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측의 육성취(六成就) 이해(Ⅰ) - 경전 교설의 정통성은 어떻게 담보되는가? -

        조윤호 ( Cho Yoon-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62 No.0

        원측의 『해심밀경소』 「서품」은 육성취와 관련하여 동아시아불교권의 경전 해석사에서 유래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상세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육성취에 대한 원측의 해석을 검토하여 경전 교설의 정통성 확보 문제에 대한 이해의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중심 내용으로 한다. 연구 범위는 『해심밀경소』 「서품」의 전반부, 즉 “如是, 我聞, 一時, 薄伽梵” 구절에 대응하는 ①신성취, ②문성취, ③시성취, ④주성취에 해당한다. 원측에 의하면 육성취에서 ①신성취는 ‘如是’의 의미와 관련하여 검토되며, 그는 인도와 중국에서 교설의 정통성 및 진실성에 대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언표로서 다양한 맥락적 의미가 설정되어 해석되고 있었음을 확인한다. ②문성취는 ‘我聞’의 의미와 관련해 검토되며, 원측에 의하면 ‘我聞’은 ‘전법 보살과 아난 등이 오온의 몸에 我를 가립하여 그들의 이근에 식이 발생해 설법을 들은 것’이며, 이것을 호법·현장·친광 등의 유식교학적 이해에 따라 엄밀히 정의하면 ‘여래의 식에 발생한 언어적 표상이 아난의 식에 유사하게 전변하여 현현한 것에 대한 진술’이 된다. ③시성취는 ‘一時’의 의미와 관련해 검토되며, 원측은 먼저 길장을 비롯해 보리유지·장이·진제 등에 주목하여 그 해석학적 의미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그는 대표적으로 진제가 열 가지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처럼 ‘一時’는 단순한 물리적 층위를 넘어 여래의 출세에서부터 불법의 전승·수행·공덕 등에 걸친 불법의 시작과 끝이라는 전반적 상황과 관련하여 그 의미가 확장되어 해석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더불어 원측은 유부·중관·유식교학의 시간관을 검토하여, 유부에서 시간은 유위법들의 삼세에 걸친 변화 양태에 의거해 가립된 개념이며, 중관교학에서는 본체가 없는 것으로 규정되며, 유식교학에서는 유위법 상의 분위에 가립된 것임을 확인한다. ④주성취는 ‘佛’의 의미와 관련해 검토되며, 원측은 한역 경전들에 보이는 설법 주체의 불일치 상황으로 인해 제기될 수 있는 불법의 권위 및 정통성 문제에 대해, 서역의 원전이나 원어 층위에서는 문제가 없으며 단지 번역 과정에서의 문제임을 확인한다. 이 글에서는 기본적으로 육성취와 관련한 원측의 논의 방식 및 이해 내용에 보이는 특징들을 확인하는 것에 논의를 한정하였다. 다만 원측의 논의와 이해 과정에는 당시의 대표적 이해 방식들이 전체적으로 포괄되어 있다는 점에서 8세기 이전 중국에서 육성취에 대한 논의와 이해 방식은 그의 작업에 의해 일단의 완결을 보았다고 할 수 있다. 원측 이후의 육성취 논의 및 이해와 관련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겠으나 현재로서는 주목할 만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원측의 활동기를 전후해 중국불교계는 불전의 한역과 연구 등 불교의 수용과 이해 방식 정립 등에 대한 관심이 정점에 달하던 시기이며, 이후 육성취 자체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상대적으로 소원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렇게 볼 때 원측의 작업과 성과는 동아시아불교권에서 불전의 정통성 문제와 관련한 가장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논의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Won-chk's(圓測) Saṃdhinirmocanasūtraṭīkā(解深密經疏) discusses the Six Accomplishments in such detail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examples in the history of scriptural interpretation in East Asian Buddhism. This paper examines Won-chk's interpretation of the Six Accomplishments, examining how he understands the issue of securing the orthodoxy of the Buddha's teachings. According to Won-chk, ‘thus(如是)’ relates to the fulfillment of faith(信成就), which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contextual contexts as a direct statement of the orthodoxy of the Buddha's teachings in India and China. According to Won-chk, ‘what I heard(我聞)’ i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listening(聞成就), and its meaning is 'Bodhisattvas, Ananda, etc. set ātman in their bodies made of panca khandha(五蘊), so that they can hear in their ears. The ability to hear was developed, and the ears heard the teachings. Also, if the meaning of this is defined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Yogācāra School, it becomes ‘a statement about what appears in Ananda’s perception when the linguistic representation that occurred in the Buddha’s perception changes similarly.’ According to Won-chk, ‘onetime(一時)’ i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time(時成就), and its meaning goes beyond the physical level. In other words, it is related to the overall situation from the appearance of Tathagata in the world to the beginning and end of Buddhist teachings. According to Won-chk, ‘Buddha(佛)’ is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stay(住時就), and the discrepancy in the name of the preacher that appears in Chinese Buddhist sutras is not a problem in the Indian original text or at the original language level. It is a problem that arose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orthodoxy of the doctrine.

