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조업지원용 전문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조욱상,이진우,박상진,원종식,김상욱 ( Wook Sang Cho,Jin Woo Lee,Sang Jin Park,Jong Sik Won,Sang Wook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2

        경기도 광주군 소재 경안천 하·폐수 종말처리장을 실제 적용 대상으로하여 공정 조업상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의 원인을 진단 및 분석하고 이에 적절한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조업지원 목적의 prototype의 전문가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여 실제 적용 test를 수행하였다. 특히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인 폭기조와 최종 침전지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정상의 문제점을 집중분석(bulking 현상 등)하여 100 여개의 production-rules로 구성된 지식베이스를 완성함으로써 공정의 안정적인 조업관리 및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조업에 있어서 전문 및 표준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경험이 부족한 신입 현장 조업자들의 조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향후의 과제는 조업 data를 통계처리하여 공정조업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조업 제어변수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최적의 조업조건을 제시할 수 있는 통계제어모델을 개발하여 전문가 시스템에 접목시킴으로써 prototype이 아닌 완벽한 공정시스템 도구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A prototype of expert system which can support the operation for the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plant located at Kyoung-Ki Do, Kwang-ju Kun was developed and tested. This system provides (i) tracking the cause of the problem, (ii) analysis, and (iii) solution Knowledge-base consists of about 100 production-rules for the biological wastewater process, such as bio-reactor and final clarifier. Rule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such as sludge bulking. The system provides stable process control and management and effectively helps inexperienced operators with advanced and standard technologies. Future works will focus to develop a statistical process control model and associate with expert system. The control model can process the operation data statist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ng factors and control variables; and provide optimum operation parameters.

      • SCOPUSKCI등재

        5- Methyl -4- Imidazolecarboxylic Acid Ester 연속합성 반응의 특성 및 공정개발 연구

        조욱상,박상진,김성태 ( Wook Sang Cho,Sang Jin Park,Sung Tae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5 공업화학 Vol.6 No.2

        Ethylacetoacetate 로부터 중간 생성물인 α-acetyl-α-hydroxy iminoacetic acid, α, β-dioxobutylic acid를 거쳐 생성되는 5-methyl-4-imidazolecarboxylic acid ester의 연속반응공정 개발을 위하여 세 경우의 연속 반응기 schemes : 1) Annular Flow Reactor 2) Continuous Flow Stirred Tank Reactor (CFSTR) 3) Heat Exchange Loop/plug Flow Reactor에 따른 반응수율특성, 공정변수 영향 등을 연구하였다. 율속 단계인 α, β-dioxobutylic acid 생성 반응의 수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반응기 scheme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2중 열교환 루프를 거쳐 냉각조에 잠겨있는 플러그흐름 반응기를 통과시키는 배열이었으며 이때의 수율은 HCl의 농도에 따라 (6.6∼8.3M) 70∼75%이었다. 또한 반응 체류시간은 1∼1.5hr이었으며 발열반응으로 인한 α, β-dioxobutylic acid의 decomposition이 일어나는 온도범위는 12∼15℃ 이었다. 2중 열교환 루프에서의 총괄 전열 계수는 25Btu/hr-ft²-℉이었고 막(film) 전열계수는 약 40Btu/hr-ft²-℉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연속 반응기 scheme은 반응수율의 감소없이 2중 열교환 루프에 허용될 수 있는 최적의 공정변수 (온도, HCl 주입속도, 반응체류시간 등)만 결정되면 상업화 공정 Scale-up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ree continuous reactor schemes : 1) Annular Flow Reactor, 2) Continuous Flow Stirred Tank Reactor (CFSTR), 3) Heat Exchange Loop/Plug Flow Reactor, were tested under the formation of α, β-dioxobutylic acid, which is the rate-controlled step. The reactor scheme which performed best in terms of α, β-dioxobutylic acid yield consists of a heat exchange loop containing two double-pipe exchangers in series, followed by a plug flow reactor immersed in a coolant bath. The rate of formation of α, β-dioxobutylic acid was found to be a function of α-acetyl-α-hydroxy iminoacetic acid and HCl concentration. The decomposition of α, β-dioxobutylic acid was found to occur in the range of process temperature, 12∼15℃.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based on inside area and the film coefficient was 25 and 40 Btu/hr-ft²-℉, respectively. The reactor scheme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scalable to the commercial size, with the optimal determination of process variables.

