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기초능력 진단평가 방안 연구 - 사례 분석을 통한 진단평가의 개선 방안 고찰 -

        조남민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9 No.-

        This research clarifies why diagnostic assessment, is required given the situation around writing education at college level, and how we could rais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This research also discusses how diagnostic assessment can be practically implemented in real life cas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and diagnostic assessment, this research explores a way to develop a system to assess the basic writing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and a way to implement it, with a follow-up process for initial diagnostic assessment. By utilizing diagnostic assessment, teachers can objectively assess the writing abilities of their students, and, based on this, they can provide customized writing courses for the top 10% and bottom 10% of students. Also, by applying the equivalent test to preliminary 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the instructors and their students can assess improvement throughout the course. The students can recognize in detail where they have made improvements and where they have not among different components of writing abilities. Outside of classes, based on the analysis of diagnostic assessment’s preliminary 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teachers can improve writing education at college level in terms of the course structure, key contents, and teaching strategy. As a result of this cycle, the teachers can continuousl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and can adapt to various situations identified by diagnostic assessment. 본고는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 글쓰기 교육이 처한 여러 여건을 고려했을 때 진단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된다는 점을 밝히고, 진단평가의 개발 절차와 시행에 있어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진단평가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실행되는지 사례를 통해 논의하였다. 더불어 대학생의 글쓰기 기초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절차와 이것의 실행 방안, 그리고 진단평가 시행 후 후속되어야 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진단평가의 효용성과 글쓰기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진단평가를 통해 글쓰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글쓰기 실력을 객관화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위 10% 학생과 하위 10% 학생에게 수준별 맞춤형 글쓰기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더불어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를 동형검사로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은 글쓰기 학업 성취도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생들은 글쓰기 능력을 구성하는 여러 항목 중 향상된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에 대해 인식할 수 있다. 수업 외적으로는 진단평가의 사전․사후 평가의 결과 분석을 통해 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교육과정 및 교육 내용, 그리고 교수 전략을 발전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으며, 수정․변경해야 할 영역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교과목 담당자는 글쓰기 교과목을 [사전 진단평가] → [수준별 학습] → [사후 진단평가] → [진단평가 결과 분석] → [교과 내용 수정/강화] → [다음 학기 수업 반영] 등의 과정에서 발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여러 변화 요인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조남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prove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as an educational tool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media literacy that have been developed in the field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en this study presents the curriculum basic design and education pla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lso aims to prove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can be a useful educational tool to improve learners’ critical thinking and self-expression ability.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media literacy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broad areas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he types of media, this article includes both analog media and digital contents as the object of the research. Analog media includes traditional printed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digital contents includes contents delivered on the internet base. By having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media, this study aims to educate perspectives which could identify and mitigate any bias due to the difference of delivery modes. 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ncludes news, articles, documentary, editorial, and so on. Also, in terms of the topics of the contents, the focus is on social problem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major parts;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tudy, a proposed curriculum basic desig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empirical analysis of changes in learners’ behavior before and after media literacy training. 본 연구는 지금까지 미디어 리터러시라 일컫는 광범위한 분야 중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 련된 것으로 한정하고, 이것이 대학이라고 하는 고등교육기관에서 이상적인 교양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한 것이다. 이에 본 논의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하여 그간 발전되어 온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이론을 소개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의 기초 설계와 교육 방 안을 제시한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대학생의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 즉 올바른 비판 적 인지 능력과 올바른 자기표현(assertiveness)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 음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논의에서 다루는 미디어 리터러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전달되는 디지털 콘텐츠는 물론 프 린트 미디어, 즉 신문으로 대표되는 아날로그 미디어를 기반으로 전달되는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이 둘 모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효용이 크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미디어 리터러 시 교육의 목표는 미디어의 특성에 따른 콘텐츠의 편향성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혜안을 기르 는 것 또한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고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뉴스, 기사, 다큐멘터리, 사설 등 과 같이 우리를 둘러싼 사회 문제를 대상으로 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정보를 선별적으로 수집하고, 내용 분석을 통해 핵심과 문제점을 발견함으로써 주어진 문제를 논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 불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생각이 올바른 사회적 파급력을 갖도록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 식을 습득하게 하고, 내적으로는 자기표현을 실현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교양교육의 한 방안으로 수용했을 때 궁극적으 로 도달해야 할 교육 목표와 이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을 위한 기초 설계, 그리고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 행동의 변화 양상에 대한 논의로 구성되었다.

