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이버교사의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 측정도구의 타당화 및 적용
조규락,김선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사이버교사를 대상으로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사이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사이버가정학습을 담당하고 있는 사이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사이버교사의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 측정도구의 타당화 작업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1개의 문항을 통한 시스템, 수업지도, 콘텐츠, 시도교육청지원의 4개 하위영역이 추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요인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여러 지수들의 값을 통해 적합한 모형임이 밝혀졌으며, 측정변수와 잠재변수 간의 설정된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사이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는 배경변인(학교급, 성별, 지도경력, 사이버학급유형, 사이버가 정학습에서의 담당역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oal-based Scenarios (GBS) 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의 설계 및 개발 연구
조규락,조영환,김미경,성봉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5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IT기술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강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웹기반 교육의 정착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 원인은 현재 웹기반 교육이 전통적 교실수업과 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웹기반 교육에 적합한 설계모형들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들은 구성주의 학습관에 기반한 GBS 설계모형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에 관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거나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와 교육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개발사례를 제공하고자 한다. 3개월 간 요구분석, 학습내용분석, 학습자 및 학습환경분석을 통해서 GBS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설계하고 GBS의 7가지 구성요소들에 충실하게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학교와 기업에서 새로운 형태의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고자 하는 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해줄 것이다. In spite of the strong request that Internet, a new IT technique, should be extensively used in classroom settings, WBI is not still wide spread. One possible reason is that most WBIs developed so far are not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lassroom ones and various design models for WBI are unknown. Developing a WBI program according to Goal-based Scenarios (GBS), a constructivistic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is study offers a useful case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WBI to educators and implementers. The program developed embodied seven important components of the GBS model. The development process also included needs assessment, task analysis, and learner and environment analysis, which ar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domain of instructional design. The GBS development case in this article will provide concrete guidelines to educational practitioners who have an intention to create a new type of WBI in schools as well as in corporate.
대규모 조직내에서의 변화 : 기업내 새로운 시스템 도입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과 그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
조규락 한국기업교육학회 200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4 No.1
펜실바니아 주립 대학교는 오래된 종이 중심의 회계 시스템을,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중심의 새로운 회계 시스템으로 대체하였다. 통합 비지니스 정보 시스템(Integrated Business Information System: IBIS)이라 불리는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은 대학교의 회계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라면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강제적(mandatory) 이고 필수적인 프로그램이었다. 즉 IBIS를 통하지 않고는 모든 회계관련 사무는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IBIS를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은 대학교의 회계관련 업무에서 핵심적인 내용이 된 것이다. 본 사례연구의 관심은 IBIS와 같은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과정에서 훈련 프로그램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강제적인 변화의 과정에 있다.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과의 인터뷰의 내용과 관련 문서를 분석하여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과정에서 나타나는 3가지의 주요 변화가 확인되었는데, 그것은 첫째, 사람들의 태도의 변화, 둘째, 회계 오피스의 재구조화, 세째, 개인 과업 요구조건의 변화이다. 또한, 본 연구는 2가지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교훈을 제시하였는바, 그것은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훈련 프로그램 실시할 때 그 시기의 적절성 및 기간에 대한 것이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전에 수행된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변화의 과정을 논의하였다.
『교육공학연구』(2003-2023) 학술지의 저자 및 공저 현황에 대한 네트워크분석
조규락,김찬희 한국교육공학회 2024 교육공학연구 Vol.40 No.3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author–co-author relationship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by examining the status of these relationships and performing a co-author network analysis. The research involved 683 researchers who contributed as authors and co-authors to 695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23. The analysis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authors and co-authors, the dynamics of co-author relationships,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s key institutions in academic research.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authored papers is increasing annually, with co-authorship most commonly occurring in pairs and triples. Most authors have published only one article, and the number of authors decreases considerably as the number of articles increases. Second, the co-author network, comprising 643 co-authors contained 1,091 links, a density of 0.005, and a diameter of 13, indicating a highly complex visualization network. Cluster analysis, revealed a total of 67 clusters, with 47 clusters consisting of fewer than 10 authors and 20 clusters containing 10 or more authors. Third, the network of representative authors based on their affiliations demonstrated that universities were effectively serving as ivory towers. Notably, Seoul National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ere key institution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network visualizations highlight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se authors and scholars. Fourth, the author–co-author relationship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and Information exhibited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ble to identify the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ers in educational technology.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made.