      • SCOPUSKCI등재

        5- methyl -4- imidazolecarboxylic Acid Ester 연속합성의 반응속도론 및 특성 연구

        조욱상,박상진,김학희 ( Wook Sang Cho,Sang Jin Park,Hak Hee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4 공업화학 Vol.5 No.6

        Ethylacetoacetate로부터 2단계의 연속합성을 통하여 생성되는 5-methyl-4-imidazolecarboxylic acid ester의 합성반응 속도론과 중간 생성물인 α, β-dioxobutyric acid(일명 diketone)의 반응 안정성을 연구하였다. 반응속도 결정단계는 α-acetyl-α-hydroxy iminoacetic acid(oxime)로부터 diketone으로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인자로는 Oxime, HCl의 농도와 반응온도임을 확인하였고 HCl 농도 4.6∼8.0M, 반응온도 8.5∼20℃의 변화에 따른 diketone의 최대 반응수율 변화는 50∼74%이었다. Power-law 수식모델 및 회분식 반응기 empirical data로부터 diketone 생성반응 속도식을 구하였으며 이 식이 실험 Data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5-methyl-4-imidazolecarboxylic acid ester 연속반응 공정개발의 기초단계로서 반응속도론 연구를 통하여 합성 반응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두고 있다. The chemistry of 5-methyl-4-imidazolecarboxytic acid ester synthesis involves three distinct reaction steps. Of these the rate of formation of diketone was found to be a function of oxime and HC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by the batch experiment. The decomposition of diketone was found to be a slow process, whereas temperature was the only variable to affect it significantly. An empirical rate expression for the net formation of diketone fits the experminetal data satisfactorily. 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tudy the kinetics of the diketone formation reaction and to develop the empirical rate expression.

      • KCI등재

        뇌 기반 학교체육 프로그램 참여가 중등학생들의 인지ㆍ정의적영역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조욱상 ( Cho Ook-sang ),김종욱 ( Kim Jong-wook ),박광일 ( Park Kwang-il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6 스포츠사이언스 Vol.34 No.1

        본 연구는 취학연령 유ㆍ청소년들의 뇌기능을 신체활동 및 스포츠 활동을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뇌 기반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학교체육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지난 2013년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사업 참여를 통해 수행되었던 유 .청소년의 폭력성향 조절을 위한 뇌 기반 학교체육 프로그램 연구의 자료를 적용하여 설계한 뇌 기반 학교체육 프로그램을 수도권 소재 N 중학교 2015학년도 체육수업에 1학기(16주) 동안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학교의 2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중 학업성적이 부진하고 폭력성향 등 정서적인 문제를 노출하고 있던 1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뇌 기반 학교체육 프로그램을 체육수업에 적용하기 전과 후, 전문심리검사용 설문지(AQ-K, BDI) 검사를 실시하고 연구대상 학생들의 체육교사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대상 학생들의 인지 및 정서기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학생들의 폭력성향과 우울증에 대한 연구 자료를 제공한 설문지 검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폭력성향의 경우 뇌 기반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적용 한 후, 연구대상 학생들의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분노감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 측면에서는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우울증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학생들의 인지기능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던 연구대상 학교교사들과의 심층면담 결과에서는 제한된 연구기간 동안 학생들의 인지기능 변화를 관찰하기는 힘들었다는 교사들의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연구대상 학생들의 학업능력에 대한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교사들의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of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through particip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at brain-bas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is applied. Brain bas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by supporting of 2013 National Research Federation`s interdisplinary research enterprise. The design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N middle school that located in the capital area for 16 week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the subject school utilized the design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to the second year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tal 12 male stud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They had a poor academic achievement history and violent inclination. The subjects took psychological survey related to chang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n terms of subject students` violent inclination, the results of AQ-K survey shows that their physical, linguistic viole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applying brain-bas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Regarding depression of the subject students, their cognitive, affective, and motivational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ased on the results of BDI survey.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teacher interviews reveal that subject students had a potential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창의성 개발을 위한 체육교육 연구동향 분석

