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orrey-Nilil'skilˇ 부등식과 BMO 공간에서의 Hardy-Littlewood Maximal 함수에 관한 연구

        정희동 空軍士官學校 1984 論文集 Vol.19 No.-

        B. Muckenhoupt [10]는 1<P<∞인 경우 A_∞(R^n)=U_P<∞A_P(R^n)가 성립함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극한의 성질을 이용하여 1<P<∞인 P를 1 또는 ∞로 접근시킴으로써 A,(R^n), A_∞(R^n)을 새로운 방법으로 정의하여 Orlicz function space의 flatness에 대한 특성을 확장시켰다. 또한 Morrey-Nikol'skilˇ 부등식을 이용하여 BMO 공간의 sharp 함수의 특성, 즉 f_p^#≤CK^P가 성립함을 보였으며, VMO, Lipschitz공간과의 관계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동해안 조간대 3개 지역에서 해조류의 군집과 생물지표종

        정희동,홍성익,김상우,한명석,장성호,Jeong, Hee-Dong,Hong, Sung-Eic,Kim, Sang-Woo,Han, Myung-Seog,Jang, Seong-H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동해 북부지역 거진, 중부지역 죽변 및 남부지역 감포의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해조상의 지리적 종조성과 우점종 및 서식 특성을 2014년 5월과 8월에 조사하였다. 해조상의 지리적 종조성을 보면 거진, 죽변 및 감포는 모두 온대성 해조상의 특성으로서 거진은 구멍갈파래(Ulva pertusa), 염주말(Chaetomorpha moniligera)이 우점하였고, 죽변은 염주말(C. moniligera), 개서실(Chondria crassicaulis)이 우점하였다. 그리고 감포는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구멍갈파래(U. pertusa), 솜털류(Ectocarpus sp.)가 우점하였다. 지역별 해조상을 대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C/P, R/P와 (R+C)/P의 비율에서 거진은 각각 0.85, 2.10, 2.94, 죽변은 각각 0.58, 3.15, 3.73 그리고 감포는 각각 0.80, 3.91, 4.71로 전체 지역이 온대성 특성의 해조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군집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이들 지역은 거진의 A 그룹과 죽변과 감포 지역의 B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이것은 지리적 종조성에서 죽변과 감포는 거진보다 온대성 해조상 특성이 강하게 반영되어 나타났다. We have been studied for geographic distribution, dominance and inhabitation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l species at intertidal zones of Geojin in the northern part of east coast of Korea, Jukbyeon in the middle part and Gampo in the southern part in May and August 2014. For the geographic distribution, the three areas (Geojin, Jukbyeon and Gampo) were a characteristic of the temperate region. Geojin dominated with Ulva pertusa and Chaetomorpha moniligera, Jukbyeon dominated with C. moniligera and Chondria crassicaulis, Gampo dominated with Sargassum thunbergii, U. pertusa and Ectocarpus species. C/P, R/P and (R+C)/P, which can represent the marine algal flora, were 0.85, 2.10, 2.94 in Geojin, 0.58, 3.15, 3.73 in Jukbyeon and 0.80, 3.91, 4.71 in Gampo.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ose regions were divided in two groups, which were a group A of Geojin and group B of Jukbyeon and Gampo. This result was well matched with Jukbyeon and Gampo shared their temperate region character i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study.

      • KCI등재

        동해 남서부 해역 표층염분의 시계열 변동

        정희동,김상우,임진욱,최용규,박종화,Jeong, Hee-Dong,Kim, Sang-Woo,Lim, Jin-Wook,Choi, Yong-Kyu,Park, Jong-Hwa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4

