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완전방실차단을 동반한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에서 판막치환술 후 관정맥동을 통해 좌심실을 조율하는 심박조율기 시술

        조관훈,김인호,안서희,오용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14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31 No.2

        A 52-year-old man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due to fever and myalgia that occurred 2 weeks earlier. He showed a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on his electrocardiogram, and his vital signs were unstable. On his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 the 1.5 cm vegetation in the aortic valve with severe aortic regurgitation suggested infective endocarditis. His transesophageal enchocardiograph showed abscess in his mitral-aortic intervalvular fibrosa and vegetation was suspected on his anterior mitral valve leaflet. The patient underwent an emergent operation for valve replacement with temporary epicardial pacing. Intraoperatively, the septal leaflet of his tricuspid valve was injured during the debridement of the abscess pocket that was extended to the membranous septum. The aortic, mitral, and tricuspid mechanical valves were replaced with annular reconstruction without complications. After 14 days of intravenous antibiotics, we successfully changed the epicardial pacemaker into a transvenous DDD-type permanent pacemaker by placing a left ventricular lead via the coronary sinus and an atrial lead in the right atrium appendage. The patient was discharged in a tolerable state and was examined uneventfully in our hospital’s outpatient clinic for 8 months.

      • KCI등재

        Cholestyramine Use for Rapid Reversion to Euthyroid States in Patients with Thyrotoxicosis

        하정훈,조관훈,강보라미,김민희,임동준 대한내분비학회 2016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31 No.3

        Cholestyramine (CS) is an ion exchange resin, which binds to iodothyronines and would lower serum thyroid hormone level. Theuse of CS added to conventional antithyroid drugs to control thyrotoxicosis has been applied since 1980’s, and several studies indicatethat using CS in combination with methimazole (MZ) produces a more rapid decline in serum thyroid hormones than withonly MZ treatment. Our recent retrospective review of five patients taking high dose MZ and CS, compared to age-, gender-, initialfree thyroxine (T4) level-, and MZ dose-matched 12 patients with MZ use only, showed more rapid decline of both free T4and triiodothyronine levels without more adverse events. CS could be safely applicable short-term adjunctive therapy when firstlineantithyroid medications are not enough to adequately control severe thyrotoxicosis or side effects of antithyroid drug wouldbe of great concern.

      • KCI등재

        Risk factors for hypothyroidism in euthyroid thyroid nodule patients with lymphocytic thyroiditis on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이정민,하정훈,조관훈,임예지,김민희,정찬권,정소령,강무일,차봉연,임동준 대한내과학회 2019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34 No.6

        Background/Aims: Lymphocytic thyroiditis as cytology diagnosis from fine needle aspiration (FNA) is frequently detected in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However, the clinical outcome for upcoming hypothyroid events has been rarely clarified in euthyroid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of patient who had lymphocytic thyroitidis on FNA cytology of thyroid nodule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10 at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In total, 109 patients with follow-up thyroid function tests (TFT) were enrolled. Final outcomes included overt and subclinical hypothyroidism with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levels ≥ 10 mIU/L. Potential parameters predicting clinical hypothyroidism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Over the mean follow-up duration of 51.6 months, 14 out of 109 patients (12.8%) developed clinical hypothyroidism that required thyroid hormone replacement. The median onset time to hypothyroidism was 16 months (range, 3 to 88) and ≥ 60% of patients experienced clinical hypothyroidism within 1 year. By multivariate analysis, background thyroiditis (relative risk [RR], 9.78; p = 0.004), thyroid peroxidase antibody positivity (RR, 9.90; p = 0.003), nodule size (RR, 1.24; p < 0.001), and initial TSH (RR, 1.47; p = 0.009) wer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predicting hypothyroidism in euthyroid patients. Conclusions: Hypothyroidism frequently occurs during the follow-up in euthyroid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which show lymphocytic thyroiditis on FNA cytology. Close surveillance and regular TFT are needed in high-risk patients for upcoming clinical hypothyroidism.

