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조연경 ( Yeon Kyung Cho ),허걸 ( Kuol Hur ),김선희 ( Sun Hee Kim ),차승희 ( Seung Hee Cha ),조준형 ( Jun Hyung Cho ),김진영 ( Jin Yeong Kim ),양광문 ( Kwang Moon Yang ),전종영 ( Jong Young Jun ),궁미경 ( Mi Kyoung Koong ),강인수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본 연구는 원인불명 불임환자가 보조생식술 시행 후 임신된 경우 자연임신과 산과적 예후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년 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제일병원에 내원하여 최종적으로 진단복강경으로 원인불명불임으로 진단받고 보조생식술 시행 후 임신된 단태임신 79예와 연령과 산과력을 고려한 동일 기간의 172예의 자연임신군간에 산과적, 주산기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Chi-square test 및 t-test를 시행하였고 p<0.05인 경우를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원인불명 불임환자군이 자연임신군에 비해 분만시 제태연령 (38.2±0.5주 vs. 39.4±0.1주, p>0.001)이 유의하게 낮고, 임신성 당뇨병 (7.6% vs. 1.2%, 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간전증, 임신주수대비 저체중아, 양수과소증, 주산기 사망률, 제왕절개술의 빈도, 조기진통, 신생아의 1분, 5분 아프가 점수 등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자연임신인 경우와 비교하여 보조생식술에 의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임신은 분만시 제태연령이 낮았지만 조산은 증가하지 않았으며, 임신성 당뇨병 이외의 주산기 합병증은 증가하지 않았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of women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follow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Methods : From January 1999 to February 2002, a total of seventy-nine singleton pregnancies which progressed beyond 20 weeks gestation following embryo transfer in women finally diagnosed as unexplained infertility by diagnostic laparosco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atched control was spontaneously conceived 172 singleton pregnancies. Retrospectively, we analyzed the obstetric outcome and compare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birth weight, Apgar score, and the incidence of perinatal mortality, preterm labor, preeclampsia,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oligohydramnios between two groups. Results : The mean gestational duration of study group was shorter than control group (38.2±0.5 vs. 39.4±0.1 weeks, p=0.001).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udy group (7.6% vs. 1.2%,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birth weight (3088.1±86.1 g vs. 3243.8±37.2 g), the incidenc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10.1% vs. 11.6%), preeclampsia (3.8% vs. 2.3%), oligohydramnios (3.8% vs. 5.8%), preterm labor (7.6% vs. 5.2%), cesarean delivery (45.6% vs. 41.3%), and perinatal mortality (1.3% vs. 0.6%)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gestational duration of women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after IVF-ET was shorter, but the incidence of preterm birth was not increased. And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of stud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spontaneously conceived pregnancies.

      • KCI등재

        주제극놀이를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조연경 ( Cho Yeon-kyoung ),배지희 ( Bae Ji-h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주제극놀이를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만 5세 유아들의 공감능력과 배려적 사고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인성교육과 주제극놀이에 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의 요구를 분석하여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였고, 인성교육 내용과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을 선정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으며, 전문가 협의와 예비연구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S시에 소재한 E공립유치원(실험집단 25명)과 Y공립유치원(비교집단 25명)의 만 5세반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20일부터 12월 24일까지 16주에 걸쳐 총 38회 활동을 적용하였으며, SPSS(20.0) 통계 프로그램으로 집단별 공감능력과 배려적 사고능력의 사전, 사후 평균점수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극놀이를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배려적 사고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matic dramatic play for young children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hildren`s empathy competency and caring thinking. The goal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se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need assessment. The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incorporated into the program and were confirmed through consult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a kindergarten class of 25 5-year-old children from August 20 to December 24, 2015.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total of 38 activities during the 16-week period. 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hildren`s empathy competency and caring thin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matic dramatic play enhanced children`s empathy competency and caring thinking.