조규락,김선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4
Objectives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the positive effects of SNS, the potential role of SNS in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learning experienc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major issues such as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s, improvements of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purpose of use in SNS. Thu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ollege students’s use of SNS in learning situations, differences in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on SN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purpose of SNS use. Methods Thus,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survey of 431 undergraduate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OVA, IPA, and network analysis. Results First, a large number of students used various SNS such as Instagram, YouTube, and Facebook for various periods of time and more in the evening. Second,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s on SNS are well showed in the background variable of personality, with extroverted personality having a greater effect than introverted personality. In the meantime, gender differences were not showed, and major showed very limited differences. Third, among the learning experiences, behavioral rules, resolving questions, and experiencing new fields were identified as areas that need to be urgently improved. Fourth, the related purposes of use vary depending on each learning experiences, but connection and expansion, acquisition of learning information/advice were related to all purposes of use, and centrality indicators of network analysis supported this. Conclusion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related discussions were proposed and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studies were outlined.
대학의 취업준비생과 기업의 채용담당자가 인식하는 구직역량 차이 비교분석
조규락,구준영 한국기업교육학회 2014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kinds of employment competencies job applicants need m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in employment competencies between job applicants and recruiting managers, and to offer a right direc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employment competencies by apprehending the level of employment needs of corporation. For the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statistical analyses, and IPA, in which one hundred fifty job applicants and sixty recruiting manag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job applicants’ awareness of the level of current competency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the level of the importance in all employment competencies, including all the sub-competencies.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y regarded all employment competencies as important elements for getting a job but their current level was lower. IPA indicated further that they need the development of sub-competencies in the area of employment skill. Second, recruiting managers’ awareness of the job applicants’ current level of competencies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the level of employment needs of corporation in most of employment competencies, except for a few competencies. This result showed that job applicants lack the preparation of competencies required by corporation. IPA indicated further that they need the development of sub-competencies in the areas of employment attitude group and job adjustment group. Third, the study found the awareness difference between job applicants’ level of importance of employment competencies and recruiting managers’ level of employment needs of employment competencies. IPA indicated that the two parties’ gap of awareness made a large difference in employment knowledge group and job adjustment group. Three IPAs results showed that sub-employment competencies seem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before and after the employ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취업준비생이 인식하고 있는 구직역량과 채용담당자들이 요구하는 역량을 비교·분석하고 취업준비생들에게 어느 구직역량이 더 필요한지를 밝히며, 기업의 취업요구수준을 파악하여 취업준비생들의 구직역량계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 검정과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로서 150명의 취업준비생과 60명의 기업의 취업담당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준비생이 인식하는 현재 역량수준이 모든 구직 하위역량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중요도 인식보다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구직역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구직역량의 수준은 그 보다 낮다고 평가한 것이다. IPA 분석결과는 구직기술군의 2개의 하위영역에서 집중해서 역량계발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둘째, 채용담당자가 인식하는 취업지원자의 현재 역량수준은 소수의 하위영역을 제외하고 다수의 영역에서 채용요구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취업지원자들이 기업에서 요구하는 역량에 대해 준비가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IPA 분석결과는 구직태도군과 직무적응군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집중적으로 역량계발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셋째, 역량군별로 하위영역에서 취업준비생과 채용담당자의 중요한 구직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인식의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IPA 분석결과는 구직지식군과 직무적응군에서 인식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3개의 IPA 분석결과의 차이점도 존재하는데, 이는 구직역량의 하위영역들이 갖고 있는 성격이 취업 전과 후에 따라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감정·정서 인식
