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원 연수프로그램 개발 전략 : 교원능력개발평가지표를 중심으로

        조대연,김명랑,정은정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o propose how to determine learning contents in terms of planning inservice programs and to implement the setting of priorities among the potential learning contents through need analysis. To these ends, this study proposes a systematic need analysis process for developing an inservice program based on the IPO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RD process. Next, this study addresses the deficiencies that can result from using only one data gathering method in conducting need analysis. To overcome these deficiencies, archival data, nominal group techniques and surveys need to be combined in order to determine the learning contents. This study finally determines the learning contents based upon the results of both Borich's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rough the process proposed by Cho (2009). The determined learning contents enhance teachers' competency in the area of build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also discusses some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지표별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연수내용 추출과정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연수내용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HRD 프로세스 관점에서 프로그램 개발 절차인 IPO 모형을 통해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의 체계적인 절차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단일 방법으로 진행되는 요구분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현존자료 분석, 명목집단기법, 그리고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연수내용 결정을 제안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지표와 관련된 현존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지표와 관련된 주요 내용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고, 명목집단기법을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잠재적 연수내용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잠재적 연수내용에 대한 중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Borich 요구도 조사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조대연(2009)이 제안한 과정을 통해 연수내용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체계적인 요구분석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합리적인 연수내용 결정을 지원하고, 여러 가지 자료 수집 방법 사용을 통해 요구분석 방법의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영국 역사교과서의 고고학 자료 서술 특징과 시사점: <주요단계 2>의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조대연 한국상고사학회 2024 한국상고사학보 Vol.124 No.124

        본 논문에서는 영국의 역사교과서를 분석하여 고고학 자료의 서술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영국에서는 1988년부터 ‘국가교육과정’(National curriculum) 제도를 도입,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앙정부에서 역사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왔다. 가장 최근인 2014년 개정된 국가교육과정에 따르면 고고학 자료가 주로 서술되는 영국의 선사시대, 고대사, 그리고 바이킹 시대까지의 학습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고학년 연령대에서 집중적이고 수준 높게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특징적이다. 이러한 현황을 보다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초등학교 3-6학년에 해당되는 ‘주요단계 2(Key Stage 2)’의 역사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교과서로 영국의 대표적인 교과서 출판사 중 한 곳이라고 할 수 있는 CGPbook에서 출간한 역사교과서(KS2 History 시리즈) 총 4권을 선정하여 선사시대, 로만브리튼 시대, 앵글로색슨족, 그리고 바이킹 시대에 이르기까지 고고학 자료의 제시와 설명양상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 역사교과서에서 다양한 영국 및 유럽의 고고학 자료들 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영국의 중고등학교 단계에서는 근현대사를 주로 다루게 되므로 교과서에서 고고학의 서술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처럼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역사교과서 현황과 확연히 다른 영국 역사교과서의 고고학 서술 양상은 해당 교과서를 이용한 역사교육이 해당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또한 영국 역사교과서에서 확인되는 고고학 자료의 적절한 활용은 현재 고고학의 대중화를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한국고고학에 주는 시사점이 적지 않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rchaeological narratives in British history textbooks, where modern archaeology was established early. In the England, the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in place since 1988, and the government has provided guidelines on what should be taught in history classes. According to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of British prehistory and ancient history is intensively taught at the Key Stage 2, which corresponds to the 3rd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it is very characteristic that archaeological descriptions are intensively taught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history textbooks.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national curriculum in 2014, English students focus on prehistory, the Roman Britons, the Anglo-Saxons, and the Viking Age in the Key Stage 2, and in middle school, they move on to medieval history, and in high school, the subject of study in history textbooks becomes similar to our world history. In this situation, the history textbook of Key Stage 2, which is the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UK, was able to point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effective use of various archaeological materials. The astonishing quality of British history textbooks is likely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Korean archaeology at the present stage of the full-fledged pursuit of popularization of archaeology. However,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mainly discussed, so the proportion of archaeology in textbooks is relatively reduced. The archaeological narrative aspect of the British history textbooks is considered to be very different from the current state of history textbook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archaeological narrative in the future and the eff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the textbooks on students.

