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소진 소설에 나타난 도시 주변 공간의 로컬리티 -『장석조네 사람들』을 중심으로

        조명기 ( Myung Ki C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3

        『장석조네 사람들』은 바깥세상과의 대조를 통해 산동네 공간의 동질성을 확립·강화한다. 바깥세상은 복면의 공간·이원적 대립구조의 공간·거대담론의 공간으로 묘사된다. 복면은 역할의 수행 혹은 폐기의 상징인데, 여기서의 역할이란 이원적 대립구조의 내면화·주체화를 뜻한다. 극단적인 이원적 대립구조에 맞서 살아남기 위해 침묵·진술의 지연이라는 방법으로 미결성 공간을 창출해내려 한다. `지금 여기`의 산동네는 신자유주의·자본제적 세계화의 대타개념으로서의 로컬이 담지하고 있는 이상적이고 낭만적인 공간이 아니다. 공간적 인접성으로 인해 산동네는 서로에게 개방적인 공간, 소문의 공간이 된다. 소문이 산동네 안에서만 일회적으로 유포된다는 점 그리고 바깥세상의 거대담론은 소문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하위의 언어인 소문은 산동네를 일종의 공동체 공간으로 재편한다. 동시에, 소문에는 로컬 구성원의 오랜 무의식적 욕망과 이데올로기적 관습이 투사되어 있다. 『장석조네 사람들』은 `지긋지긋한 산동네`라는 로컬이 주인공인 소설이다. 이는 김소진의 소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 즉 아버지가 아니라 아버지를 테제와 안티테제 중 하나로 규정하기를 종용하고 구조화한 1980년대의 이원론적 대립구조 자체에 대한 성찰과 대안 모색을 공간의 차원에서 시도하고 있다는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Chang sok-cho ne people establishes and reinforces the identity of the mountain village area contrasting the outside world. The outside world is described as a mask space, a space of a dual opposition structure, and a space for grand narrative. A mask represents the performance of a role or its termination, where the role means internalization and subjectification of the dual opposition structure. To survive an extreme dual opposition structure, this novel tries to create an openness space using the method of delay in silence and statement. The mountain village in "now here" is not an ideal, romantic space which the local as a substitution concept for new liberalism and capitalized globalization contains. The mountain village, due to its space adjacency, becomes a space open to one another and a space for a rumor. Now that the rumor spreads within the mountain village one time and the grand narrative of the outside world is not included in what the rumor says, the rumor - a sub-language - serves to reorganize the mountain village into a kind of community space. Simultaneously, the rumor represents the unconscious long desire and ideologic custom of the local members. Chang sok-cho ne people is a novel featuring a local called a "tedious mountain village". This opens an opportunity for a new interpretation of Kim So-jin`s novel, that is, an attempt is being made in terms of a space to seek self-examination of and an alternative to the dual opposition structure itself in the 1980s in which father is urged to be specified and structuralized as one of the two - These and Antithese - instead of as father.

      •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의 임상시험 현황

        조명수 ( Myung Soo Cho ),유대훈 ( Dae Hoon Yoo ),송슬애 ( Seul Ae Song ),성정준 ( Jung Joon Sung ) 서울대학교 인구의학연구소 2014 人口醫學硏究論集 Vol.27 No.-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including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can potentially be used for cell replacement therapies after the differentiation into various cell types although some remaining risk of cell therapeutics, clinical trials for pluripotent stem cell-based therapies is proceeding carefully. At present, applicable cell types and disease are limited. However, expanded clinical application is expected in the next few years. In this review, we will introduce a current state of ongoing clinical trials and refer to current and future perspectives for cell replacement therapy using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 KCI등재

