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능형 CCTV기반 기상정보 통합연계 및 자동표출시스템 개발

        조명흠,박소영,박영진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지적 집중호우로 인해 상습적인 침수 및 인명, 재산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위험지역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집중호우로 인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침수피해를 효율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기상정보와 현장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CCTV 통합연계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및 노원구를 시범 서비스 대상지역으로 선정된 CCTV 위치제원을 수집하여 GIS DB로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정보 및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연계하고, 시범 지역의 현장 CCTV 영상정보를 GIS기반의 공간정보 서비스 개념을 도입하여 GIS/기상정보 기반의 통합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은 웹서비스 제공을 위해 GIS 공간지리정보 개념 및 2D기반의 지도서비스를 적용하여 보다 가시적이고 효율적인 CCTV 자동 표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기상 관측소 위치정보 데이터 실시간 강수량 정보데이터를 활용한 IDW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주기적으로 서버에서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s)정보를 생성한 후 공간정보상에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로 지도 위에 해당정보를 표시하여 가시적으로 표출하였다. 생성된 데이터와 위험강수량 값으로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지역 CCTV 영상정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서비스 기능을 개발하였다. 향후, 본 시스템을 통해 집중호우 및 태풍경로지역의 피해우심지역에 대해 자동으로 CCTV를 표출해주므로 지자체 방재관련 담당 공무원의 신속한 의사결정지원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지능형 CCTV기반 생활안전 위해요소 추적관리시스템 개발

        조명흠,박소영,박영진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지자체별 운영 및 관리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범죄예방, 생활안전, 방재 및 시설물 감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어린이 및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됨에 따라 활용도 및 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 및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전행정부는 `15년까지 정부의 CCTV 종합대책을 기반으로 전국 230개 시군구에 통합관제센터를 설치해 생활안전(방범, 어린이 안전 등)에 필요한 4만 3,000여대의 CCTV를 통합연계하여 전문 관제요원을 배치하고 365일 24시간 감시체계를 구성한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CCTV 설치와 운영되는 규모는 확대되고 있지만 나날이 지능화되는 생활안전 관련 위해요소(성범죄자, 범죄자 등)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과 관리를 위해서 CCTV 설치 및 운영관리적인 측면에서 위해요소의 위치정보와 상황발생정보를 3차원 지도정보와 연계하여 입체적인 CCTV기반 추적관리 및 운영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3차원 공간데이터구축 대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브이월드)과 연계하여 지능형 CCTV기반 생활안전 위해요소 추적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시범지역을 서울시 서초구 일대를 선정하여, 기존 CCTV에 대한 기본 정보를 관리하고 CCTV영상을 이용한 생활안전 및 방범을 위한 관제를 구현하며, 특히 생활안전 추적관리 대상자(GPS 착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관리대상 구역 내 진입 시 위치정보와 CCTV영상정보를 3차원 기반 지도와 연계하여 관제함으로써 효과적인 상황관제 및 추적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CCTV 제원을 이용하여 CCTV의 방향, 가시거리 및 중복성 평가를 수행하여 효과적인 CCTV 운영관리가 가능하고 관제상황에서 좀 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연구하였다. 향후, 법률 개정을 통해 생활안전 위해요소(성범죄자, 범죄자 등)의 정보 공개여부에 따라 정확한 위치정보와 신상정보 공개여부에 따라 시스템 활용이 확대 및 적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공간정보기반 경주 지진 피해지역 현황분석

        조명흠,김미송,박진이,임정탁,박영진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본 논문에서는 지난 9월 12일에 한반도 관측 이래 최대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경주 피해현황 대장(엑셀)을 지자체로부터 제공받아 피해현황에 대해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정보를 기반으로 지진피해 주소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오코딩을 수행하였으며 약 5,906건(95.6%)에 대한 속성정보를 공간정보화 하였다. 지질도 및 단층정보로 구축한 공간DB를 중첩 분석하여, 시각화된 지진피해 현황 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진 피해지역의 특징 및 현황 분석이 일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향후 지진피해 데이터 및 공간분석을 기반으로 지진 발생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해 예측하는 모델링 및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피해정보 구현