      • 창의성 연구의 흐름과 관점에 따른 기초디자인 교육 방향 -산업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조윤호 ( Yoon Ho Cho ) 경기대학교 부설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조형논총 Vol.12 No.-

        창의성 연구는 현재에도 관점의 차이에 따라 정의에 대한 문제가 존재하며, 역사적으로 길지는 않으나 창의성 연구 대상에 대한 시대적 흐름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들 연구 내용들의 공통적인 두가지 핵심요소는 ``새로움``과 ‘적절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의 창의성 연구는 개인의 선천적능력이 아닌 학습과, 동기부여 등의 외적 요인 관계 등의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소비 및 기술 진보에 따라 디자이너 역량을 창의성에 대한 기존 연구 관점을 바탕으로 심리학 관점이 아닌 디자인 교육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칙센트미하이의 창의성 연구를 중심으로 각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즉, 교수자의 경험을 기반으로하는 조력자의 역할 강조와 학습자의 능동적 동기부여에 대한 이론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혜원의 신체 중심적 인간 이해

        조윤호 ( Cho Yoon-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8

        4~5세기 중국사상계는 중국과 인도, 대승과 소승이라는 이질적 문화와 세계관의 각축의 장이었다. 중국의 불교도로서 혜원은 이같은 사상적 상황 속에서 한편으로는 불교비판에 대응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사상적 지반을 확보해야만 했다. 윤회보응, 법신 등은 중국전통에서 매우 낯선 사유였으며, 이들 문제의 이해 과정에서 혜원에게는 중국의 현상 실재론과 설일체유부의 법실재론적 사유가 혼재된 상태로 드러난다. 『명보응론』에서 혜원은 윤회보응의 발생과 전개를 설일체유부의 삼세양중 업감연기설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동시에 그는 생명체의 탄생과 전개를 중국고유의 사유전통에 의해서 이해한다. 『구마라집법사대의』에서도 혜원은 반야, 공의 사유로 온전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의 인간 이해에는 색법의 실재 및 유,무의 이분법적 사고가 전제되어 있으며, 몸을 기본적으로 연장성, 형상성을 본질로 하는 것으로 봄으로써, 법신의 이해에서도 신체의 토대성에 주목한다. 혜원의 이같은 이해에는 그의 『아비담심론』과 『삼법도론』번역 및 학습이 직접적인 배경으로 추측되며, 또 현실 중시의 중국적 사유전통 역시 주목된다. 아울러 이같은 혜원의 이해는 구마라집의 무자성, 공론의 세계관에 의해 비판되고 극복된다. The world of Chinese thought was the arena of struggle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and world views based n China and India, Mahayana and Hinayana in the time of 4th and 5th centuries. Hye-Won, one of the Buddhists in China, had to reply to criticism of Buddhism, and have the base of his own thought wired in this situation. The notions of sansara, nemesis, Dharma-body were very different from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nd it is found in Hye-won's understanding on these notions that the phenomenon existence thought of China and the Dharma existence thought of Sarvastivadins were mixed. Hye-Won understood samsara and nemesis with viewpoint of the three times and two level of cause and effect from Karma in his the explanation on nemesis. He also understood the birth and change of life wih viewpoint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His understanding did not shift to the thought of prajna-sunyata in the meaning of Mahayana by Kumarajiva Dharma-preacher. His understanding on Human beings premise the thought of material being existence and dichotomy of being or nonbeing, and he thought the essence of body was extensity and shape. In may be said that Hye-Won's understanding was directly caused by translation and learning of the theory on heart of the Abhidharma and the three key theory, and also Chinese traditional realism. His understanding was criticized and overcome by the world view of prajna and asvabhava and sunyata of Madhyamaka school conveyed by Kumarajiva.

