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전지역 대학생의 친환경농산물 인식 및 구매행동

        조유진,구난숙,Cho, Yu-Jin,Koo, Nan-Sook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3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s regard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35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in Daejeon and analyzed using SPSS 21.0. The students recognized EFAP as foods containing less or no agricultural pesticides and chemical fertilizers. More food major students knew the definition of EFAP compared to non-food major students (p<0.05). The students discriminated EFAP based on certificat on label and obtained information about EFAP from TV/home shopping. More non-food major students purchased EFAP than food major students (p<0.001). The main reason for hesitation with EFAP purchases was the high price. However, students purchased EFAP because of their family's safety. Price reduc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EFAP. Proper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easily purchase EFAP to promote safe and healthy dietary habits.

      • KCI등재

        유아의 행동문제와 유아교육기관 적응력, 또래관계, 자아탄력성 및 마음이론 간의 관계분석

        조유진(Yu-Jin Cho),김민아(Min-Ah Kim),김성현(Seong-Hyun Kim),김채연(Chay-youn Kim),이영민(Young-Min Lee),김순희(Soon-Hee Kim),김진희(Jin-Hee Kim),김보라(Bo-ra Kim),왕혜원(Hye-Won W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행동문제와 유아교육기관 적응력, 또래관계, 자아탄력성, 및 마음이론 간 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 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53명으로 평균 월령은 66.05개월 이였다. ‘K-CBCL 1.5-5’와 유 아교육기관 적응력 검사도구(PAQ)’, ‘또래관계 검사도구(PIPPS)’, ‘자아탄력성 검사도구(DECA)’, ‘ 마 음이론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행동문제는 또래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 유아교육기관 적응력, 마음이론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내재화 행동문제에 있어서는 유아교육기관 적응력이 유의미한 부적 예 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외현화 행동문제에 있어서는 자아탄력성, 또래관계, 마음이론이 유의미 한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 ego-resilience, preschool adaptation, theory of mind.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53 young children whose mean age of 66.05 months, and who were attended in eight kindergartens.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collecting data were ‘Child Behavior Check List preschool 1.5-5’,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 The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DECA),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PAQ)', and lastly, ’Theory of Mi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ve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ego-resilience, preschool adaptation and theory of mind. Third, preschool adaptation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 ego-resilience, and theory of mind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 KCI등재

        경기 일부지역 중학생의 야식 섭취실태

        조유진(Yu-Jin Cho),김미현(Mi-Hyun Kim),김명희(Myung-Hee Kim),최미경(Mi-Kyeong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 705명을 대상으로 야식 섭취형태, 야식 선택 시 고려사항, 야식 메뉴별 기호도 및 섭취빈도, 야식 섭취에 따른 식습관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야식 섭취상태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 1회 이상 야식을 한다는 대상자를 ‘야식군’으로 분류하였고, 전체대상자 중 야식군은 422명(59.9%)이었다. 야식을 먹는 주된 이유는 배가 고파서(79.1%)로 나타났으며, 야식을 먹게 되는 경로는 가족이 구입해서가 39.3%로 가장 높았고, 야식을 먹는 장소는 집이 96.2%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야식을 먹는 시간은 밤 10∼11시가 40.3%로 가장 높았으며, 야식 대상자의 32.9%가 야식 후 1시간 이내에 잠자리에 들고, 야식을 먹고 난 후 다음날 아침의 변화에 대하여 69.2%가 변화가 없다고 답하였다. 야식 메뉴를 선택할 때 맛, 위생, 양 등의 순서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가 높은 야식 메뉴는 빙과류, 과일류, 치킨, 과일주스, 라면, 피자, 자장면 순이었으며, 섭취빈도가 높은 것은 과일류, 빙과류, 라면, 치킨, 요구르트, 과일주스 순이었다. 야식군은 비야식군보다 편식(P<0.01), 과식(P<0.01), 짜게 먹기(P<0.01), 불규칙한 식사시간(P<0.001)의 점수가 높아 식습관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조사대상 중학생의 약 60%가 주 1회 이상 야식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늦은 저녁 시간에 배고픔으로 인하여 가족과 함께 야식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고, 야식 메뉴에 있어서도 탄수화물 및 지방이 주를 이루며 영양밀도가 낮은 메뉴들에서 기호도 및 섭취빈도가 높았다. 또한 야식군이 비야식군에 비해 식습관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 많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올바른 야식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야식에 대한 정의가 다소 불분명하고 여름 한 철에 조사되어 야식 메뉴가 한정적으로 제시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다양한 야식시간과 양 그리고 계절에 따른 야식 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ight eating habits of middle schoolers. A total of 705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yeonggi were surveyed about their dietary habits related to night eating. Among the total subjects, 59.9% (n=422) had night eating more than once a week and were classified into a night eating group (NEG). The main reason for night eating was hunger (79.1% of NEG)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night eating was related to food purchased by family (39.3% of NEG). Most of the NEG had night eating in their home with family members, and the time with highest frequency of night eating was between 10 p.m. and 11 p.m.. About 33% of the NEG went to bed within an hour after night eating and 69.2% of the NEG did not report any change after night eating. The most common factors considered when choosing a night eating menu, in order of frequency, were taste, hygiene, and amount. The favorite items on the night eating menu were frozen desserts, fresh fruits, chicken, fruit juice, Ramen, pizza, and Jajangmyeon. The most frequent menu choices were fresh fruits, frozen desserts, Ramen, chicken, yogurt, and fruit juice. The NEG had higher scores for picky eating (P<0.01), overeating (P<0.01), salty eating (P<0.01), and irregular meal times (P<0.001) compared to the non-NEG. Consequently, the NEG had more dietary problems than the non-NEG and their night eating behaviors were related to family habits. Night eating was mainly dominated by a diet of carbohydrates and fats, and the intake frequency and preference for foods with low nutritional value were high; thus, a practical and systematical nutrition education is required. Seasonal and comparative studies on night eating status according to various times and amounts of night eating are also required.