      • KCI등재

        문헌 속 여성의 외양에 대한 표현 방식과 당대 여성성 인식과의 상관성 연구 - 『남원고사(南原古詞)』와 『열녀춘향수절가』의 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

        조남민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0 No.-

        본 연구는 『춘향전』의 대표적 이본인 『남원고사』와 『열녀춘향수절가』에 나타난 여성 외양에 대한 언어 표현을 내용과 형식 측면에서, 그리고 진술자와 진술 대상인 여성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당시 여성성의 의미 영역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여성 외양을 묘사한 언어 표현을 4개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표현들은 ‘정절’과 ‘관능’이라고 하는 가치와 결부되어 나타는데, 외모에 대한 묘사가 성적 의미와 결부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특히, 『열녀춘향수절가』에서는 춘향의 외모 묘사에 있어서 당시 여성의 미덕인 정절, 정숙함 등과 관련한 표현이 다수 나타나면서도 동시에 춘향의 신체 일부를 대상으로 한 노골적인 성적 묘사가 함께 등장한다. 두 문헌의 언어 표현 분석을 통해 춘향이의 아름다움은 정신적인 면과 육체적인 면에서 묘사되고 있음과 동시에, 역설적이게도 ‘정절’과 ‘관능’이라고 하는 상반되는 가치가 동시에 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열녀춘향수절가』는 춘향의 신분을 여염의 여인으로 설정하고 여성의 정숙미와 절제미를 강조하고 있으나 역설적이게도 『남원고사』에 비하여 오히려 춘향을 성적 대상화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동시에 당시 정숙과 정절이 강조된 외적인 미를 갖추었으면서도 적나라한 성적 행위를 할 수 있는 이상적인 신체를 가진 여인으로 춘향을 묘사하고 있다. 이는 춘향의 신분에 따라 외양의 형상화 방식이 달라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the changes in the semantic domain of ​​femininity in Namwongosa and Yeolnyeochunhyangsujeolga, which are considered the representative versions of the story of Chunhyang. I do this by analyzing the content and the style of writing from both the writer’s and the female characters’ perspectives. This study categorizes language expressions depicting female appearance into four categories, and analyzes them. These expressions appear in conjunction with the values ​​of ‘fidelity’ and ’sensuality.’ Descriptions of appearance in these works often appear in connection with sexual meaning. In particular, in Yeolnyeochunhyangsujeolga, while many expressions describing Chunhyang’s appearance are related to what were considered the virtues of women at the time, such as fidelity and quietness,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explicit sexual descriptions of her appearance. By analyzing the literary description and expressions of the two works, I found that the beauty of Chunhyang was depicted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and, paradoxically, the two works pursued two seemingly contradictory values, ‘fidelity’ and ‘sensuality.’ In Yeolnyeochunhyangsujeolga in which Chunhyang is set up as a noblewoman, part of the upper class of society, Chunhyang’s quietness and self-restraint is highlighted as a virtue of women. However, paradoxically, it describes Chunhyang as a sexual object even more than in Namwongosa. While Yeolnyeochunhyangsujeolga describes Chunhyang as a woman with fidelity and quietness, it also describes her as someone with a physical appearance ideal for explicit sexual behavior. Also, these two versions show that Chunhyang's status impacts the way her appearance is described.

      • KCI등재

        한국어 쓰기 평가 구인과 채점 기준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쓰기 평가 범주의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조남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2 언어와 문화 Vol.8 No.3

        Until recently, scoring in writing test of Korean language tended to depend on ‘subjective intuition’, and, except for a few evaluation organization, it relied on two or three evaluation criteria such as ‘content and accuracy’, ‘content, format, expression’, or ‘content, format, organization’. Also, evaluation criteria and standard had significant variance, and allocation of scores on criteria has been obscure and subjective. As a result, there have been some doubts regard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However, just like there is no right answer to ‘what is the good writing?’ which has been debated among philosophers and researchers, there has been little structured discussion regarding ‘how could we define good writing?’ while researches so far has been focusing on analytic scale, criteria description,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it is time to raise questions regarding which evaluation criteria have bigger impact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 In summary, metacognitive competence mattered much more than overall knowledge in language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evaluation. However, considering that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enhance communication capabilities as a second language, to make this evaluation more meaningful, we need to first compare holistic score in writing from native speakers and score in knowledge level of language, and understand the correlation. This could be a theoretical rationale to differentiate importance of various evaluation criteria.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연구-어중 자음군 폐쇄지속시간에 관한 조사와 분석

        조남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어 교육 Vol.18 No.2

        Main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monstrate that;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in closure duration timing of the intersyllabic gemination. Second,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 of the variance in closure duration timing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native languages. Thir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ritical to conduct research in this area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effective learning. For these objectives, this dissertation includes experimental phonetics researches on closure duration timing of different language speakers, analysis on the root causes, and identification of key differences among various interlanguages. Main experiments include the followings; To prove how closure duration timing of /ㄱ/, /ㄷ/, /ㅂ/ impacts on the correct recognitio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identify these final consonants when they were pronounced at 5 different speeds. This was executed with 20 Korean native speakers, and 8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native speakers respectively. These results could also be proved by the theories of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and Equivalent Classification Model. (Ewha Womans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성별언어와 관련하여