      • KCI등재

        중국화엄사상의 한국적 전개 (관념성과 실천성의 사이에서)

        조윤호 ( Yoon Ho C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이 글에서는 중국과 한국에서 화엄사상의 수용양태와 사상적 특징을 세계관과 인간관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그 결과 중국의 화엄사상에서는 세계와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론적 해명에 논의가 집중되며, 그 과정에서 근원ㆍ궁극ㆍ절대의 상정과 그것을 중심으로 한 세계의 통일적 이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한국의 화엄사상가들은 중국화엄의 중심 이념을 수용하면서도 특히 인간의 실존적 상황 극복에 대한 노력을 강조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방법론으로서 그 실천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수용 태도의 배경에는 중국화엄사상가들의 경우 거시적 관점에서 세계의 본질에 대한 해명에의 관심이 작용하고 있으며, 한국화엄사상가들의 경우 성불을 위한 실천 의지와 희망 의식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세계에 대한 거대담론이건 성불을 향한 실천론이건 동아시아인들에게 그것이 갖는 관념성은 여전히 한계로 남았으며, 결국 그 해결은 선불교에 위임된다. This paper analyzed how Chinese and Korean accepted the Avatamska thought and what features they made centering on the view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Chinese understanding of the Avatamska thought emphasized theoretical clarifications of the essence of the world and humans, and in the process supposed the origin, ultimate and absolute, and focused on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On the contrary, Korea Avatamska thinkers accepted major ideas of the Chinese version, but stressed our efforts to overcome existent circumstances and accordingly emphasized the practicality of the thought as a way to solve problems in our lives. Chinese Avatamska thinkers had interest in clarifying the essence of the world from a broad point of view. However, Korean thinkers approached the Avatamska thought out of their will and hope to attain Buddhahood. This difference resulted in two dissimilar developments of the Avatamska thought in two countries. Still there is a limitation in East Asian Avatamska thoughts whether its aspect of a meta-discourse about the world or its practicality to be a Buddha is emphasized, that is, its ideality. The solution to the limitation is later placed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Zen Buddhism.