      • KCI등재

        옛이야기 들려주기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듣기 및 이야기 이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연경 ( Yeon Kyoung Cho ),송명숙 ( Myung Suk So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옛이야기를 들려주기 활동이 유아의 듣기 및 이야기 이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4세 유아 50명으로,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15주간 주 3회 이상 옛이야기 들려주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잡단 유아들에게는 유치원 생활주제에 따른 하루일과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옛이야기 들려주기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듣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는데, 하위 항목별로 살펴보면, ``원문 듣기능력``과 ``의미변화 듣기능력``, ``다른 문장 듣기능력``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났지만, ``용어변화 듣기능력``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옛이야기 들려주기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사실적 질문 이해능력``과 ``추론적·비평적 질문 이해능력``중 ``추론적·비평적 질문 이해능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옛이야기의 문학적 요소를 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한다면, 유아의 듣기 및 이야기 이해능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유아의 옛이야기 들려주기 활동에 있어서 효과적인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lling folktales activities on children`s listening skills and story comprehension skills.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50 children who were aged four, divided by an experimental group and heard folktales more then three times a fifteen-week run a control group learned daily work kindergart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lling folktales had overall positive effect on four-year-old children`s listening skills, and as for sub-items of listening skills, telling folktales had positive effect on ``listening to original text``, ``listening to text in meaning change``, and ``listening to distracted text`` for four-year-old children`s listening skills, but had not effect on ``listening to paraphrased text``. Second, as for the effect of telling folktales on four-year-old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skills, telling folktales had positive effect on ``comprehension skills about inferential and critical question`` for four-year-old children, but had not effect on ``comprehension skills about factual question``. According to those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elling folktales had an effect on four-year-old children`s listening skills and story comprehension skills.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ed that active utilization of folktales literature studies in childhood education field could have an influence on developing of children`s listening skills and story comprehension skills. It was also found that effective teacher education was keenly necessary to telling folktales for children.

      • KCI등재

        유아인성교육의 교육적 접근 경험에 대한 교사의 담론

        조연경(Cho, Yeon-Kyoung),조미영(Cho, Mi-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인성교육의 의미와 실행경 험과 어려움 그리고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아인성교육에 대하여 효율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영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인성은 ‘사람 됨됨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유아인성교육의 의미는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관계 중심의 인성교육이라고 하였다. 둘째,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실행에 있어서 주로 하루일과 속에서 자연스럽게 기본생활습관지도와 함께 동화를 통한 극놀이, 이야기나누기 등 관계 중심의 대화를 통한 인성교육 방법을 실행하고 있었 다. 이와 같은 인성교육의 방법은 유아들로 하여금 인성덕목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며 실천적 교육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효율적인 교수방법이라고 하였다. 또한 부모-자녀 체험활동, 교사의 모델링을 통한 인성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면서 유아인성교육에 있어서 성인의 역할이 중요하며, 부모와 교사가 함께 할 때 긍정적인 교육의 효과가 일어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자 녀체험활동의 연간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방향을 모색해야 함을 알 수 있었 다. 셋째, 유아인성교육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으로는 가정과 연계되지 않는 인성교육 실행의 어려움, 장기 적이고 반복적인 인성교육 실행에서 오는 소진의 어려움, 관계 중심의 인성교육 내용을 실행하는데 어려 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하였다. 넷째, 유아인성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로는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개선의 요구와 꾸준히 실천하는 유아인성교육의 요구, 연령별 특성과 개인차를 고려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anings, practical experience, difficultie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for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ffectiv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 carried out separately with 20 teachers who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eaning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ome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not easy for children to understand and access educationally because character education had a comprehensive meaning or frequently associated with creativity, so ambiguous or abstract in education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most teachers said that character education was important in terms of making basic life habits and personality formation, and educated about the significance of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such as consideration, empathy, cooperation and respect. Second, as for the practical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most teachers instructed to mainly form the basic lifestyle habits naturally in the course of the day, and focused on the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standard childcare and Nuri Curriculum. As for the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he educational approach using story telling and story sharing w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helped children to understand the virtues of humanity and provided opportunity for practical education experience. In addition,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eacher modeling and parent-child experiential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 on both parents and children. However, it was more effective when approaching periodically than one-time education. Third, as for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ifficulty of burnout from running long-term and repeti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communicating the contents of the relational character education had difficulties of performing character education. Fourth, as for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ost teachers hoped that much support would be ongoing with the expans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for an effective educational approach to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family, and medium suitable for the child s age, and to find teacher s self character.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부모면담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배지희 ( Ji Hi Bae ),이윤영 ( Yoon Young Lee ),조연경 ( Yeon Kyoung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이 어떤 문제행동을 보일 때 부모와의 면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면담 시 나타나는 부모들의 반응 양상은 어떠한지, 그리고 문제행동 관련 부모면담을 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가정에서 유아교육기관으로 전이하는 과정에서 부적응 행동을 나타낼 때,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유아들을 지도하기 위해서 부모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 유아의 의사소통 관련 문제가 가정환경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경우에, 그리고 유아들이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충동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보일 때 부모와의 면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면담에서 나타나는 부모의 반응은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해서 인정하고 협력하는 반응, 자녀의 문제행동을 지나치게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반응, 문제행동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거나 거부하는 반응, 그리고 무관심한 반응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면담 과정에서 부모와의 신경전을 경험하는 경우, 문제행동에 대해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면담 기술과 지식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 그리고 어머니 뿐 아니라 아버지와 조부모 등 다양한 면담 대상자와 면담을 진행할 때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eed for parent-teacher conferences regar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response types of the parent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such conference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 that teachers think parent-teacher conferences are necessary when children demonstrate adjustment problems,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communication problems, or aggressive behaviors toward peers. Teachers find that some parents accept their child`s problem and collaborate with teachers to find appropriate ways to guide the child`s behavior but others do not acknowledge a problem or ignore it. Teachers agreed that parent collaboration is important in gui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o they are discouraged when parents view collaboration as a sort of psychological warfare demeaning to themselves and/or their child. Teachers also feel that they lack knowledge and skills in leading conferences on such sensitive issues. Differing parenting styles occasionally presented difficulties for the teachers and they suggested that they would benefit from knowledge of a variety of individual parenting characteristics so that they could plan or respond to conferences accordingly.