      • 총인 제거에 있어서 정수 및 하수 슬러지중의 알루미늄 재이용

        서정인,윤호석,조관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정수 및 하수 처리공정에서 사용되는 응집제에 다량으로 함유된 알루미늄은 슬러지의 형태로 배출되고 있다. 이들 슬러지에 있어서 알루미늄의 함량은 정수 슬러지가 100 ~ 140 g/kg(건조중량), 총인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수 슬러지(이하에서는 총인 슬러지로 표기함)에는 190 g/kg(건조중량)함유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정수 슬러지의 경우는 시멘트 소성로의 부원료, 건설자재의 원료로 대부분 재활용되고 있고 나머지는 매립 처분되고 있다. 그러나 총인 슬러지의 경우는 대부분 매립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수 슬러지의 경우는 재활용 비율이 높지만, 슬러지에 함유된 알루미늄의 재이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극히 낮은 실정이며, 총인 슬러지에 함유된 알루미늄에 대해서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정수 및 총인 슬러지에 함유된 알루미늄에 대한 가치가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알루미늄이 지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는 금속 원소이면서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알루미늄의 과다하게 축적된 토양에서는 식물의 생육이 원활하지 못하며, 식물의 생육에 있어서 알루미늄이 저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결국 슬러지 중의 알루미늄은 주변의 환경이 산성의 상태로 유지될 경우 자연 생태계로 용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간과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수 및 하수의 총인 처리 과정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에 함유된 알루미늄을 부영양화의 원인 물질로 인지되어 그 제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의 투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총인의 제거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스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정수 농축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반류수에 함유된 고농도의 총인 제거, (2) 정수 농축 슬러지를 탈수한 케이크를 산 추출법으로 통해 응집제를 회수하여 총인 처리에서 이용, (3) 총인 농축 슬러지를 이용한 반류수에 함유된 고농도의 총인 제거 등이다. 결국 이러한 방법을 통해 계(System)외로 유출되는 알루미늄의 양을 최소화시켜 생태계의 건전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 총인처리시설의 도입이 하수슬러지의 성상 및 그 처리에 미치는 영향

        서정인,윤호석,조관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빈번한 조류 발생으로 인한 수질 악화를 완화시키기 위해 2012년부터 총인의 수질 기준이 강화되었으며, 이에 앞서 2010년부터 기존의 하수처리장에 총인 처리시설을 설치하였다. 총인은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도 제거할 수 있으나 질소와는 달리 기체로 전환시켜 대기 중으로 확산시키는 형태로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혐기・(무 산소)・호기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미생물에게 인을 과잉 섭취시켜 슬러지의 형태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국내의 엄격한 인에 대한 수질 기준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인과 친화성이 높은 알루미늄 분자가 주 원료인 황산반토, PAC 등과 같은 응집제를 이용하여 침전・분리시켜 슬러지의 형태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인의 처리는 어떤 처리 방법에 있어서도 슬러지의 형태로 계외로 배출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결국 총인처리시설의 도입으로 인해 기존에 용존 상태로 공공수역에 방류된 인이 알루미늄과 결합된 슬러지의 형태로 전환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과 결합된 인은 기존의 슬러지 처리시설에서 최종침전지의 슬러지와 함께 각 처리장의 기존 슬러지 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응집제의 도입과 인의 함유량 증가와 같은 슬러지의 성상이 기존의 슬러지 처리 공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조사된 사례가 없으며, 특히 부숙화나 고화 처리의 경우는 토양 환원시에 알루미늄과 인의 함유량 변화가 작물의 생장이나 토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인처리시설 도입 후에 처리장내에서의 인과 계외(처리장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부숙토, 고화토 등)중의 인과 함께 알루미늄의 거동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한 G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공법은 DNR이며, 잉여 슬러지는 총인슬러지와 함꼐 탈수 후에 부숙처리하고 있다. 먼저 처리장의 월별 운영자료로 인의 수지를 산정한 결과, 총인처리시설에서 제거되는 인의 양은 4.33 kg/d (28.7%)이었으며, 총인처리시설 이전 단계에서의 인 제거량은 4.65 kg/d(30.9%)로 유입되는 인의 약 41%는 생물반응조내의 미생물에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총인 처리과정에 발생된 슬러지에는 건조중량 기준으로 알루미늄이 254.6 g/kg, 총인이 40.1 g/kg 함유되어 있고, 완제품의 부숙토에는 알루미늄이 49.5 g/kg, 총인이 30.8 g/k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술한 인의 수지에 근거해서 재산정하면 총인처리시설의 도입 후에 부숙토 중의 인함량은 약 2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알루미늄은 일반 슬러지중의 알루미늄의 함량이 높지 않음을 감안한다면 대부분이 인의 제거를 위해 투입된 황산반토에서 기인된 것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총인 처리시설의 도입으로 인해 슬러지 중의 알루미늄과 인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pH 2이하의 조건에서 용출시험 결과, 인(T-P)과 알루미늄의 용출 농도는 각각 80 mg/L과 27 mg/L이었으며 pH 4이상의 조건에서는 알루미늄과 인이 안정된 결합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총인처리시설의 도입이 하수슬러지의 성상 및 그 처리에 미치는 영향