        조명흠,서정택,이철용,박영진,Cho. Myeong-Heum,Seo. Jung-Taek,Lee. Chol-Young,Park. Young-Jin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5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대규모의 자연재해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 중 특히, 여름철 태풍이나 국지성 집중호우 등에 의한 풍수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의 효과적인 예방 대비 대응 복구를 위해 GIS, IT, 원격탐사 등 공간정보와 첨단기술을 활용한 재해정보체계 구축과 활용에 대한 니즈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재난관리시스템이 갖는 2차원적 GIS의 한계점과 복합적인 재난대응에 대한 다양한 요구의 충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공간영상과 현장조사를 통한 피해정보를 DB화하여 기존의 2차원 재해정보의 한계를 뛰어넘는 3차원 재해정보표출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지역으로는 2008년 7월 말 집중호우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 일대를 선정하였으며, 관련 피해현황을 파악하여 `2008년도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계획수립 지침`의 피해공종별로 구분 정리 하였다. 또한, 1/25,000 수치지형도 중 등고선과 표고점을 추출하여 수치표고모델을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수치표고모델의 속성 값 중 높이값을 이용하여 피해지역의 3차원 재해시뮬레이션을 제작하였다. 이는 2차원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시각적 표출이 가능하게 하며 실제로, 재해에 대한 사실적 묘사를 통하여 시민으로 하여금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정책 결정자들로 하여금 관련 업무에 있어 의사결정에 도움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large-scale natural disasters have frequently hit our life from extreme climate change. Especially summer typhoons and regional downpours have caused more flooding damage than ever before. To effectively prevent the natural disaster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n emergent information system making use of spati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the state-of-the art technologies such as GIS, IT and Remote Sens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existing two-dimensional GIS and to respond to various, complex demands from users. Accordingly, this study was aimed at making Database about damage information with the use of high-definition spatial images and field investigations, and thereby at express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n the damage beyond the existing two-dimensional information.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on the region at Seobyeok-ri, Bonghwa-gun, Gyeongsangbuk-do, which suffered a massive damage caused by downpour at the end of July, 2008.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status of relevant damage, and divided the damage according to the `2008 Guidelines on the investigation of natural disasters and the establishment of restoration planning.` In addition, it extracted contour lines and elevation points from a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to create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nd with the use of the height values in the DEM, it produced a three-dimensional disaster simulation of the damaged region. Therefore, it is determined to allow the public to raise awareness on the disaster due to its realistic description and to help policy makers make a decision on relevant issues.

      •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CCTV 설치위치 평가 지표 개발

        조명흠,김계현,박영진,원진영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범죄발생의 공간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방범 CCTV에 대한 체계적인 설치계획과 위치, 타당성 검증에 위한 과학적 분석은 전무한 상태에서 주민들의 민원이 빈발하는 지역 등에 CCTV를 중점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범죄예방을 위해 GIS 공간분석 기반의 표준화된 인위적 감시도구 (CCTV) 설치위치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선행연구 및 법・가이드라인 조사를 통해 설문지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 및 전문가 회의를 거쳐 CCTV 설치위치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 가상 태풍 시나리오에 따른 GIS기반 해수범람 예상피해 분석

        조명흠,문승록,원진영,김병식,양승만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1 No.-

        최근 동일본 대지진 쓰나미 발생 이후로 국내에서도 해안재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매년 태풍이 발생하고 때때로 엄청난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과거 태풍에 의한 피해 경험이 있는 충남 보령시를 대상으로 가상 태풍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최대범람범위를 산정하였다. 범람에 대한 평가는 과거 발생 태풍 중 해일고가 가장 크게 발생했던 1995년 태풍 제니스(9507)와 2003년 태풍 매미(0314)와 동일한 강도의 가상 태풍이 보령을 내습할 경우에 대하여 각각 수행하였다. 이때 적용한 조위면은 약최고고조위로 하여 보수적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해일 및 범람발생으로 해안전면에 설치된 구조물(방조제, 방파제, 호안 등)의 기능이 상실되어 월류 및 범람이 발생되는 상황으로 가정하여 최대범람 범위를 평가 및 분석하였다. 태풍 제니스가 약최고고조위에서 발생했다면 E.L. 470 cm, 태풍 매미의 강도가 내습한 태풍일 경우는 E.L. 530 cm에 해당 할 것으로 예상된다. 폭풍해일 및 가상 태풍시나리오에 의한 범람 면적을 표출하고 이에 대한 피해를 산출하기 위하여 범람범위와 공간보간된 토지가격, 주거인구 등의 DB를 중첩하여 수치적 피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결과를 시각적으로 지도화 하였다.

