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학교(급)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및 진로 지원체제 구축방안 : Future Directions and Practices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정희섭,김현진,김형일,정동영,정인숙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11

        이 연구는 장애인 삶의 질을 보다 확충하는 차원에서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 실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현실여건에서 최상의 진로 지원체제 구축방안을 마련 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서 진로실태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진로 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요인을 발굴한 이후, 최근 5년간 전국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을 대상으로 전반의 진로실태를 조사?분석하고, 문헌분석 및 실태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이 연계된 진로 지원체제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 진로실태 조사는 전국 120개 특수학교(고등부 과정 설치 특수학교), 161개 고등부 특수학급 총281개 학교의 2001년도부터 2005년도까지 5년간 졸업생 1,33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조사대상 1,334명은 행정공문으로 각 학교별 졸업생 명부를 통하여 추출된 것으로, 실제 5년간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11.1%에 해당된다. 실태조사는 1차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 발송과 회수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2차로 본원의 현장연구위원 교사 176명이 소속 지역교육청의 졸업생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 및 면담 조사실시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35.2%가 직장을 가진 취업자이고, 64.8%가 직장을 가지지 않은 미취업자(가정거주, 시설거주, 자영업, 대학진학포함)로 조사되었다. 장애영역별 학교 졸업생의 진로 실태를 취업률 중심으로 제시하면, 시각장애학교 졸업생 36.8%, 청각장애학교 졸업생 45.4%, 지체부자유학교 졸업생 35.1%, 정신지체 및 정서장애학교 졸업생 31.7%, 특수학급 졸업생 39.5%로 나타났다. 한편, 졸업생의 연도별 추이를 취업률 중심으로 제시하면, 2001년도 졸업생 45.3%, 2002년도 졸업생 32.8%, 2003년도 졸업생 32.2%, 2004년도 졸업생 31.3%, 2005년도 졸업생 33.8%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전반에서, 미취업자는 가족과 함께 생활하지 않은 장애성인이 많고, 학교 졸업이후 무직상태가 지속되고, 직장생활을 원하지만 특별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취업자의 경우,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그 자체의 만족도를 제외하고는 고용상황 전반이 열악하고, 직장의 직무수행에 다소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고, 직장의 이직률이 높지만 적절한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하며, 직장의 적응 · 유지를 위한 직업훈련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고, 현 수준보다 높은 임금을 지급하는 안정된 직장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직장 생활의 직무수행 효율화를 위하여 장애인식 개선 혹은 장애인편의시설 확충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 지원체제 구축을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 지원체제 구축 방안은 진로교육 대상자의 ‘개별성’과 진로발달 단계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진로 관련 기관간의 ‘협력성’을 강조하는 진로 지원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방향성을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첫째, 학령기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직업 · 진로교육 실시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 특수교육 진로관련 다양한 용어들을 정비하고, 직업 · 진로 관련 법규의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며, 개별화교육계획(IEP)에 개별화전환계획(ITP)이 포함되도록 하는 법규의 재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단위 특수학교(급)에서 진로교육이 시스템적으로 실천되도록 하는 토대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현행 특수교육 직업 및 진로 관련 교육과정의 현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행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 교육실시 시기를 앞당기고, 선택중심 교육과정 ‘전문선택’의 이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서 현실성 있고 실제적인 단위 학교의 직업 및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한편, 특수학급 재학생들의 직업 및 진로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근거를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에 마련하고, 다양한 교과에 산재된 진로관련 내용을 지도할 수 있도록 교사용 지도서를 제작 · 배부하여 활용토록 해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방법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다. 직업 · 진로교육을 위한 일관성 있는 모형을 마련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진로교육의 효율적인 실시를 위하여 평가체제 및 평가주체를 명확히 확립하고, 직업 · 진로교육의 효율적인 실시를 위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또한,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직업 및 진로교육은 현장친화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상의 변화를 모색해야 하며, 현장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진로교육 모델을 개발하여 개별학생들의 요구와 필요가 충족되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졸업 시 진로선택의 역량 및 지원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서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로를 유지 · 발전시킬 수 있도록 그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가족이 학교의 진로교육, 지역의 진로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의 계획 · 실행 · 평가 전반의 과정에 효율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해야 한다. 한편, 학교와 지역의 직업 · 진로관련 기관 및 인사 간을 연계하는 가칭 ‘연계 및 협력 조력자’를 양성하여 활용토록 해야 한다. 다섯째, 장애성인의 지역사회에서의 효율적인 진로 지원을 위하여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수학교(급) 고등부를 졸업한 대학진학자와 미취업자는 항시 취업대기자이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대학 당국과 평생교육기관에서의 진로 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특수학교(급) 고등부를 졸업한 취업자를 위해서는 직업 적응 및 유지, 직업 이동을 위한 준비 프로그램, 인턴 프로그램, 사후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국가는 범정부 차원의 특수교육 대상학생 직업 및 진로 촉진을 위한 추진 기구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장애학생 및 장애성인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기구와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지원은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목표를 두고, 진로 대상자의 개별성과 진로발달 단계의 연속성, 관련 기관간의 연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학령기, 졸업시점, 학령기 이후가 통합된 적절한 지원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이와 같은 진로 지원체제가 현실성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된다면, 대부분의 일반인이 그렇듯 장애인도 직업을 가지고, 일과 노동의 댓가로 보수를 받으며, 받은 보수로서 세금을 납부 하면서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고, 가정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만족감을 가지며 살아가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and practices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ctual career status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several ways. First, by reviewing the related research and the literature, the analytical frame for the actual career status was developed and the considerabl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were identified. Second, the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to overview and to analyze the actual career status of the students who graduated special education high schools over the last 5 years. Thir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the future directions and best practices for the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were suggested. First, the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e subjects were 1,334 high school graduates from both 120 nation-wide special education schools (these schools include the course of high school) and 161 special education classes among 281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s from 2001 to 2005.