        서정인,윤호석,조관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빈번한 조류 발생으로 인한 수질 악화를 완화시키기 위해 2012년부터 총인의 수질 기준이 강화되었으며, 이에 앞서 2010년부터 기존의 하수처리장에 총인 처리시설을 설치하였다. 총인은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도 제거할 수 있으나 질소와는 달리 기체로 전환시켜 대기 중으로 확산시키는 형태로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혐기ㆍ(무산소)ㆍ호기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미생물에게 인을 과잉 섭취시켜 슬러지의 형태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국내의 엄격한 인에 대한 수질 기준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인과 친화성이 높은 알루미늄 분자가 주 원료인 황산반토, PAC 등과 같은 응집제를 이용하여 침전ㆍ분리시켜 슬러지의 형태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인의 처리는 어떤 처리 방법에 있어서도 슬러지의 형태로 계외로 배출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결국 총인처리시설의 도입으로 인해 기존에 용존 상태로 공공수역에 방류된 인이 알루미늄과 결합된 슬러지의 형태로 전환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과 결합된 인은 기존의 슬러지 처리시설에서 최종침전지의 슬러지와 함께 각 처리장의 기존 슬러지 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응집제의 도입과 인의 함유량 증가와 같은 슬러지의 성상이 기존의 슬러지 처리 공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조사된 사례가 없으며, 특히 부숙화나 고화 처리의 경우는 토양 환원시에 알루미늄과 인의 함유량 변화가 작물의 생장이나 토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인처리시설 도입 후에 처리장내에서의 인과 계외(처리장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부숙토, 고화토 등)중의 인과 함께 알루미늄의 거동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한 G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공법은 DNR이며, 잉여 슬러지는 총인슬러지와 함꼐 탈수 후에 부숙처리하고 있다. 먼저 처리장의 월별 운영자료로 인의 수지를 산정한 결과, 총인처리시설에서 제거되는 인의 양은 4.33 kg/d (28.7%)이었으며, 총인처리시설 이전 단계에서의 인 제거량은 4.65 kg/d(30.9%)로 유입되는 인의 약 41%는 생물반응조내의 미생물에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총인 처리과정에 발생된 슬러지에는 건조중량 기준으로 알루미늄이 254.6 g/kg, 총인이 40.1 g/kg 함유되어 있고, 완제품의 부숙토에는 알루미늄이 49.5 g/kg, 총인이 30.8 g/k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술한 인의 수지에 근거해서 재산정하면 총인처리시설의 도입 후에 부숙토 중의 인함량은 약 2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알루미늄은 일반 슬러지중의 알루미늄의 함량이 높지 않음을 감안한다면 대부분이 인의 제거를 위해 투입된 황산반토에서 기인된 것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총인 처리시설의 도입으로 인해 슬러지 중의 알루미늄과 인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pH 2이하의 조건에서 용출시험 결과, 인(T-P)과 알루미늄의 용출 농도는 각각 80 mg/L과 27 mg/L이었으며 pH 4이상의 조건에서는 알루미늄과 인이 안정된 결합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The Early Changes in Thyroid-Stimulating Immunoglobulin Bioassay over Anti-Thyroid Drug Treatment Could Predict Prognosis of Graves’ Disease

        유진,백한상,Chaiho Jeong,조관훈,이정민,하정훈,김민희,이정민,임동준 대한내분비학회 202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38 No.3

        Background: To determine whether baseline thyroid-stimulating immunoglobulin (TSI) bioassay or its early response upon treatmentwith an anti-thyroid drug (ATD) can predict prognosis of Graves’ disease (GD) in real-world practice.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nrolled GD patients who had previous ATD treatment with TSI bioassay checked at baseline andat follow-up from April 2010 to November 2019 in one referral hospital. The study popul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who experienced relapse or continued ATD (relapse/persistence), and patients who experienced no relapse after ATD discontinuation(remission). The slope and area under the curve at 1st year (AUC1yr) of thyroid-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ntibodies includingTSI bioassay and thyrotropin-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TBII) were calculated as differences between baseline and secondvalues divided by time duration (year). Results: Among enrolled 156 study subjects, 74 (47.4%) had relapse/persistence. Baseline TSI bioassay valu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relapse/persistence group showed less decremental TSI bioassay in responseto ATD than the remission group (–84.7 [TSI slope, –198.2 to 8.2] vs. –120.1 [TSI slope, –204.4 to –45.9], P=0.026), whereas theTBII slop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lapse/persistence group showed higher AUC1yr of TSI bioassay and TBII in the 1st year during ATD treatment than the remission group (AUC1yr for TSI bioassay, P=0.0125; AUC1yr for TBII,P=0.001). Conclusion: Early changes in TSI bioassay can better predict prognosis of GD than TBII. Measurement of TSI bioassay at beginningand follow-up could help predict GD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