      • KCI등재

        초전법륜(初轉法輪)에 대한 원측(圓測)의 해석학적 지평

        조윤호(Cho, Yoon-H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3

        원측은 『해심밀경』의 삼시법륜 교설을 계기로 전법륜의 주체 · 시기 · 장소 · 대상 · 내용등에 대해 진지하게 해석학적 고찰을 수행한다. 그는 당시 인도 전래의 주요 자료들을 통해 초전법륜이라는 사건의 복원을 시도하여, 중국의 일반적인 교판론과는 다른 맥락에서 ‘불법(佛法)’에 대한 논의와 이해의 지평을 동아시아 불교계에 제시한다.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불교의 다양한 교리체계들에 대한 가치평가나 이해방식의 정립은 소위 교판론의 형태로 수행되었으며, 초전법륜의 이해는 이들 여러 교판론의 구축과정에서 단편적으로 논의되고 제시되었다. 『해심밀경소』에서 원측의 논의는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초전법륜에 대한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논의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원측은 한역 불전들에 보이는 설법 주체의 불일치 문제로 제기될 수 있는 불법의 권위 및 정통성 문제에 대해, 인도의 원전이나 원어 층위에서는 문제가 없으며 단지 번역과정에서의 문제임을 확인한다. 또 그는 법륜 개념을 둘러싼 불교교리사의 다양한 이해방식 및 의미 확장 과정을 확인하고 그것들의 정합적 해석을 통한 대승 ․ 유식교학으로의 종합을 시도한다. 법륜의 본체에 대한 여러 교설들에 대한 이해에서도 원측은 각 교설들의 주장과 관련한 문헌들을 빠짐없이 조사하여 그 맥락적 상황과 의미를 확인하는 해석학적 방법과 엄밀성을 경지한다. 이를 통해 그는 각 교파들에서 설정하고 있는 법륜의 본질은 모두 각각의 특정한 상황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큰 틀에서는 서로 상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한다. 아울러 법륜의 본질 규정과도 관련하는 문제로 3전 12행상에 대한 여러 종파의 이해 방식에 대해서도 해석을 시도한다. 원측이 동아시아 불교권의 교판론들과는 다른 맥락에서 ‘불법’에 대한 이해와 논의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불법의 의미와 권위 확인 작업을 초전법륜이라는 사건으로 되돌아가 확인하였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그는 종파적, 지역적 관점에 갇히지 않는 해석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일방적으로 대승 · 유식교학의 교판적 관점에서가 아니라 인도불교 전개사 안에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그 논의의 내용과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는 이를 통해 초전법륜을 둘러싼 상황과 내용에 대한 이해 방식의 상세하고 객관적인 이해 지평을 동아시아 불교권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동시에 그는 유식교학의 관점에서 여러 교설들의 관점을 종합하고 정합적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유식을 포함한 불교 교설들의 역사적 · 교리적 권위와 정통성을 확인하고 있다. This essay examined SAṂDHINIRMOCANASŪTRAṬĪKĀ of Wǒnch’uk, Chapter V: Niḥsvabhāvalakṣaṇa-parivarta, in which Wǒnch’uk attempts to restore the situation of the First Discourse on Turning the Wheel of Dharma through major literature from India. In this work, he presents discussions and interpretations of “Buddha’s teaching” to the Buddhist academic world in East Asia. During this process, he confirms the truth and authenticity of the system of Buddhist teaching from a more fundamental and broad perspective. It is believed that his interest was in confirming the historical and doctrinal legitimacy of the various traditions of the Buddhist truth system. He synthesizes the viewpoints of several doctrines from the Yogaācāra School and interprets them based on a coherent viewpoint. In this way, he confirms the historical and doctrinal authority and legitimacy of the doctrines, including the Yogaācāra doctrine, in East Asian Buddhism. Wǒnch’uk’s work can be considered a typical example of a full-fledged and systematic discussion on Turning the Wheel of Dharma in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종밀의 원각경주석서에서 교와 선의 관계론

        조윤호(Cho, Yoon-ho)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7 No.-

        이 연구는 8~9세기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소위 교와 선, 이론불교와 실천불교의 관계론을 둘러싼 거대담론의 전개 과정에서, 둘의 ‘和會’라는 방향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 내용을 구축해 제시하고 있는 하나의 사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종밀의 초기 저작이라 판단되는 그의 『원각경』 주석서들을 조사하여, 그가 교와 선의 접점을 어디에서 찾고 있는가, 그리고 그 융합의 방식은 어떤 것인가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확인된 중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종밀의 경우 『선원제전집도서』에서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후에 널리 그의 사상적 특징이라고 일컬어지는 교선일치와 같은 이념은 이미 『원각경』 주석서들에서 기본적인 틀이 형성되었다. 이 둘에 대한 회통적 해석의 구체적 방법과 내용은 禪개념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통해 불교의 수행론 특히 중국 선종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인하고, 이에 의해 신회 사상의 진리성 확신을 토대로 모든 불교의 수행론을 재해석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종밀에게 『원각경』은 교와 선의 화회가 구현된 최고의 매개체로 해석되며, 결과적으로 교와 선의 관계론에 대한 그의 결론은 『원각경』 교설과 神會사상의 일체화였다. ‘화엄선’ 등에 의해 교와 선의 관계론에 대한 종밀의 사유지평을 규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지점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is commentaries on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which are considered relatively early works of Tsungmi. Through this work, the question of where does Tsungmi fi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and what is the method of fusion was examined. The confirmed central conten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sungmi, the idea of unity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presented in the Ch’an-yüan-chü-ch’üan-chi Tu-hsü has already formed a basic framework in his commentaries of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The method and content of th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both is carried out through a new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Ch’an. He also confirms the Buddhist practice theory, especially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Chinese Ch’an sect. Through this, it was to reinterpret all Buddhist practices since Indian Buddhism, based on the conviction of the truthfulness of Shenhui thought. In this process, for Tsungmi,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is interpreted as the best medium in which the synthesis of teaching and practice is embodied and, consequently, his conclusion on the relational theory of teaching and practice was the integration of the content of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with Shenhui’s thoughts. Re-discussion is needed on defining Tsungmi’s thoughts on the relational theory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as “Huá yuàn-Ch’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