        지역 만들기와 커먼즈 논의 확장의 가능성 - 경남 하동군을 중심으로

        조명기(Cho, Myung-K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6

        이 글은 현재 경남 하동군의 재지역화 양상을 살피고 커먼즈 논의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주로 소규모 공동체를 대상으로 진행된 커먼즈 논의의 폭을 좀 더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하동의 경계는 지리산, 섬진강, 남해라는 국가 관리의 자연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계는 주변 지자체들 그리고 국가의 욕망이 개입하는 현장이다. 특히, 경계공간 · 사이공간인 지리산은 커먼즈의 비극의 현장이 되어 있다. 반면 섬진강이라는 경계공간에 대한 태도는 지리산의 그것과는 다소 달라 보인다. 섬진강권 지자체들은 2020년 홍수라는 공동의 재난을 경험하면서 배타적 경쟁이 아니라 호혜적 협력을 추진한다. 물론 이 기획은 친자본주의적 커먼즈라는 점, 커먼즈라는 공통재화 이익의 개별 환수라는 한계를 보이지만, 인간중심적 인식에 대한 반성과 비자본주의적 실천을 제안하는 시민단체 활동으로 인해 질적 변모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 하동의 지리산은 이미 이런 변화를 잠재태로 내장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하동의 귀중한 문화자산인 소설 『토지』는, 국제 슬로시티로 인정받은 악양면의 평사리를 자본주의적 소유 욕망의 대상으로 그리면서도 지리산을 화해 · 생명의 공간으로 묘사한다. 그리고 이미 하동은 박경리라는 공동자원을 여타 도시와 공동-개별화하는 커머너로 실천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re-regionalization of Hadong-gun in Gyeongnam and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 discussion on commons. The boundary of Hadong consists of nationally managed natural objects, such as Jirisan, Seomgjingang, and the southern sea. This boundary is a spot in which neighboring local governments’ and the country’s desire involves. On the other hand, the attitude toward Seomgjingang, a boundary space, seems to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toward Jirisan. The local governments along Seomjingang pursue reciprocal cooperation, rather than exclusive competition, as they experienced the common disaster, flood, in 2020. This project, bowever, has a limit, in that it is the capitalism-friendly commons and the interests of commons, the common goods, are individually retrieved, but it has potential to be qualitatively changed, due to civic organizations’ activities including the reflection on human-centric perceptions and the proposition of non-capitalist practice. Jirisan located at Hadong is thought to already embed such a change as potentiality. The novel Land, a valuable cultural asset of Hadong, describes Pyeongsa-ri in Akyang-myeon, which was internationally recognized as a slow city, as the object of capitalist possessive desire, while expressing Jirisan as the space for reconciliation and life. Hadong practices as an actor, and such a practice means the capitalization of Park Gyeongri as a commoner, a common culture asset. Many cities commonly use her. Each of them, however, uses her in its own way, while the use of her is also beneficial to other cities.

      • KCI등재
      • KCI등재

        지역문화 정체성의 재구성을 위한 공간인식 층위의 교호성 연구 -지역 문화텍스트와 지역 경관을 중심으로-

        조명기 ( Cho Myung-ki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1 No.-

        이 글은 2000년대 한국 지역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양상을 살피되, 공간인식 층위의 교호성 즉 지역·국가·글로벌이라는 공간인식 층위가 서로 영향을 끼치면서 서로를 재구성하는 양상에 초점을 맞춘다. 세계화시대 이전 지역 정체성의 내용, 국가와 지역의 관계는 국가유기체론 하에서 구성되고 설명되었다. 국가유기체론은 개인의 기억이라는 방식으로 발현되었지만 지극히 구조적인 것이었다. 각 지역은 서로를 되비추며 관계를 형성했지만 이 관계가 공고한 위계화로 이어진 이유는 서울을 누빔점으로 삼고 있었기 때문이다. 서울 역시 잠정적이고 불가지한 공간이지만, 현대도시의 병리를 선취하여 독점함으로써 누빔점의 위치를 확고부동한 것으로 자연화했다. 반면, 세계화·신자유주의는 지역으로 하여금 국가라는 인식체계를 넘어서기를 강요했다. 지역들은 세계화와 지역 정체성의 결합을 지향함으로써 국가 층위에 종속되지 않으려는 의지를 드러내면서도, 여전히 서울을 누빔점으로 삼는 태도를 답습하고 있다. 이는 세계화시대 이전의 국가유기체론을 주체적으로 그리고 변주된 형태로 반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지역의 세계화 지향은 국가 공간인식 층위의 균열이 아니라 오히려 글로벌 아래 층위인 국가 공간인식 층위를 더욱 강하게 지향하는 양면성을 지닌 셈이다. This paper examined what a change has occurred in how to construct the individuality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self-identity in each locality due to national and global interventions, from a somewhat macroscopic perspective. The contents of local ident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state and a locality has been organized and explained under the theory of the state as an organism, while local cultural identity has been established by an effect of a structural and hierarchical knowledge system using Seoul as point de capiton. Although Seoul is also a flexible and inscrutable space, the recognition of its local hierarchy and a nation-state is naturalized, as it is localized as point de capiton monopolizing modern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locality is gradually transformed as the subject which is directly confronted with the globalization. In response to the globalization, however, the locality appears to tend to imitate upper cities, along the course of hierarchy with Seoul as point de capiton, and in turn it even shows a tendency to be reduced to a knowledge system for the existing national space.

