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大邱地方에서 痢疾樣 大便을 가진 患兒들에 對한 臨床的 細菌學的 考察

        趙龍勳,權五永,李相範,安斗洪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0 慶北醫大誌 Vol.21 No.1

        1979年度 3月부터 9月까지 만 7個月동안 本敎室에 痢疾樣泄瀉를 主訴로 來院 및 入院한 15歲 미만의 患兒 75名에 對하여 臨床的, 細菌學的 觀察을 한 바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月別 分布 8月이 19例(25.3%)이었고 Shigella는 8,9月에 아메바는 6,7,8月에 많이 發生하였다. 2. 年齡別 分布 1歲에서 5歲까지가 39例(52%)로서 가장 많았다. 3. 病因別 分布 Shigella 陽性 檢出率은 14例(18.7%)이었고, E.histolytica 陽性 檢出率은 34例(45.3%)이었다. 4. 臨床的 症狀 및 理學的 所見 細菌性 痢疾 14例에서는 發熱이 78.6%, 腹痛 71%, 嘔吐 50%, 痙攣 21.4%, 脫水現象 78.6%였으며 아메바성 痢疾에서는 發熱 52.9%, 腹痛 47%, 痙攣 및 脫水現象이 各各 5.9%로 腦膜刺戟症勢는 細菌性痢疾에서만 觀察되었고 痙攣 및 脫水現象은 아메바성 痢疾에서는 드물었다. 泄瀉의 性狀은 細菌性 痢疾에서는 64%가 血粘液性이었으며 아메바성 痢疾에서는 88%가 粘液性이었다. 泄瀉의 回數는 細菌性 痢疾에서는 71%가 11回以上이었고 아메바성 痢疾에서는 82%가 11回 미만이었으며 原因이 밝혀지지 않은 群에서는 50%가 6回 미만이었다. 6. 末梢血液所見은 細菌性 痢疾에서는 白血球 增多症이 18.2%, 아메바성 痢疾에서는 23.5%이었다. 7. 分離菌株는 Shigella flexneri가 13例, Shigella dysenteriae가 1例이었으며 Shigella sonnei와 Shigella boydii는 1例도 없었다. 또 Shigella flexneri가 證明된 1例는 急性腦症으로 死亡하였다. 8. 分離된 Shigella 菌株의 抗生劑에 對한 感受性은 kanamycin, gentamicin, amikacin, cephaloridine, rifampin이 100%로 가장 높았고, nalidixicacid가 78.6%, ampicillin 21.4%, carbenicillin 21.4%, bactrim 14.3%의 順이었고,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streptomycin, sulfonamide에서는 100%에서 耐性을 나타내었다. A clinical and laboratory study was conducted on 75 children with dysentery-like stool, who had been admitted or visited to our pediatric department, during 7 months period from March to September, 1979.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One to five years of age group was affected most frequently(52%), and Shigella (Sh. flexneri, 13. Sh. dysenteriae, 1.) were obtained in 14 patients(18.7%) and E. histolytica in 34 patients (45%). 2. In bacillary dysentery, fever was the most common symptom(78.6%), followed by abdominal pain(71%), vomiting(50%), convulsion(21.4%), and dehydration(78.6%) And in amebic dysentery, fever(52.9%) was the most common symptom, too, followed by abdominal pain(47%), convulsion(5.9%), and dehydration(5.9%). Meningeal irritation signs were noticed only in bacillary dysentery group. Convulsion and dehydration signs, which were prominent signs in bacillary dysentery, were quite rare in amebic dysentery group. 3. About character of diarrhea, 64% of bacillary dysentery group showed bloody mucoid stool and 88% of amebic dysentery group mucoid ones. About frequency of diarrhea, 71% of bacillary dysentery patients passed 11 times or more a day, and 82% of amebic dysentely patients less than 11 time a day. 4. In peripheral blood examination, leukocytosis was noted in 18.2% of bacillary dysentery group and in 23.5% amebic dysentery group. 5. The result of sensitivity test of isolated Shigella to various antibiotics were as follows; 100% sensitivity to kanamycin, gentamicin, amikacin, cephaloridine, rifampin, 78.6% to nalidixic acid, 21.4% to ampicillin, carbenicillin, 14.3% to bactrim and 100% resistances against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streptomycin & sulfonamide were found.

