다. 물론 게임서사에 대해 정통문학이나 문학현상으로 다루는 방식은 다소 무리가 있다. 다만 가상현실이라는 또 다른 철학적 난제를 배경으로 문학과 영상, 텍스트와 비쥬얼의 경계를 넘나드는 게임서사의 좌표에 대해 검토해볼 의의는 충분하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컴퓨터 게임의 기획과 제작, 그리고 실제 사용자들의 체험 과정 속에 구체화되는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게임서사에 접근하고자 한다. In recently years, rapid social cultural movement has arisen from a sea of highly technical electronic complexity.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true nature of a thing from various angles instead of looking merely at its surface. The computer and the related matters are at the center of the movement. The computer, accessible only to those with years of technical training, and seen as nothing more than a tool for calculation and data storage, has become accessible to those in the arts and humanities. Computers store all information in strings of zeros and ones, reducing everything to a digital representation. Additionally, the computer is a metamedium that can mimic other media, like film, photography, anima- tion, computer game and print. Finally, computers can add an important quality to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ame Narrative as a Inter- active Storytelling to facilitate meaningful learning on digital storytelling in cyberspace. Because Game Narrative is a way of making meaning for the individual on digital life, it can build a richer context through which we can enhance environmental ethics indirectly. Interactive Storytelling addresses the fundamentals of how and why successful games and stories work. It offers us a practical understanding of both the structure of traditional stories and the structure of participatory gaming. This study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storytelling via computer networks, which is designed for facilitating narrative inquiry with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online game activities and suggests design strategies for building Interactive Storytelling environment through Game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