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chool graduate lists. And they were 11.1% of the total graduates both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es over the last 5 years.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by mailing the questionnaires in returning envelops.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by the 176 teachers who served as research committee members of the KISE. The teachers conducted in-depth surveys and interviews by calling on the graduates who belonged to their local school distric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35.2% of the graduates were employed and 64.8% were unemployed (staying at home, living in th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lf-employed, and attending college or universities). The survey results according to the schools classified by the disabilities indicated the following employment rate; 36.8% of the graduates from the school for the visual impairments, 45.4% of the graduates from the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ments, 35.1% of the graduates from the school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31.7% of the graduates from the school for the mental retardation and emotional disorders, and 39.5% of the graduates from the special education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 employment rate were different by the year; 45.3% of the graduates in 2001, 32.8% in 2002, 32.2% in 2003, 31.3% in 2004, and 33.8% in 2005. In general, the actual career status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ith disabilities over the last 5 years were identified for the unemployed graduates; a) many unemployed graduates did not live with their family; b) the status of unemployment went on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c) most unemployed graduates wanted to have occupations, but there were little support for employment, such a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d) their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in life was low. Meanwhile, the employed graduates also indicated that their employment condition was poor, except the fact that they had some satisfaction for them to have jobs. The actual career status for the employed graduates we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a) their overall employment condition was poor; b) they felt some difficulties for carrying out their jobs; c) a change of occupation rates were high without proper support, d) there were little job training for adapting a new workplace and for maintaining their current jobs; d)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for stable jobs with better wages than their current jobs; and e) they also requested for improving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for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and the 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eir work efficiency. Based on these findings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ith disabilities, the future directions and practices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are suggested; a) the individualities of each student with disabilities and the continuity of career development are ensured, and b) the collaboration among schools, the community resources, and the employment agencies are emphas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raw a concrete plan in the following. First, the found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services should be established firml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chool. It is necessary to compile the glossary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career services, and transition in special education. It is also required to amend and make law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services, and to mandate the TP(Individual Transition Plan) to be included in the IEP(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se laws and policies, a firm basis for the systematic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Second, the present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related curriculum should be actualized. The 'vocational course' of the 7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taught earlier, the 'specific elective courses' from the choice-based basic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implement the school-based vocational career education curriculum practically and realistically. At the same time, these suggestions should be manda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acher's manual should be prepared and distributed for teachers to effectively guide students for their vocation and career preparation. Third, the vocational education teach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improved. The consistent model for th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as well as the effective assessment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the professionals should be trained and be placed in school. Moreover, the model for th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utilize