      • KCI등재

        고대 철 제련로의 전개과정 및 철 생산 복원실험에 관한 검토 -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대연 숭실사학회 2017 숭실사학 Vol.0 No.38

        최근 한국고고학계에서 철의 생산 복원실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분야 연구의 새로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어 이에 대해 논의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럽의 제철사를 제련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유럽고고학에서 철 제련실험의 사례들을 학사적으로 검토한 후 제련 실험과 관련된 주요 고려사항들을 논의하였다. 유럽고고학에서는 고대 제철사 연구가 일찍부터 진행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철 제련 실험의 연구성과가 상당기간 축적되어 오고 있다. 또한 유럽고고학에서는 자연과학 분야와의 장기간에 걸친 융합 연구를 통해 실험고고학의 성과가 두드러지고 있어 최근 실험고고학적 접근을 활발하게 모색하는 한국고고학에 시사해 주는 바가 적지 않다. 특히 우리 학계에서는 최근의 고고학적 연구성과에 근거하여 제련실험을 통해 ‘괴련철’을 생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는데 이는 유럽의 고대 철 생산 실험에서 추구하는 바와 정확히 부합하므로 이에 대한 검토를 통해 최근의 철 제련실험에 주는 여러 시사점들을 살펴보았다. 즉 대형 제련로의 축조와 조업에 관한 기술적인 측면, 제련로에서 산출된 철의 생산량을 측정하는 방식, 철광석의 종류가 실험결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송풍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본고의 논의를 통해 한국고고학에서 철 제련실험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했다. Recent developments in experimental work on iron production in Korean archaeology has led to the need to re-examine this research topic. This paper examines examples of experimental work on iron smelting that have been carried out by European archaeologists in order to obtain useful insights for Korean archaeology. A key feature of the European experimental work has been the adoption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 co-work actively taking place with scientific archaeology specialists. A key objective of experimental work on iron production in Korea archaeology has been to obtain bloomery iron coincides with the goal of European archaeologists undertaking experimental work on iron production. As such insights on the technic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building and working of furnaces, the ways of measuring the amount of iron obtained from these furnaces, the types of iron ore and their influences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the various methods of blowing could be gained from the European examples. These insights were to formulate a checklist of sorts on the point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ndertaking experimental work on iron production.

      • KCI등재
      • KCI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록(收錄)된 인삼(人蔘)이 주약(主藥)으로 배오(配伍)된 방제(方劑)의 활용(活用)범위, 병증, 주치(主治), 병리(病理) 및 구성내용(構成內容) 조사(調査)

        조대연,정종길,윤용갑,Cho, Dae-Yeon,Jeong, Jong-Kil,Yun, Young-Gab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01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9 No.1

        In the Encyclopedia Medica Koreana(Dongeuibogam), I have researched 245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And I have got the following results. The healing scope and frequency of ginseng-mainly-included prescriptions are Child Part 29(11.83%), Violent Cough Part 23(9.38%), Sick-by-Cold Part 21(8.57%), Oncosis Part 16(6.53%), Overwork Part 14(5.71%), Gynecologic Part 14(5.71%), Internal Part 13(5.3%), Apoplexy Part 11(4.48%), Mind Part 10(4.08%) and Fecal Part 10(4.08%) prescriptions. And also each of Nausea Part, Anger Part, and Spirit parts has the same 5 (2.04%) prescriptions. And each of Qi Part, Diabetes Meatus Part, Malaria Part, and Humoral Part has 4(1.63%) prescriptions. And each of Foot Part, Choleraic Part, Genital Part, Blood Part, and Voice Part has 3 (1.2%). All of these prescriptions cover 88.88%. And besides listed parts above, Panax Ginseng is all used in 48 Parts: Body-Mind Part. Mouth-Tongue Part, Breast Part, Muscle Part, Swelling Part, Urine Part, Epidermis Part, Heat Part, Anus Part, Stomach Part, Eye Part, Laryngopharynx Part. Uterus Part" Heavy Stomach Part, Head Part, Pulse Part, Hair Part, Navel Part, Emetic Part, Costal Part, Edema Part, Vomiting Part, Superstitious Part, and Cardiac Part, etc. Of the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the most representative diseases, which more than 86.8% prescriptions cure, are shock, numbness from cold, Taeeum disease, oncosis, overwork, sick from eating, numbness of extremities, diarrhea, tachycardia, forgetfulness, nausea, heat from kidney, nocturnal emission, short breath, diabetes meatus, malaria, sweating, sweating overnight, beriberi, cholera, insomnia from enervation, sialitis, navel pain, hemorrhage, and loss of voice. The pathology of the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is divided into the organ problems, six natural factors, seven extreme feelings, unbalanced humoral status, overwork, and, unbalance of qi and blood. Spleen, heart, and uterus is the main cause of organ problems; wind and cold are the main cause of six natural factors; heavy humors are the main cause of unbalanced humoral status; the stasis of seven feelings are the main cause of seven extreme feelings; the lack of stamina and overwork are the main cause of the overwork; the lack of qi, the lack of blood, and, the lack of qi and blood are the main cause of the unbalance of qi and blood. After I have researched the contents of the prescriptions in which Panax Ginseng plays an important role, I could understand the addition of the different prescriptions, combination of medicines, and the role of medicine groups associated with Panax Ginseng. So from now on, the results I have got could be used as the data which show the theoretical basis on the prescrip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