      • KCI등재

        제주 4·3사건을 기억·재현하는 또 하나의 방식 -다큐멘터리 <비념>을 중심으로-

        조명기 ( Cho Myung-ki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71

        이 글은 다큐멘터리 <비념>을 텍스트로 삼아 그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4·3사건에 대한 기억을 환기하는 데 있어 현재와 과거가 상호 충돌하거나 개입하면서 조우하는 양상 그리고 주제의식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살피고자 하였다. <비념>은 영화 자체가 비념(굿)이면서 순례·다크투어다. 영화는 비념(굿)의 과정과 순례·다크투어의 과정을 부조화되게 동시에 중층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두 과정의 충돌과 교차를 반복한다. 이를 통해 진정한 애도작업은 애도 주체의 현재적 시선에 의해 끝없이 계속될 수밖에 없게 되고, 4·3사건은 현존과 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동일하지도 소멸되지도 않을 기억, ‘사건’으로 보존된다. 4·3사건을 ‘사건’으로 명명하면서 적극 호출하는 장소는 제주 해군기지가 건설되고 있는 강정마을 특히 구럼비 바위이다. 카메라는 강정마을을 찬성파와 반대파로 구분해내는 외지인보다는 여전히 침묵하고 있는 4·3사건 피해자에 주목함으로써 순례·다크투어와 비념(굿)의 교차점을 현재화하고 4·3사건의 현재적 의의를 풍성하게 만들어낸다. 비념(굿)과 순례·다크투어라는 두 장치를 통해, 상이한 두 존재 즉 외부인·순례자와 4·3사건 생존자는 상호 침투하면서 현재화·상상력의 작동이 가능한 존재가 되고 있다.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e past and the present collide with each other or encounter by intervening in the opposite entity and how the two can converge on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by analyzing the documentary film “Jeju Prayer (2012)” as a text dealing with the memory of the historic incident. The film “Jeju Prayer” is not only a prayer (exorcism) but also a pilgrimage/dark tour. The film repeats the collision and intersection of the two processes by constructing the process of prayer (exorcism) and the process of pilgrimage/dark tour incongruously and in a multi-layered level simultaneously. Through this, the real task of mourning cannot but ceaselessly and continuously be carried out by the present gaze of the agent of mourning, and the Jeju April 3 Incident is preserved as an ‘event’ that would neither be the same nor extinct, located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A place that is actively summoned as it names the Jeju April 3 Incident ‘an event’ is Gangjeong Village, in particular, Gureombi Rock, where Jeju-do Naval Base is being constructed. The camera pays attention to the victim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who still keep silence, rather than the outsiders who characterize Gangjeong Village into a place where the pros and cons opinions exist over the issue, and thereby enriches the cross point of pilgrimage/dark tour and prayer (exorcism), thus reawakening the present meaning of the incident. Through the two devices of prayer (exorcism) and pilgrimage/dark tour, the two different beings ― outsider/pilgrim and the survivor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 interpenetrate each other and become the beings that can produce the present anew and can create imagination.

      • KCI등재

        다문화소설에 나타난 국가,자본의 폭력과 윤리 효과 그리고 로컬의 위싱 -『이슬람 정육점』과 『나의 이복형제들』을 중심으로

        조명기 ( Myung Ki C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9

        이 글은, 『이슬람 정육점』과 『나의 이복형제들』을 텍스트로 삼아, 공간의 분할과 이동이라는 측면에서 민족국가와 신자유주의가 다문화담론(현상)에 개입하는 양상 그리고 다문화담론 착종 공간에서 전개되는 저항의 양상과 한계를 살폈다. 두 텍스트는 각각 민족국가와 신자유주의에 초점을 맞추며 로컬을 다문화담론의 착종공간으로 설정한다. 『이슬람 정육점』에서 로컬은 단일한 성격의 공간으로 간주되며 인물은 입양이라는 과정을 통해 로컬의 이동(민족국가의 공간→다문화 공간)을 경험한 후 외부세계의 성격에 대해 개인적인 인식의 변화를 경험한다. 반면, 『나의 이복형제들』에서 로컬은 중층적 성격의 공간으로 이해되며, 소수자ㆍ타자‘들’의 언어ㆍ발화그리고 연대는 시장이라는 로컬에서 인정투쟁을 벌이다 공적 언어ㆍ발화에 의해 삭제된다. 두 텍스트가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두 가지다. 하나는, 소수자ㆍ타자들의 집단적ㆍ사회적 은폐라는 우울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로컬은 소수자‘들’ㆍ타자‘들’ 간의 연대가 생성되고 확장되는 준거공간이면서 호명된 주체와의 인정투쟁이 전개되는 장(場)이라는 점이다. 또 하나는, 다문화담론이 민족ㆍ인종ㆍ종교의 차원에서 생산된 소수자에 국한됨으로써 이들을 개인화시킬 것이 아니라 계층ㆍ성ㆍ세대 등 다양한 층위의 소수자‘들’의 연대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이다. With The Islamic Butcher’s Shop and My Step-brothers as texts,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a nation state and neo-liberalism get involved in multi-cultural discourses and the aspects and limits of resistance being developed in an entangled space of multi-cultural discourse. These two texts focus on a nation state and neo-liberalism respectively, while establishing ‘Local’ as an entangled space. In The Islamic Butcher’s Shop, a local area is regarded as a space with simple characteristics, and the main character experiences cognitive chang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his external world in an individual level after moving to the local area through the process of adoption. On the other hand, in My Step-brothers, a local area is understood as a space with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the language, utterance and solidarity of minorities and the others become deleted by the public language and utterance while struggling for recognition in the local area called ‘Market’. The two texts suggest two things in common. One is that the local area is a space of standard where solidarity is created and expanded between minorities and the others as well as a stage where they struggle for recognition against the subjects listed off. The other is that multi-cultural discourses should aim at the solidarity of minorities in various layers, such as hierarchy, class, gender, generation and physical conditions, rather than individualizing minorities by limiting minorities produced in the level of nation, race or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