      •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한 비콘 기반자재관리시스템

        조유진(Yu-jin Cho),오재윤(Jae-yun Oh),김자용(Ja-yong Kim),나선경(Sun-kyung Na),최정석(Jeong-seok Choi),박재일(Jae-il Park) 대한산업공학회 2016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4

        IoT has been emerging in various fields of industry. However, Beacon has been applied to relatively limited areas, such as promotion and marketing purposes in O2O industry. We applied Beacons to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designed a new system to track storage locations of each material without attachment of any chips or stickers. In this process, we collected numerical signal data of each beacon and applied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make a best possible placement of beacons. Therefore, the goal of the project is at easily tracking the goods, increasing both flexibility and utilization rate of storage facilities. This is possible through removing restrictions in locating where to store each material.

      • OpenPose를 활용한 음성인식기반 드론제어 촬영시스템

        조유진 ( Yu-jin Cho ),김세현 ( Se-hyun Kim ),권예림 ( Ye-rim Kwon ),정순호 ( Soon-ho J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최근 드론과 1인 미디어 시장의 성장으로, 영상 촬영 분야에서의 드론 산업이 활발하게 발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다중 객체 인식 기술인 Openpose를 활용하여 인물촬영을 위한 음성 인식 드론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은 자연어 처리된 음성명령어를 통해 드론이 각 촬영 객체에 대한 회전, 초점변화 등 실제 영상촬영기법에 사용되는 다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96.2%의 정확도로 음성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누구나 전문적 지식이나 경험 없이 음성만으로 쉽게 드론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실행기능 기반 정서유능감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유진 ( Cho Yu-jin ),지성애 ( Chi Sung-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실행기능 기반 정서유능감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의 사회성, 언어능력,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행기능 기반 정서유능감 함양 프로그램의 구성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로 나누었다. 실행기능 기반 정서유능감 함양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를 각 19명씩 선정하였고, 연구대상의 월령은 45.44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는 실행기능 기반 정서유능감 함양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그림책을 활용한 교사-유아 이야기나누기 기반 정서유능감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실험처치는 7주간 총 20차시로 실시되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결과,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사회성, 언어능력, 정서-행동이 유의미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행기능 기반 정서유능감 함양 프로그램이 그림책을 활용한 그림책을 활용한 교사-유아 이야기나누기 기반 정서유능감 프로그램보다 유아의 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고 정서-행동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executive func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young children's social skill, language ability, emotion, and behavio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purposes and goal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hirty-eight young children (19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 19 children in comparison group; mean age was 45.44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executive function was implemented with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children in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teacher-children story sharing using picture book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 20 activities over 7 weeks. T-test was used to compare scores on ‘Bronson’s Social and Task Skill Profil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2 (K-BASC-2)’ between the two group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s social skills, language ability, and emotion and behavior in an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ison group.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executive function has positive effects in promoting children’s social skills, language ability, and emotion and behavior.