the field-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Especially, the field-based model needs to be diverse in order to meet the individual students' needs. Fourth,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he ability and to support the career choices of students at the time of gradu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ally make better for their self-decision ability. Through their self-decision ability, they can make their career choices and strengthen the ability to keep and develop their chosen careers. In addition, the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should be supported in order to participate effectively in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whol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the assessment for the career support within the community. Therefore, the 'transition coordinator', who can make connections and cooperations among schools, community resources, and the employment agencies, should be trained and utilized. Fifth, a variety of supportive program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 career supports in the communities. Since the students who went to college or universities after graduating special education high schools(classes) and the unemployed high school graduates are potential employees, the university authorities and the continuing education agencies must have a variety of supportive programs for them. Besides, it is essential to have specific programs for a job adaptation and sustainment, job preparation program for a career change, various internship programs, and the follow-up program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have the special organization for promoting the employmen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dults with disabilities as well.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he improvement of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based on the individuality of each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 continuity of career development stages, and the inter-agency collaboration, the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should be integrated throughout the schools years, at the time of graduation, and after the graduation. If the suggested comprehensive career support system are to be implemented effectively within each school and each classroom,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have occupations, get paid for the work they do, pay the taxes, have families, and contribute to the community and the nation with a feeling of great satisfaction, just as the most people without disabilities do.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장학 활동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기대와 장학사의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정희섭,이미선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한국교육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examine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expectation levels of school inspectors' roles who are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supervision, and school inspectors' perception levels of their role performance in special education supervision;and (2)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policy development that will help improve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supervision in our countr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one questionnaire composed of items regarding four areas such as school management, curriculum, instruction, and administration was developed, and it was implemented to 166 school inspecto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supervision, 168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and 140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from 180 local education distri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expectation levels of school inspectors' ro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in most areas which were surveyed. Second, the total level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expectation of school inspectors' ro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school inspectors' perception of their role performance across all the areas which were surveyed. The results indicat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role expectation by special class teachers and those of the perception of role performance by school inspectors suggest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roles of school inspecto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supervision;and that it is needed to differentiate the functions, contents and methods of special education supervi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uture policy tasks to allow school inspecto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supervision to meet special class teachers' expectation in special education supervision.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장학활동이 일선 특수학급 교사들의 기대에 얼마나 부응하여 소기의 성과를 얻고 있는지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즉, 현실로서 실천되고 있는 특수교육 장학에 대해서 초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장학사에 대한 역할 기대와 장학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지각 반응 및 그 차이를 밝히는 것이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장학활동의 개선을 위한 참조자료를 제시하는데 있었다. 