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경찰의 이념과 조직에 관한 고찰

        조성택 한국자치경찰학회 2010 자치경찰연구 Vol.3 No.2

        사회주의 경찰은 러시아에서 그 기원을 발견할 수 있다. 러시아의 사회주의 경찰제도는 제2차 대전 이후 다른 사회주의국가들의 경찰의 전형이 되었고, 중국 또한 이 제도를 원형으로 중국의 정치 환경에 맞는 경찰제도로 전환시켜 나갔다. 중국경찰제도는 계급성과 당파성을 중시하는 경찰제도를 형성하였다. 중국경찰은 중국공산당의 절대적 지도를 받아 운용된다. 공안기관과 그 구성원은 정치적 ? 조직상 당의 지도에 절대 복종해야한다. 중국 정부의 공안기관은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이 상호 결합된 체제라고 할 수 있다. 중국 경찰이 이와 같이 중앙집권과 아울러 분권을 실시하고 있는 것은 중국이 지역이 광활하고 인구가 많으며 각 지역의 발전이 불균형적인 다민족 국가라는 특수성에 기인한다. 중국은 지방특색이 매우 강해 각 지방의 공안활동 역시 지방의 특수성을 띠게 된다. 중국의 경찰은 국무원 공안부를 정점으로 하여 지방경찰기관으로 인민경찰이 있으며 무장 경찰기관으로 인민무장경찰과 일반 국민의 민간조직인 주민 자치 방위조직이 치안유지를 맡고 있다. 중국의 형사수사권은 대부분 공안기관에 있지만 영장 청구권과 공무원범죄 수사권은 검찰원에 있고 재판권은 법원에 있다. 이처럼 사법기관들이 서로 업무를 분담하여 상호 견제하며 법을 집행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근대불교 연구의 과제와 전망

        조성택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4 No.-

        본고에서는 근대불교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작업적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근대불교’는 개인, 자유, 인권, 민족 등 불교 외적인 근대적 요소로부터 도출되는 연역적 개념이 아니며, 따라서 특정한 형태(교단, 교리 등)의 불교를 지칭하는 개념이 아니다. 둘째, ‘근대불교’는 근대공간이라고 하는 새로운 종교 환경에 대한 다양한 반응과 적응의 방식을 통해 귀납적으로 정의되는 구성적 개념이다. 셋째, 근대불교는 한국사의 일부이자 불교사의 일부이다. 근대불교는 전통적 불교권인 동아시아 내에서만이 아니라, 새로운 불교권인 북미와 유럽을 포함하는 범불교 담론의 네트워크를 고려해야 한다. 이른바 ‘세계불교’(World Buddhism)라고 하는 불교를 바라보는 새로운 인식의 등장이 근대불교의 한 특징이 되고 있다. 한편 근대불교는 불교 내부의 추동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유럽의 불교 ‘발견’이라고 하는 외부적 ‘충격’에 의한 불교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근대불교에 대한 논의는 유럽이 재구성한 ‘부디즘’에 대한 아시아 지역불교의 대응과 반응을 살펴보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suggesting some working hypotheses which could be the first step to define the concept of modern Buddhism. Firstly 'modern Buddhism' is not a deductive concept defined by other factors besides Buddhism such as individual, freedom, human right and ethnic group. This means that the concept does not refer to a particular type (order, religious dogma) of Buddhism. Secondly, 'modern Buddhism' is a constructive concept, inductively defined by various reactions and adaptations happened in a new religious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In history of Buddhism, the term 'Mahayana Buddhism' is a good example of inductive definition. Thirdly, 'modern Buddhism' is a part of the history of both Korea and Buddhism. In other words, it has to involve a whole network of discussions not only from East Asia, traditional Buddhist countries, but also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new Buddhist countri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odern Buddhism' was not an internal event caused by impetus within Buddhism such as Mahayana Buddhism or Zen Buddhism. Therefore, the themes of the discussion on modern Buddhism would be characteristic of Buddhism discovered (or created) by Europeans as well as Asian's responses and reactions to i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논문: 근대한국불교사 기술의 문제: 민족주의적 역사 기술에 관한 비판

