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수술 환자의 심부정맥혈전증 예방과 피부반응에 미치는 실험연구

        조무용(Moo-Yong Cho),김분한(Boon-Han Kim),김기숙(Ki-Soo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뇌수술 후 부동 환자에게 부츠형 또는 무릎형 간헐적 공기 압박기 적용 후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과 피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15년 5월 부터 11월 까지 뇌수술 후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실한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부정맥 혈전증 평가는 7일 동안 대퇴정맥 혈류속도의 변화를 매일 측정하였고 피부 반응 정도도 매일 규칙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부츠형 간헐적 공기 압박기 적용군이 무릎형 간헐적 공기압박기 적용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퇴정맥 혈류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즉, 7일 동안 측정한 평균 대퇴정맥 혈류속도는 시간경과 에 따른 측정시기 오른쪽(F=64.41, p <.001), 왼쪽(F=58.21, p <.001)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두 군 간의 발등 둘레는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오른쪽(F=9.13, p <.001), 왼쪽(F=9.29,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또한 부츠형 간혈적 공기 압박기 적용군은 피부 합병증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뇌수술 후 부동환자 에게 부츠형 간헐적 공기 압박기 적용이 심부정맥 혈전증을 예방하는데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vention of deep vein thrombosis and skin response after the application of boots or calf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IPC) devices in immobile patients with intracranial surge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60 patient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fter receiving intracranial surgery from May to November in 2015. The blood flow velocity was measured daily to assess the deep vein thrombosis for 7 days, and the skin response of the legs was observed regularly. As a result, the boots IPC group showed an increased blood flow velocity over time compared to the calf IPC group.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both the boots IPC group and calf IPC group over time (Right side; F=64.41, p<.001, Left side; F=58.21, p<.001). The dorsum circumference over time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wo groups (Right side; F=9.13, p <.001, left side; F=9.29, p<.001)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 boots IPC group showed no skin co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boots type IPC i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preventing deep vein thrombosis for immobile patients with intracranial surgery.

      • KCI등재

        지역사회 여성 독거노인을 위한 ‘스스로 관절관리’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조무용(Cho, Moo Yong),김대숙(Kim, Dae Sook)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24 근관절건강학회지 Vol.31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arthritis self-management program on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36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ce a week for six weeks at two community centers. The program consisted of muscle strengthening and flexibility exercises, health education on muscles and joints, and joint dance for aerobic exercis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paired t-test and Wilcoxon rank test. Results: After six week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ain (t=3.03, p=.005), difficulti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2.77, p=.01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2.63, p=.014), flexibility of right shoulder (z=-2.42, p=.015), and balance (right leg, t=-2.63, p=.036; left leg, z=-2.36, p=.018).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thritis self-management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outcomes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us, this program could be incorporated into various program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학 온라인실습 경험

        유선영(You, Sun-Young),조무용(Cho, Moo-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학 임상대체 온라인실습 경험의 의미와 그 구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방법 참여자는 온라인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 3학년 학생 101명이며, 참여자들이 제출한 실습성찰일지 501부와 구조화된 질문에 대한 서술적 자료 51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Hsieh와 Shannon(2005)의 질적 연구 분석 방법 중 전통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결과 성인간호학 임상대체 온라인 실습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5개의 범주로 구조화 되었다: “아쉬움 속에 시작한 온라인실습”, “간호지식의 통합과 확장으로 느끼는 기쁨”, “간호술기 능력이 향상됨”, “미래 간호사로서의 마음가짐이 변화됨”, “온라인실습으로 성장한 나”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의 임상대체 온라인실습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온라인 임상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양적 연구 및 다양한 분석 방법을 적용한 연구를 제안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online adult nursing practicum in the COVID-19 situ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101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51 descriptive documents on structured questions. Data were analyzed by Hsieh and Shannon’s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structured into 5 categories: “online practicum that began with regret”, “joy from the integration and expansion of nursing knowledge”, “improved nursing skills”, “changed mindset as a future nurse”, and “grown up myself with online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the online adult nursing practicum experienc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untact clinical practice programs, and suggest quantitative study and a study of various analysis methods.