      • KCI등재

        폭풍해일 시나리오에 따른 GIS기반 범람피해 추정

        조명흠(Cho, Myeong Heum),원진영(Won, Jin Young),박영진(Park, Young Ji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7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9 No.2

        우리나라는 매년 2~3회 태풍이 발생하고 때때로 엄청난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과거보다 많은 3회의 태풍이 서해안에 피해를 유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하며 과거 태풍에 의한 피해 경험이 있는 보령시를 대상으로 태풍에 따른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최대범람범위를 산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해수범람에 따른 피해를 추정하였다. 과거 최고해수위를 유발한 태풍 위니(9713)와 태풍 중 가장 큰 해일고를 유발했던 태풍 제니스(9507)를 적용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 내습한 태풍 중에서 강력한 세력으로 큰 피해를 유발한 태풍 매미(0314)의 진로를 평행 이동하여 태풍이 보령을 내습할 경우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해당 시나리오 적용시 해수범람에 대하여 보수적 피해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해안전면의 구조물 기능이 상실되어 월류 및 범람이 발생되는 상황으로 가정하였다. 해수범람 피해 추정은 GIS기반으로 최대 범람범위와 공간상으로 보간된 토지가격, 주거인구 등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중첩하여, 지도화된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South Korea is affected by typhoons two or three times a year. Occasionally, severe personal and property damage has been caused by typhoons. In 2012, three typhoons, which were frequent than usual, caused damage to the west coast of Korea. This study developed a typhoon scenario to calculate the maximum flooding scope for Boryeong City, which is located i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had been damaged by typhoons before, and estimated the damage caused by seawater flooding. This study applied Typhoon Winne (9713), which caused the highest sea level in the past, and Tropical Storm Janis (9507), which caused the highest tsunami of all the typhoons. In addition, this study assumed the case where a typhoon hits Boryeong City by parallelly moving the path of Typhoon Maemi (0314), which caused heavy damage with a strong force among typhoons which struck South Korea. This study assumed that overflow and flooding were caused because the structural functions in the coastal front were lost so that it was possible to perform conservative damage assessment on seawater flooding when applying the scenario. The GIS-based estimation of seawater flooding damage derived mapped results by overlapping spatial database such as the maximum flooding scope, spatially interpolated land prices and resident population.

      • 방재단계별 GIS DB 활용 방안

        조명흠(Myeong-Heum Cho),최우정(Woo-Jung Choi),심재현(Jae-Hyun Shim),조재웅(Jae-Woong Cho)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4

        최근 기상이변과 예상치 못한 지각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그 규모 또한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피해현황 조사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한 GIS, IT, 원격탐사 등 공간영상정보와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재해정보체계 구축에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및 정보를 활용한 국토방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GIS DB의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예방ㆍ대비, 대응, 복구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GIS DB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는 방재단계별로 필요한 GIS 자료로 분류하였다. GIS DB의 특성상 각 단계별로 유연적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항공ㆍ위성영상을 활용한 피해조사 비교 분석

        조명흠(Myeong-Heum Cho),최우정(Woo-Jung Choi),심재현(Jae-Hyun Shim),조재웅(Jae-Woong Cho)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4

        최근 기상이변과 예상치 못한 지각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그 규모 또한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피해현황 조사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한 GIS, IT, 원격탐사 등 공간영상정보와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재해정보체계 구축에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년 7월에 집중호우로 많은 피해를 입은 경상북도 봉화군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항공ㆍ위성영상의 확보는 지구관측센터에서 협조 받은 피해 전ㆍ후의 1m급 및 국립산림과학원에서 협조 받은 피해 전 80㎝급 흑백항공사진과 피해 후 유인항공기로 촬영한 35㎝급 칼라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산림과 농경지의 시설별로 피해조사를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