      • KCI등재

        Liver CT 검사에서 프로토콜 변화에 따른 선량 감소와 영상의 질 개선에 관한 연구

        조유진(Yu Jin Cho),조평곤(Pyong Kon Ch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5 방사선기술과학 Vol.38 No.2

        간 역동적 CT(Liver Dynamic Computed Tomography; LDCT) 검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관전압을 낮게 설정한 후 프로토콜을 변화시켰을 때 방사선량과 영상의 질을 비교하여 영상의 질을 유지하면서 방사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LDCT를 시행한 환자 중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18.5~24인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복부 CT 검사 프로토콜을 적용한 A그룹 20명(관전압: 120 kVp, SAFIRE strength1)과 관전압을 낮게 설정한 B그룹 20명(관전압: 100 kVp, SAFIRE strength 0~5 적용)이었다. 영상의 질 평가는 동맥기의 간 실질 조직, 대동맥, 상장간막동맥, 복강동맥, 내장지방 그리고 백그라운드에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설정해 잡음(noise),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 CT number를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정성적 평가는 경험이 풍부한 영상의학과 전문의 2명이 0~3점까지로 평가하였다. 방사선량은 총 DLP(dose length product)와 유효선량, CTDIvol(volume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을 비교하였다. 관전압 100 kVp에서 SAFIRE가 높을수록 잡음은 감소하고, CT number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SNR과 CNR은 SAFIRE 단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관전압 120 kVp와 비교하여 잡음, SNR, CNR이 SAFIRE strength 2, 3에서 가장 유사하였다. 정성적 평가는 SAFIRE strength 2가 가장 많았고 관전압이 100 kVp일 때 영상의 질이 더 좋다고 평가한 경우는 SAFIRE 1이었다. 방사선량은 120 kVp에 비해 100 kVp에서 21.69% 감소하였다. BMI가 비교적 높지 않은 LDCT 검사의 경우 공장에서 출고될 당시에 관전압이 높게 설정되어 있어 불필요한 방사선피폭이 우려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본 연구 결과에 따라 관전압을 낮게 설정하고 SAFIRE strength를 2로 조정하면 영상의 질 저하 없이 방사선량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is reducing radiation dose while maintaining of image quality in liver dynamic CT(LDCT) scan, by protocols generally used and the tube voltage set at a low level protocol compared to the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The target is body mass index, 18.5~24 patients out of 40 patients who underwent the ACT(abdominal CT). Group A(tube voltage : 120kVp, SAFIRE strength 1) of 20 people among 40 people, to apply the general abdominal CT scan protocol, group B(tube voltage : 100kVp, apply SAFIRE strength 0~5) was 20 people, set a lower tube voltage. Image quality evaluation was setting a region of interest(ROI) in the liv-er parenchyma, aorta, superior mesenteric artery (SMA), celiac trunk, visceral fat of arterial phase. In the ROI were compared by measuring the noise, signal to noise ratio(SNR), contrast to noise ratio(CNR), CT number. In addition, qualitative assessments to evaluate two people in the rich professional experience in Radiology by 0-3 points. We compared the total radiation dose, dose length product(DLP) and effective dose, volume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CTDIvol). The higher SAFIRE in the tube voltage 100 kVp, noise is reduced, CT number was increased. Thus, SNR and CNR was increased higher the SAFIRE step. Compared with the tube voltage 120kVp, noise, SNR, CNR was most similar in SAFIRE strength 2 and 3. Qualitative assessment SAFIRE strength 2 is the most common SAFIRE strength 2 the most common qualitative assessment, if the tube voltage of 100kVp when the quality of the images better evaluated was SAFIRE strength 1. Dose was reduced from 21.69%, in 100kVp than 120kVp. In the case of a relatively high BMI is not LDCT scan, When it is shipped from the factory tube volt-age is set higher, unnecessary radiation exposure when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is concerned, whe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et a lower tube voltage and adjust the SAFIRE strength to 1 or 2, the radiation without compromising image quality amount also is thought to be able to be reduc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

        조유진(Yu-Jin Cho),배지현(Jee-Hyun Ba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개정누리과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의 공,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원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과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활용, 평가목적 순으로 차이를 인식하였다. 인식에 관한 항목의 일부는 교사의 교육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자율성’을 유아평가의 중점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유아평가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평가를 위한 요구는 양방향적 동료 간 워크샵, 평가사례 공유, 연수 및 컨설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를 담당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able operation. 12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recognized the difference in child evaluation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recognized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method the most. Some of the items on percep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eachers. Teachers recognized autonomy as the focus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d that it was the biggest factor that made child evaluation difficult. The interactive peer-to-peer workshop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early childhood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finding ways to support teachers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 여행정보관리를 위한 데이터 전송관리 서버 구현

        조유진 ( Yu-jin Cho ),박영호 ( Young-ho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해외에서의 응용 활용이 높아지고 있지만 경제적 여건이나 현지 통신 환경으로 인해 네트워크 활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행정보를 관리하는 안드로이드 응용인, Travel Manager 는 wi-fi 속성을 추가하여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명시 화하였고 id 포맷 제안을 통해 보다 명확한 정보의 값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Travel Manager 는 소켓 프로그래밍을 통한 데이터 전달로 전송, 전달 중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현지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의 데이터 전송 문제점을 wifi 연결 시 데이터 동기화(Sync)라는 방법으로 해결하여 단말-서버 데이터 일관성은 높이고 사용자의 불편함은 최소화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