      • KCI등재

        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한국 임상간호사의 정서경험

        김덕진 ( Kim Duck Jin ),조무용 ( Cho Moo Yong ) 한국정신간호학회 2021 정신간호학회지 Vol.3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motions experienced by Korean clinical nurse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to understand their essential meaning in depth.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12 nurses in clinical practice from June 2020 to December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shock of the unprecedented new infectious disease’, ‘hardships caused by the never-ending struggle’, and ‘hope in the midst of hardship’.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to prepare an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and emotional support strategies for nurses in the traumatic event of a pandemic.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covery from trauma and emotional management program to reduce th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strengthen th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 KCI등재후보

        노인환자의 무력감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관계 연구

        조무용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1995 Health & Nursing Vol.7 No.-

        본 연구는 노인환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가용자원중 사회적 지지룰 지지원과 지지 유형으로 나누어 이들과 무력감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노인간호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노인환자 66명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였으며, 질문지를 이용한 면접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노인의 무력감을 측정하는 18문항,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25개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14문항을 포함하여 충 57개 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 목적에 의거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했고, 상관관계, 중다희귀분석, t-검증과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판자의 무력감의 정도는 전체 평균은 1.770표준편차는 .443인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중 언어적 반응(M=1.919)이 가장 높고 일상활동참여(M=1.693)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정도에서는 전체 평균은 4.131 표준편차는 .526으로 나타났으며, 지지원중에서는 의료진 (M=4.472)의 지지가 가장높았고 친구 및 친지(M=3.665)의 지지가 가장 낮았다. 지지 유형에서는 정서적 지지(M=4.292)가 가장 높았고 물질적 지지 (M=3.918)가 가장 낮았다. 2. 본 연구의 가설인 "노인환자들의 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무력감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 -.4802) . 3. 무력감과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해보기 위하여 중다희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력감에 대해서 지지원중 친구 및 친지의 지지만이 유의미한 설명력(R^2= .1717)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지유형에서는 정보적 지지만이 유의미한 설명력(R^2=.1832)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력감의 집단간 비교에서는 단체가입 유무(t=-2.02, p<.05)와 동거유형 (F=7.08, p<.01)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에서는 동거유형(F=4.99, P<.05)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을 결과를 통해볼 때 노인환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그들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환자들은 무력감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지원의 영향에서는 언어적 반응에대해서만 가족의 지지와 관련이 있었고, 전체적인 무력감에 대해서는 친구 및 친지의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적 지지가 적을수록 무력감을 더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적 지지의 중요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discriptive correnational study was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lessness and social support in the hospitalized eldery patients to develop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6 patients who admitted in two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al 8 to 28, 1995.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Powerlessness behavioral assessment tool in the eldery developed by Miller(1992) and indirectly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Park, Jee Won(1985).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PC+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powerlessness was total 1.770. Verbal response subscale showed the highest score (M=1.919) and daily activities subscale showed the lowest score(M=1.693). The means of social support score was total 4.131, medical staffs' support among support sources was highest score(M=4.472) and friends or relatives' support was lowest score(M=3.665). In Support type, emotional support was highest score(M=4.292) and tangible support was the lowest score (M=3.918). 2. The hypothesis, that with the elderly patients,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score, the lower the powerlessness score, was supported (r= -. 4802). 3. It was identified that only friends and relatives among support sources explained 17% in powerlessness and informational support among support types explained 18%. 4. In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activity(t=-2,02, p<.05) and type of living together(F=4.99, p<.05)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support. In conclusion, it was identified tha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derly patients could influence their powerlessness, and it was tend that elderly patients expressed powerlessness verbaly. In support sources, only verbal response related to family support. Also, it could be identified that informational support was important, that is, the lesser the informational support, eldery patients feel the more powerlessness. Futher studies are needed on which medical staffs among social support sources influence elders' powerles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