        조성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지금까지 한국학계의 일반적인 근대한국불교사 기술은 ‘민족주의적 역사기술’에 근거하고 있으며, 항일적 민족의식과 전통수호를 통한 한국불교 정체성 확립은 근대한국불교사 기술의 주요 모티프가 되고 있다. 이러한 모티프로 구성되는 근대한국불교에 대한 내러티브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에 맞서기 위하여 항일 민족주의 불교가 등장하였으며, 해방 후 식민지불교의 잔재인 ‘대처승’을 교단에서 몰아내기 위한 정화운동을 통해 민족불교의 정통성을 잇는 대한불교조계종이 1962년 재탄생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한국학계의 주류적인 내러티브는 최근 외국의 한국불교 연구자들에 의해 심각한 문제제기와 함께 도전을 받고 있다. ‘항일적 민족의식’과 ‘전통수호를 통한 한국불교 정체성 확립’이라는 근대불교 역사기술의 모티프는 무의식적으로 해방 이후 조계종이 등장하는 과정을 정치적으로 정당화함으로써 조계종의 정통성을 옹호하는 데 봉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계종단의 성립을 근대한국불교의 완성으로 기술함으로써 식민시기 동안 한국불교의 다양한 근대화의 노력들에 대한 정당한 역사적 평가를 도외시 하고 있는 것이다. 조계종은 ‘근대불교’적 관점에서 보자면 ‘전통복고’를 지향함으로써 스스로의 정당성을 확보한 경우로서 근대불교와는 거리가 있다. 조계종의 민족주의적 자기 정체성은 20세기 초이래 한국불교의 중요한 과제였던 근대적 개혁을 희생시킨 결과물로서, 어찌 보면 해방 이후 한국불교의 혼란기에 사용하였던 전술적 레토릭을 자기정체성으로 전유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제 근대한국불교사에 대한 ‘민족주의적 역사기술’을 대신할 새로운 내러티브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박노자, 마이카 아워백, 그리고 조지 에본 등의 비판과 지적, 그리고 나 자신이 근현대한국불교에 대해 발표하였던 그간의 논문들을 반영하면서 항일-친일의 이분법적 접근의 한계와 ‘현재중심주의’적 역사 기술의 오류를 벗어나, 새로운 내러티브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한 시도로서 ‘딜레마’라는 관점을 통해 근대한국불교를 조망해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항일-친일로 환원되지 않는, 근대한국불교의 다양한 측면들을 보다 섬세하게 포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The historiography of Korean Buddh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colonial period has been primarily a "nationalist narrative" where 'anti-Japanese sentiment' and 'Korean Buddhist identity through the protection of tradition' played a key role in writing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Buddhism. The outline of the narrative is as follows: in response to the threat of Japanese Buddhism in the Korean peninsula, a national Buddhism of anti- Japanese sentiment emerged and continued under colonial circumstances;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under the campaign of purifying the Buddhist Order seen to be contaminated by the colonial legacy, Korean Buddhists expelled 'married monks' and in 1962, the Jogye Order, succeeding the long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was reestablished. It is time we need a new narrative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Buddhism instead of a 'nationalist narrative.' Attempting to go beyond the binary view of 'anti-/pro-Japanese' and the 'fallacy of presentism' legitimizing the current Buddhist order of Korea,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f viewing modern Korean Buddhism and the diverse experiences of Korean Buddhists as 'dilemmas.' By doing so, various aspects are brought to light which cannot be simply reduced to an 'anti-/pro- Japanese' perspective, and reexamine critically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of the Jogye Order in modern Korea. The early modern Korean Buddhism was, in sum, 'Buddhism in dilemma.' The whole picture of the various aspects of Korean Buddhism spawned through dilemma situations i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Buddhism. The origin of the dilemmas, which Korean Buddhism had to endure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and, subsequently, during the colonial period concerns two facts: one is the fact that the religion of Japan, the colonizer, was Buddhism, and the other is that the Buddhism of Japan was more 'advanced' compared to Korean Buddhism which had, through 500 years of suppression, became powerless. By viewing modern Korean Buddhism in the perspective of 'dilemma,' we see that the relationship of Korean Buddhism to Japan as neither 'anti-Japanese' or 'pro-Japanese' Buddhism; rather we see Korean Buddhism to be facing two kinds of dilemma: (1) is that which was generated from the way in which Korean Buddhism related itself with Japanese Buddhism and (2) was from the ambivalence of the self-proclaimed enlightenment nationalist intellectuals on Korean Buddhism. This paper provides discussion of these two aspects of dilemma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