        조남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1 언어와 문화 Vol.7 No.1

        This research is on sexual identity in Korea in the context of Korean educ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s male and female title. Title has not been the main subject in Korean education, and only family title has been studied in a limited way. In Korean, female title is more advanced and diversified compared to male title. Female title is diversified based on age, appearance, and marital status, and many of them have lost its original meaning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n Korean education material, male people are mostly identified by their social position or job title. On the contrary, most of female people are called clerk, employee, waitress, 아가씨 or 아주머니/아줌마. Also, in Korean education material, customary perception from traditional Korean society still exists with its 'title', 'occupation', 'behavior', and 'expression'. Although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has been diminished in Korea, dichotomy between male and female role has become more visibl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화자의 음장 인식에 관한 연구 - 일본어 장음절핵의 시간성과 관련하여

        조남민 배달말학회 2010 배달말 Vol.46 No.-

        This research discusses length among other suprasegmental phoneme and examines length acquisi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through productive and perceptive experiments, and discusses how length is realized. Existing as a suprasegmental phoneme on top of a vowel, the length not only independently differentiates the meaning, but also gets prolonged in case of a vowel contraction, glides, lexical derivation, and conveying speaker’s subjective intention.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ategorize the situation and context where lengthening mostly happens. The second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iming of long vowels in Korean. 음장은 현대 한국어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한 방언 화자를 중심으로 일부 어휘에만 남아 있을 뿐이다. ‘눈ː’(雪), ‘길ː’(長), ‘밤ː’(栗), ‘배ː’(倍), ‘말ː’(言), ‘되ː다’(硬), ‘손ː’(孫), ‘발ː’(簾) 등이 그 예이며, 이외에 형태음소적 차원에서 활음화, 모음탈락, 모음축약 현상으로 인한 보상적 장음화 현상(Compensatory Lengthening)에 의해서 장모음화가 일어난다. 음장이 변별적 자질로 존재하는 일본어에서 ‘모라’(mora)라는 단위는 매우 유용한 운율 단위이다. ‘보상적 장음화’라는 음운현상의 경우 ‘모라’는 더욱 유용한 운율 단위가 된다. 이것은 한국어의 보상적 장모음화를 설명할 경우에도 그러하다. 한국어의 장모음에 대하여 대부분의 논의들은 상술한 활음화, 모음탈락, 모음축약에 의해 재구조화된 장모음에 두 개의 모라를, 단모음에는 하나의 모라를 할당하는데, 이러한 음운현상들은 음절수의 감소를 초래하며 이러한 음절수의 손실로 인한 모음의 시간성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상적 장모음화가 일어난다. 본고는 두 개의 모라가 설정된 한국어 장모음이 현재 단모음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음장을 갖는지를 발화실험과 지각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화 실험 결과 장모음과 단모음의 길이의 비율이 최소대립쌍의 경우 1.5~1,7:1, 보상적 장모음화의 환경에서는 1.3~1.7:1 등으로 나타났음을 밝혔으며, 모어 화자의 음장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활음화, 음운탈락, 음운축약에 의한 장모음이 단모음과 비교하여 음장의 변별성이 사라지고 있다면 그것은 어휘화와 수의성이 그 원인임을 추정하였다. 그것은 어휘화된 어휘 항목의 경우 본말에 대한 의식이 없어져 수의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또한, 지각실험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보여 주었다. 첫째,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운소로서 존재하는 장음에 대해서는 어휘에 따라 인지율에 차이를 보였다는 것이다. ‘배ː’, ‘되ː다’, ‘발ː’ 등에 대해서는 뚜렷한 음장 인식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눈ː’, ‘밤ː’, ‘말ː’ 등에 대한 인지율이 높았다. 둘째, 보상적 장모음화가 일어나는 예들의 경우 음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들도 있었으나, 음성적으로는 그렇지 않은 예들도 발견되었다. 즉, 장음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본어의 장·단음의 시간성이 일관된 음장 비율로 나타나는 양상과는 달랐다. 특히, 음운현상에 따른 보상적 장음화에 의한 장모음의 경우도 음운현상의 수의성과 어휘화, 본말에 대한 의식 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았다.

      • KCI등재후보

        문화 표제어 설정과 문화 통합 교육의 내용 구성에 대한 방안

        조남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9 언어와 문화 Vol.5 No.2

        Cho, Nam Min. 2009. Suggestion on Developing the Cultural Lemma and Devising the Contents of Integrated Culture Education. The Language and Culture 5-2: 197-226.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until now, cultural factors taugh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rovided knowledge in fragments, not in an optimally organized wa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cultural lemma”, and devise the contents of integrated culture learning which consists of linguistic, literary, and cultural factors. It is not a recent trend to emphasize the cultural fact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although it’s generally agreed that education on Korean culture is a critical part of language education, it is also true that education on culture still plays only a methodological and supporting role to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with much more focus o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factors are relatively neglected or ignored in actual teaching practice. Especially, the balance betwee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more carefully designed and maintained as it goes to more advanced courses. However, it’s easier said than done with only fractional cultural factors built into the educational system. It’s even worse as most of the current cultural education is practiced with rather random than organized cultural factors without customization based on the learners and their Korean language fluency.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enter, Ewha Womans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