조규락,이정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수업 중에 학생들이 하고 있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를 교사가 경험하고 있는지, 이를 어떤 감정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감정상태의 정도 는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고, 비언어적 행동의 보편적인 4가 지 유형인 신체언어, 공간적 행위, 유사언어, 가공적 행위로 나누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학생들이 수업 중에 행하는 긍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과 부정 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총 22개를 확인하였는데, 교사들은 1개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 서 이러한 학생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 의 긍정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교사들이 인식하는 감정상태는 기쁨이 압도적으로 많았 으며, 부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는 화남, 불쾌함, 놀람 등의 감정상태를 느끼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해 교사들이 느끼는 감정상태의 정도는 배경변인별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으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은 수업목표 달성에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 수업을 위한 정서와 감정에 대한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ud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class, to reveal teachers’ experiences on the identified stud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ir emotions and feelings when experiencing the nonverbal behaviors, depending upon their varied background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of which wer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tatistical analysis was also conducted depending upon the four types of nonverbal behaviors, including kinesics, paralanguage, proxemics, and artifac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wenty-two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ones identified students act in class and almost all the teachers experienced these behaviors. Second, teachers overwhelmingly felt joy on the students’ positive nonverbal behaviors. In contrast, they felt anger, disgust, and surprise on the students’ negative ones.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the degrees of their feel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upon their varied background variable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at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achieve instructional goal an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emotion and feeling for an instruction.
조규락,김선연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judge’s roles and competenci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and relative priority on the roles and competencie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delphi method an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Expert panels participated in the delphi and IPA were 19 incumbent judges who worked for the judicature.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By the delphi method, (1) there were six important roles identified including judgment, dispute settlement, norm interpretation,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proceedings progress, and writing court records; (2) there were twenty-nine sub-competencies identified regarding judge’s varied roles that were included in the four main competency domains(knowledge, skill, value & attitude, & self-management) from the Spencer & Spencer(1993) model of competency. By the IPA, (3) the different roles and sub-competencies identified in the delphi method belonged to one of the four IPA coordinates(keep up good work, possible overkill, low priority, and concentrate here).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ncumbent judges recognize their varied roles and the roles require many different sub-competencies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better education-training for newly appointed judges and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현직 법관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역할과 역량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역할과 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 및 상대적인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19명의 현직 법관이 참여하는 델파이 조사 방법과 델파이 자료를 이용한 IPA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는 첫째, 판단자, 분쟁해결자, 규범해석자, 사회정의실현자, 절차진행자, 재판서작성자라는 6개 중요 역할이 도출되었다. 둘째, Spencer와 Spencer(1993)의 역량모형에 따른 지식, 기술, 가치와 태도, 자기관리의 4개 주요 역량영역에서 총 29개의 하위역량들이 확인되었다. 셋째, 델파이 조사에서 확인된 서로 상이한 역할과 역량은 IPA의 4개 좌표(계속유지, 과잉, 저순위, 집중영역)에 속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직 법관들이 자신의 여러 역할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 그 역할은 각각 상이한 하위역량들을 요구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임법관의 교육훈련에 대한 시사점 및 관련 후속연구가 제안되었다.
개인 문제해결 상황에서 인지양식과 메타인지가 비구조 문제해결 및 논증에 미치는 효과
조규락 ( Kyoo Lak Cho ),김선연 ( Sun Yu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style (visualizers vs. verbalizers) and metacognition (knowledge of metacognition vs. regulation of metacognition) on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en students individually tried to solve ill-structured problems. Each subject was asked to complet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test after he or she completed both questionnaires that identify his or her cognitive style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 Eighty-three students were identified as visualizers twenty as verbaliz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as follows: First, verbalizers had higher score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s indicates that verbalizers performed better than visualizers i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However, no effects of cognitive styles were found on the sub-elements of argumentation. Second, no effects of both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were found o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ere are two possible explanations. One explanation is that because metacognition did not a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and verify them. The other explanation is that from the first, there would be no necessary to divide metacognition into the knowledge of metacognition and the regulation of metacognition in comparing the scores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Third, th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which indicates that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and argumentation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