      • KCI등재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 ; 한국 기독교 대학의 역사에 대한 연구

        조용훈 한국대학선교학회 2006 대학과 선교 Vol.11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history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The histories are the gloomy stories about the loss or weakening of Christian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the past, Christian higher learning institutions have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but also in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society and politics. In the meantime, they have lost not just academic excellence, but also moral excellence. It has many causes as following: First, they had no distinct foundation idea and vision based on Christian faith, and couldn``t reinterpret it relevantly to face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Second, their rapid expansion forced them to be susceptible to the commercial power and secular thoughts. Since the non-belief students are majority in campus, it became to hard to maintain the Christian atmosphere in the campus. As a result of development of multiversity, the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lost the Christian educational vision for unifying their members.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Christi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jeopardy. The attitudes of fundamentalist theologians and preachers are anti-intellectual, and this prevents any fruitful dialogue between faith and learning on camps. On the other hand, members of Christi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ten view church intervention as meddlesome and counterproductive. As a result of this, the Christian universities have gradually lost their spiritual roots.

      • 녹색 캠퍼스의 비전

        조용훈 한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원 2010 기독교문화연구 Vol.15 No.

        기독교대학에서의 교육과 그린운동의 상관성을 다루는 이 글은 다음 다섯 가지 논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환경문제는 우리시대 인류가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사회문제이며,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학에서의 환경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환경교육의 중요성에 비하여 대학에서의 환경교육 현실은 아직도 초보적이며 체계적이지 못하다. 셋째,환경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녹색인재를 양성하는 환경교육 개발에 기독교대학이 선도적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기독교대학에서 환경교육은 교육과 연구, 그리고 실천운동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다섯째, 일반대학과 달리 기독교대학에서의 환경교육은 교육이념에서 정체성이 분명하고 실천에서 철저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논의를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한다. 대학에서의 환경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여렷이다. 첫째, 대학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사회조직으로 다양한 형태의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원인 제공자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둘째, 대학은 미래사회의 지도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서 우리시대의 가장 큰 사회문제 가운데 하나인 환경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갖춘 지도자, 즉 녹색인재를 양성해야 할 사명이 있기 때문이다. 셋째,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대학은 다양한 연구활동을 통해 환경위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술과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특별히 기독교대학은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보전할 소명을 받은 소명자이기에 환경문제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필요하다.

      • 소아 백혈병의 임상적 고찰

        조용훈,정원조,구자훈,안두홍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8 慶北醫大誌 Vol.19 No.2

        저자는 1974년 7월부터 1978년 6월까지 만 4년 간 경북의대 부속병원 소아과에 입원 및 내원한 44예의 소아 백혈병에 대한 임상적 관찰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남아대 여아의 비는 1.2 : 1이었다. 13∼15세가 12 예(27.3%)로 발생율이 가장 높았고 비교적 연장아에서 많았다. 급서형이 44예(100%)였으며 그 중에 임파성이 32예(72.7%), 골수성이 8예(18.35), 단구성이 2예(4.5%), 전골수성이 2예(4.5%)였다. 내원전 자각증상으로 안면창백이 27예(62%), 발열이 27예(62%), 출별 혹은 출현반이 24예(55%), 무기력이 19예(43%)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출혈성 경향은 급성 임파성에서 보다 골수성에서 더 현저하였다. 내원시 진찰소견에서 간종대(78%), 비종대(45%), 간비종대(41%), 임파선 종대(59%)등이 있었고 골수성보다 임파성에서 현저하였다. 혈색소치는 10.0gm%이하가 100%였다. 백혈구감소증(5,000/mm^3이하)은 42%였고, 백혈구 증다증(10,000/mm^3이상)은 53%에서 나타났다. 혈소판 수는 일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체로 출혈성 경향과 평행하였다. clin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on 44 children with leukemia, seen at Kyungppk Unibversity Hospital from July, 1974 to June, 1978.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Male to female ratio was 1.2:1. Highest rate was seen in 13-15 years of age group and all the patients were found to be acute type. Lymphoblastic type was the most common type, comprising 72.7% (32cases), followed by myeloblastic 18.3%( 8 cases), monocytic 4.5%(2ccasese), progranulocytic 4.5% (2 cases). Chief complaints in order of the frequency were pallor (62%), fever (62%), homorrhage or purpura (55%) and weakness (43%). Acute myeloblastic leukemia showed more tendency to bleed tha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Hepatomegaly was observed in 78% of patients, splenomegaly, hepatosplenomegaly and lympadenopathy 45% 41% and 59% respectively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volved liver and spleen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types. In 100% of patients hmoglobin values were below 10.0gm%. Leukopenia was seen in 42% and leukocytosis (over 10,000/mm^3) in 53%. Most of patients (96%) manifested thrombocytopenia and platelet counts were correlated fairely well with bleeding tendency.

