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계 분석을 통한 함정 무기체계 신뢰도 목표값 설정 방안에 관한 연구

        조은별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6

        The warship weapon system is characterized by no prototype and faster decision-making time than other weapon systems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 This rapid decision-making is the same in the defense RAM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 work,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etting the target system reliability, which the warship weapon system requires a System Requirements Review (SRR), but other weapon systems need a Preliminary Design Review (PDR). Therefore, the warship weapon system needs a model for setting the target reliability available at the initial acquisition point. This study proposed a model for setting the warship weapon system target reliability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field data RAM analysis results conducted by the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DTaQ). Among the variables in the early step of acquiring the warship weapon system,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ing of displacement, maximum speed, and post-delivery year were identified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The model for setting the warship weapon system target reliability was developed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ith identified independent variables and system reliability. The model showed an adjusted R-Square of approximately 0.95 and a difference of 0.63% to 12.66% compared to the field data RAM analysis results.

      • KCI등재

        상담자의 불안정 애착유형과 작업동맹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조은별,김정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counselors’ attachment type, working alliance and social support seeking on their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burnout and both insecure attachment type and working alliance. For the study, 341 counselors working in professional counselling agencie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other region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Scale for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Revised(ECR-R), Working Alliance Inventory(WAI), Social Support Scale and Korean Counselor Burnout Inventory(K-CB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counselling experi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nselors’ attachment type, working alliance, social support and burnout. Second, working alliance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counselors’ burnout. Third, support of family had a moderating effect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unselors’ insecure attachment type on their burnout. Fourth, support of supervisors and co-workers had a moderating effect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unselors’ working alliance on their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nd gav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불안정 애착유형, 작업동맹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 애착유형과 작업동맹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및 기타 소재 상담 관련 기관에서 근무하는 상담자 341명을 대상으로 상담자 소진 척도, 성인애착유형 척도, 작업동맹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21.0를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상담 경력에 따라 불안정 애착유형, 작업동맹, 사회적 지지 및 소진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 소진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은 작업동맹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의 지지는 상담자의 불안정 애착유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슈퍼바이저와 동료의 지지는 상담자의 작업동맹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기 창의적 성향의 긍정적-부정적 측면의 변화 특성과 청소년활동이 미치는 영향

        조은별,민지연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기 창의적 성향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활동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창의적 성향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시기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생 시기의 창의적 성향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긍정적인 창의적 성향의 감소폭이 보다 크게 나타났다. 긍정적인 창의적 성향의 초기치에는 문화/예술, 모험/개척, 과학/정보, 직업/진로 관련 활동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변화율에는 과학/정보, 자원봉사 활동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부정적인 창의적 성향의 초기치에는 모험/개척, 과학/정보 활동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변화율에는 모험/개척 활동이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정규 교실 수업 이외의 비교과 활동을 통해 경험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이 청소년의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동시에 창의성이 감소하는 양상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창의성 발달 연구의 방향과 창의성 교육의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융합교육 핵심요인과 기대효과에 대한 델파이 분석

        조은별,이선영,신종호,홍윤정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the Delphi survey targeting 19 teaching professionals. The Delphi survey was completed three times, drawing key factors and expected outcomes which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key factors of convergence education were classified as ‘educational design’, ‘teachers’ expertise’and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design focused on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leaner’s experience. Teachers’ expertise was teacher’s active and supportive roles in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and learners. Educational environment was the psychological factors with which various subjects can realize convergence education. The expected outcomes were classified as ‘learner’s cognitive characteristics’, ‘leaner’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teacher and educational system.’ The expecte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leads to psychological changes for learners to increase the advanced learning experiences and to pursue values of education itself. Compared to similar concepts, convergence education has some unique characteristics in which many of regular learners in educational settings and various topics are targeted. It also focuses on psychological factors of various subjects and qualitative natures of leaners’ learning experience for the advanced learning. Especially,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onvergence education, focusing on educational practices through teachers’perspectives 본 연구는 개념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의 현장 경험을 가진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차의 델파이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융합교육의 특성으로서 핵심요인과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융합교육의 전제 조건인 핵심요인은 학습자의 다양한 질적 경험을 위해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의 개방적이고 융통적인 활용을 강조하는 ‘교육설계’, 교사, 교사-동료 간, 교사-학습자 간의 관계 속에서 발휘되는 교사의 역량을 의미하는 ‘교사전문성’, 다양한 교육주체의 심리적 지원을 통해 융합교육을 가능하도록 하는 ‘교육환경’으로 유형화되었다. 융합교육의 기대효과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교사 및 교육체제’ 차원에서의 변화를 포함하였으며, 융합교육이 교육 본연의 가치를 실현하는 하나의 틀로서 인식되었다. 본 연구에서 융합교육은 다수의 일반적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적 가치 실현을 지향하며,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을 적용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비롯한 관련 교육주체의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핵심요인으로 다루어진다는 특성을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다각적인 이해의 틀을 가지고 교육 현장의 맥락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Seasonal and local time variations of sporadic E layer over South Korea

        조은별,김용하,문수인,곽영실 한국우주과학회 2019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36 No.2

        We have investigated the variations of sporadic E (Es) layer using the measurements of digisondes at Icheon (37.14°N, 127.54°E, IC) and Jeju (33.4°N, 126.30°E, JJ) in 2011–2018. The Es occurrence rate and its critical frequency (foEs) have peak values in summer at both IC and JJ in consistent with their known seasonal variations at mid-latitudes. The virtual height of the Es layer (h’Es) during equinox months is greater than that in other months. It may be related to the similar variation of meteor peak heights. The h’Es shows the semidiurnal variations with two peaks at early in the morning and late in the afternoon during equinoxes and summer. However, the semi-diurnal variation is not obvious in winter. The semi-diurnal variation is generally thought to be caused by the semi-diurnal tidal variation in the neutral wind shear, whose measurements, however, are rare and not available in the region of interest.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mechanism of Es, we have derived the vertical ion drift velocity using the Horizontal Wind Model (HWM) 14, International Geomagnetic Reference Field, and Naval Research Laboratory Mass Spectrometer and Incoherent Scatter Radar-00 models. Our results show that h’Es preferentially occur at the altitudes where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ion velocity changes. This result indicates the significant role of ion convergence in the creation of 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