장학사가 수행하는 특수교육 장학활동을 학교경영 장학, 교육과정 장학, 수업 장학, 행정적 업무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그 영역별로 하위 조사문항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전국 180개 지역교육청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 166명, 초등 특수학급 교사 168명, 중등 특수학급 교사 140명이 응답하여 자료처리 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육 장학활동의 각 영역에 대한 초중등 특수교사 집단간에 장학사에 대한 역할기대 수준 및 내용에 차이가 있었고,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기대와 장학사의 역할 수행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특수교육 장학활동의 효율화를 위한 장학사의 임용배치체제재교육 등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에 근거한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정희섭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3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how to manag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logic of curriculum at the point to emphasize competence-based education. For this, the background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practice in the school were reviewed, and suggestions for managing basic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e for students with cognitive disability were explo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students with cognitive disability, managing basic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ing the expanded competency category. Second, for recognizing the actual status and responding the problems, intra- and inter-convergence and integration among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Third, teaching methods for large participation by students should be applied, and linked educa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school should be made. Fourth, process-focused educational evaluation for assessing performances with various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Fifth, obligation of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by building educational system for managing competences for disabled students. And, the study suggested additional topics for future studies such as re-conceptualization of competence for students with cognitive disability to be applied with basic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sis of core competence, and exploration of possibilities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본 연구는 역량 교육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교육과정 논리에 근거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학교 현장 실천과정에서의 교육적 특성을 검토하고, 인지적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역량기반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해서 확장된 역량 범주를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실생활 사태와 문제의 대처능력을 위하여 교과 내 및 교과 간의 융합 및 통합이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참여가 많은 수업방법이 적용되고 학교 안과 밖의 연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과정중심 교육평가가 개발되어 실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장애학생들의 역량을 관리해 주는 교육 시스템 구축으로 교육의 책무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해야 하는 인지적 장애학생을 위한 역량의 재개념화, 핵심 역량요소 분석, 역량기반 교육의 가능성 탐색 등의 추가적인 후속 연구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Atypical Presentation of Hereditary Neuropathy with Liability to Pressure Palsy: A Case Report

        정희섭,신희동,이승화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21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23 No.1

        Hereditary neuropathy with liability to pressure palsy (HNPP) is an autosomal dominant peripheral nerve disorder that typically presents clinically as recurrent painless numbness and weakness at the entrapment site or areas susceptible to pressure. Less commonly, the disorder may clinically present as progressive polyneuropathy, chronic polyneuropathy, Charco-Marie- Tooth disease-like symptoms, or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like disorder. One case has been reported in which HNPP presented as progressive muscular atrophy in old age. Herein, we report a late-onset HNPP patient who presented with slowly progressing lower motor neuron-predominant motor neuron disease, which resulted in death due to bulbar dysfunction 7 years post-diagnosis. Therefore, we propose that the clinical spectrum of HNPP may be broader than current reports suggest.

      • KCI등재후보

        한국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개선 방향

        정희섭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aims at extracting main issues of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ing directions of its improvement. For this, books, articles, policies sources and field opinions mentioning and discussing theoretical reviews and actual argument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by categorizing into man issu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as follows: First, remarkable main issues were those of balance between governmental control and school's discretion, suitability of basic curriculum contents, level of supplement for common curriculum, efficiency of running elective curriculum and methods to develop textbook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based on a fundamental principle to support 'universality' of general education and to enhance 'specificity' of special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both common and elective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as 'focusing on support' and that basic curriculum should focus on 'characteristic'. And for a future task, based on quality of life for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and suitability of school education, thorough inspection on outcomes and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has enhanced universality should be done. 이 연구는 국가수준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을 추출하고, 그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실제적 주장을 언급 및 논의하고 있는 저서, 논문, 정책자료, 현장의견 등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주요 쟁점과 개선 방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각된 주요 쟁점은 국가 통제권과 학교 재량권 분배 쟁점, 기본 교육과정 교과내용의 적정성 쟁점, 공통 교육과정 보완 수준 쟁점, 선택 교육과정의 운영 효율성 쟁점, 특수학교 교과용 도서의 개발방식 쟁점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향후 개선 방향은 일반교육의 ‘보편성’을 지원하고 특수교육의 ‘특수성’을 강화하는 기본 원칙을 전제로 공통 및 선택 교육과정은 ‘지원(support) 중심’의 교육과정이 되도록 개정하고, 기본 교육과정은 '특성(characteristic) 중심'의 교육과정이 되도록 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향후 과제로는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삶의 질, 학교 교육의 적합성을 기준으로 그 동안의 보편성을 강화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성과 및 효과에 대한 면밀한 점검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