        조욱상(Cho, Ook-Sang),김종욱(Kim, Jong-Wook),김정규(Kim, Jeong-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진행되어 온 학습자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체육교육학술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성 개발을 위한 체육교육이 어떠한 목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져왔으며 그 효과는 무엇이었는지를 탐구해보는 데 있었다.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이 창의성 교육을 제시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학습내용과 교수-학습전략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창의성 개발을 목적으로 한 체육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한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정방안을 제시하는 것 역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동향 분석을 위해서 초·중등학교 학생들의창의성 개발을 위한 체육교육을 주제로 수행된 국내 학술연구물들이 광범위하게 수집되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의 문헌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총 33편의 관련 학술연구물들이 수집되었고,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연구물들은 발표연도 및 학술지,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결과, 창의력 분석요인을 분석변인으로 하여 창의성 개발을 위한 체 육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연구되어 왔는지 분석하는데 이용되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동향의 분석 결과, 1997년부터 현재까지 학습자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체육교육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창의성 개념을 활용한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 그리고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온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대부분의 관련연구들이 체육교육이 학습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창의성 개발에 실효성을 기대할 수 있는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학습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창의성과 관련된 인지능력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측정한 실험연구보다는 창의성과 체육교육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한 문헌고찰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physical education that have designed for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that focused on impacts of physical education on students creativity and brain based physical education for students creativity was collected. by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and Total 33 studie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analysis for the present study.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y four important factors that decide purposes, methods, and results of the study: journal and year for publish, methods, participants, and topic.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elected studies, research on physical education for students creativity have been conducted without considerations of brain based physical education Also, the updated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id not include practical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that were prepared by brian scientific theoretical backgrounds.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search trends indicated that experimental study focusing on the impact of physical education on intellectual abilities related to creativity was not activated while literature review study for exploring related theoretical framework was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에 준거한 인성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논의

        조욱상 ( Cho Ook-sang ),김종욱 ( Kim Jong-wook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7 스포츠사이언스 Vol.34 No.2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있어 체육과 교육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논의하고 결정해야 할 사안들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성평가도구의 적절한 구조와 내용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인성교육 관련 교육목표, 내용체계, 교수·학습과정, 그리고 평가방향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신체활동 및 스포츠활동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그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통한 학생들의 인성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조사하고 논의해야 할 사안들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9년 및 2015년에 개정된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구조가 인성교육의 견지에서 분석되었으며, 타 교과의 인성교육과 학습자의 인성평가에 적용된 이론적 배경을 수집하고 이를 체육과 교육에 접목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전문가 집단과의 협의를 통해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학교체육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인성교육의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또한 이와 같은 체육교육을 통한 인성교육활동이 학생들의 인성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적 도구의 개발과 활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안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physical educators need to analyze and discuss for designing an assesment tool targeting to learners` affective ability. Regarding th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assessment dire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an assessment tool and its` practicality.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that were revised in 2009 and 2015 in order to discuss what and how school physical education has provided students opportunities to positively change their affective condition. Also, the present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ocuments related to theoretical background to design an assessment tool that highlights youth`s affective changes. An expert group members who were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sport pedagogy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discuss contents and structure of an assessment tool for learners` affective changes.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types of humanity education with physical edu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udy focuses on what physical educators have to consider to prepare an educational tool to improve students` affective conditions.

      • KCI등재

        현직체육교사들의 체육교사교육 실효성에 대한 비판적 소고

        조욱상(Cho, Ook-Sang),김종욱(Kim, Jong-Wook) 한국체육과학회 201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ritique of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tise and to suggest a practical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nun regarding the curr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ritique. In terms of data collection, fou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involved in a physical education pedagogy major master program of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had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ers focusing on contents and instructional approaches of the curren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practical approach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uctive analysis by creating categories related to practical problems arou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ossible instructional approaches for reform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articipa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negative perspectives on effectivenes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because of low quality of curriculum. teachers’ indifference, and institutional problems. The suggested practica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emphasizes the need for reforming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teacher development s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