      • KCI등재

        마을만들기를 통한 지역교회 활성화 방안

        조용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4 No.-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y have caused many kinds of mental, social and ministerial problems. To face these problems the movement of the making village(community building) is regarded as the good alternative.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local churches should respond to this issues of the movement of the making village on the basis of case study of the Saerom Church in Gyunggi province. For the motivating and developing of the making village by the local churches,it is important to have a solid theological foundation and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this paper, we will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tasks of the local churches in four ways. Firstly, the minister of the local church have the ministerial theology as the mistry for the local community not only for the church itself and as the minister for the local residents not only for the church members. Secondly, we should theorize the theology of community including the local community. Thir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networking including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non-profit organization and churches in the local community. Lastly, we need to developing the strategy such as vision for the village, seeking the resources, building up the workers, seeking the communal work, making close relationships, training the root democracy and distributing the outcome fairy. 전통적 촌락공동체의 붕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교회적으로 수많은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 마을만들기 운동은 사회와 교회에 좋은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만들기를 활성화하는데 있어 지역교회의 역할과 책임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있다. 경기도 부천의 새롬교회가 하나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마을만들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통해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교회가 되기 위해 무엇보다 먼저 요청되는 것은 지역사회와 교회 관계에 대한 목회철학이다. 앞으로의 목회는 교회목회가 아니라 지역목회여야 하며, 목사는 지역교회의 목사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의 목사가 되어야 한다. 둘째, 마을전체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 수 있는 공동체신학이 필요하다. 개교회중심주의를 벗어나 마을과 함께 성장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셋째, 마을만들기에 관심하는 모든 개인이나 단체들과의 연대와 협력을 가능케 하는 에큐메니칼 신학이다. 마을 만들기에 성공하려면 지역교회가 지자체, 시민단체, 타교단 교회들과 협력할 수 있도록 개방적이어야 하며, 효과적인 네트워킹을 실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 실천 전략으로 일곱 가지가 고려되어야 하는바, 여기에는 살기좋은 마을에 대한 꿈을 그리고, 자원을 찾으며, 일꾼을 세우고, 공동의 일감을 찾으며,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험하며, 성과물을 공평하게 나누는 일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살기좋은 마을이 되고, 지역교회는 고립과 소외로부터 벗어나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교회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생아 위천공: 미숙아와 만삭아의 차이 비교

        조용훈,김해영,김수홍,변신연,박희경,한영미 대한신생아학회 2015 Neonatal medicine Vol.22 No.3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gastric perforation in the neonatal period between preterm and term infa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neonates who underwent abdominal surgery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14 at a single institution. Eleven neonates who were managed for gastric perforat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sults: There were 8 preterm and 3 term neonates. In preterm neonates, the mea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were 29.7±3.7 weeks and 1,538.7±774.9 g, respectively. Two preterm neonates had very low birth weight and three had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 most of the preterm neonates, possible contributing factors were identified, such as maternal problems, mechanical ventilator support, and medication. In contrast, in term neonates, gastric perforation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other gastrointestinal anomalies or occurred spontaneously. Two neonates died: one preterm (12.5%) and one term (33.3%) neonate; both had a linear, necrotic perforation. Conclusion: Gastric perforation rarely occurred in the neonatal period. Contributing factors for gastric perforation were identified in preterm neonates, but this occurred spontaneously or with other gastrointestinal anomalies in term neonates. A linear, necrotic perforation wa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regardless of gestational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