      • KCI등재

        임상 ; 산전에 진단한 태아 난소 낭종의 임상적 경과

        강진희 ( Jin Hee Kang ),박희진 ( Hee Jin Park ),김지연 ( Ji Youn Kim ),조연경 ( Yeon Kyung Cho ),박상원 ( Sang Won Park ),한원보 ( Won Bo Hahn ),권태희 ( Tae Hee Kwon ),이경진 ( Kyoung Jin Lee ),신중식 ( Joong Sik Shin ),김화영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목적: 산전에 진단된 태아 난소 낭종의 초음파 소견과 임상적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10월부터 2007년 9월까지 9년 동안 본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초음파상 난소 낭종을 진단받고,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한 11명의 산모와 이들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 산모의 산전기록과 분만기록, 신생아 기록, 소아과 진료 기록, 수술 기록 및 해부병리 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산모의 평균연령은 30.3세(28~34세), 평균 제태연령 34주 1일(31주 6일~36주 6일)에 태아의 난소 낭종을 진단하였고, 평균 제태연령 39주 4일(37주 5일~41주)에 모두 만삭 분만하였다. 11예 중 7예가 자연분만을 하였고 4예는 산과적 적응증으로 제왕절개 분만을 하였다. 11예의 태아 난소 낭종은 모두 일측성 단순 낭종으로, 크기는 평균 29.7 mm (17~52 mm)였으며, 추적 초음파상에 6예는 낭종의 양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4예에서는 단순 낭종에서 복합 낭종으로 변해 출혈이나 염전의 합병증을 의심되었다. 11예 중 1예는 분만 후 난소 낭종 염전으로 수술하였고, 1예는 산전에, 9예는 출생 후 자연 소멸되었다. 결론: 산전에 진단된 태아의 난소 낭종은 지속적인 산전과 산후의 추적 초음파를 통하여 변화하는 양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 and clinical course of fetal ovarian cyst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11 cases of fetal ovarian cysts, evaluated by prenatal and postnatal ultrasonographic studies was conducted. We analyzed the demographic factors,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the change of ultrasonographic parameters, the mode of delivery, the management of ovarian cysts and pathologic finding. Results: In all cases, fetal ovarian cysts were unilateral simple cysts at the time of diagnosis. The mean sizes of the ovarian cysts were 29.7 mm on prenatal and 19.8 mm on postnatal studies. In four of the 11 cases, the ultrasonographic patterns of cysts changed from simple to complicated cysts on serial monitorng, and one of them required postnatal surgery. Ten of 11 cases were spontaneously resolved during perinatal follow-up ultrasound. Conclusion: We recommend continuous ultrasonographic assessment of antenatally diagnosed ovarian cysts, which is helpful to predict the outcome of cysts and decide on the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