        동해 남서부에 위치한 강릉-울릉도간 해역에서 정기여객선 씨스타호에 수온, 염분 및 클로로필a 형광센서를 설치하고 2012년 7월부터 2013년9월까지 북한한류와 동한난류역을 가로질러 매일 왕복조사를 수행하여 해수물성을 연속관측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염분과 클로로필a 형광 기록과 동해정선관측 및 환경측정망조사 결과, AVISO의 일별 표면해류도 그리고 GOCI 클로로필a 영상을 이용하여 표층해역의 염분 시계열 변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6월부터 10월까지 강릉-울릉도간 표층 해역에 염분범위 33.15~34.12의 고염분수역이 주로 환류의 중간해역이나 강한 북향류의 서쪽 경계역에서 나타났다. 이 수역의 서쪽에는 최저 염분범위가 30.58~33.20로 남향류를 수반하였고 동쪽은 31.30~33.24로 북향류가 수반되었다. 서쪽의 저염분수는 남하하는 북한한류수의 표층수이며, 동쪽의 저염분수는 북상하는 대마난류 표층수이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북한한류수의 최저염분은 30.36이었으며, 서쪽 저염분수의 동쪽 한계는 강릉 동쪽 약 110 km지점까지, 남쪽으로는 죽변 연안까지 수심 약 5~10 m 이천에서 33.00이하로 분포하였다. 이 저염분수는 하계에 양자강희석수의 혼합으로 저염화된 대마난류 표층수가 북상하면서 수송하는 담수의 규모에 비하여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것을 본 연구에서는 북한한류수 기원 하계 표층수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An instrumented ferry made two transects per day across two current systems which are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a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over the years 2012-2013 from Gangneung to Ulleungdo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Seawater properties of these transects were measured with high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Here the salinity records from the transects with the oceanographic observation data from East Sea Fisheries Institute of NFRDI, AVISO daily current chart and GOCI Chlorophyll-a image in 2012 and 2013 are used to study the time-series variation of salinity at the surface. The high salinity section with the range of 33.15~34.12 occurred on the transect mainly in the middle of eddy, and western boundary of strong northward current from June to October. We can found low salinity waters in both sides of the high salinity sec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western low salinity waters with the range of 30.58~33.20 accompanied by southward current were derived from the NKCC and the eastern waters with the range of 31.30~33.24 accompanied by northward current were derived from the Tsushima Surface Water. The lowest salinity of NKCC is confirmed in this study as 30.36. It is found that the western waters below 33.00 extended extremely toward the east about 110 km area from Gangneung and toward the south around Jukbyon coastal area as a 5~10 m layer. We can find its volume of low saline waters transport is not neglectable compared with that of Tsushima Current region in the western part of the East Sea. In this study we named it as the North Korean Low Saline Surface Water in summer.

      • KCI등재

        한반도 근해 수온 및 염분의 장기변화 추이

        정희동,황재동,정규귀,허승,성기탁,고우진,양준용,김상우,Jeong, Hee-Dong,Hwang, Jae-Dong,Jung, Kyu-Kui,Heo, Seung,Sung, Ki-Tach,Go, Woo-Jin,Yang, Jun-Yong,Kim, Sang-W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9 No.2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장기간 관측한 정선해양관측자료와 연안정지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주변해역의 수온과 염분의 장기변화경향과 수층별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장기변화의 분석결과 한국연안수온은 하계냉수역이 발생하는 한국남서연안을 제외하고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수온은 동해의 경우 표층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와 l00m 수층은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해의 경우 전 수층에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상승하나 50m 수층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염분은 동해의 경우 표층에서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l 수층 하강정도가 미미하게 나타났다. 남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m 와 l0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모두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층별 상관성을 보면 수온의 경우 동해와 남해에서 50m 수층과 10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나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의 경우 동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남해에서는 50m 와 l00m 수층이, 서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The long­term trend and inter­relationship with depth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coastal waters of Korea are studied using coastal oceanographic observation and serial oceanographic data measured by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Temperature of coastal waters of Korea except south­western sea of Korea where cold water appears to increase in summer. In case of temperature offshore, surface temperature of East Sea increases, the reverse, for 50m and 100m decreases. Temperature in South Sea of Korea increases in whole depth and for the Yellow Sea, surface temperature increases, but for 50m decreases. In case of salinity offshore, surface salinity of East Sea decreases, but for 50m increases. Surface salinity in South Sea of Korea decreases, the reverse, form 50m and 100m increases. salinity in the Yellow Sea decrease in whole dep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ter­relationship analysis, for temperature relationship coefficients of 50m and 100m in the East Sea and South Sea of Korea is higher, however, for the Yellow sea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50m and 100m is lower. In case of salinit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nd 50m, and for the South Sea of Korea, between 50m and 100m, and for the Yellow Sea, between surface and 50m is higher.

      • KCI등재

        동해안 연안양식장 주변해역의 해양학적 특성

        정희동,김상우,권기영,임진욱,권철휘,Jeong, Hee-Dong,Kim, Sang-Woo,Kwon, Kee-Young,Lim, Jin-Wook,Kwoun, Chul-Hui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4

        동해 연안양식장 주변해역의 월별 변화에 따른 수괴의 분포와 생물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짝수 월(2-12월)에 속초, 죽변, 감포 연안의 3개 지점에서 CTD 관측과 함께 용존산소(DO), 클로로필 a(Chl-a), 질산염과 인산염의 N/P 비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속초, 죽변 및 감포 해역에 대한 등밀도선 위의 수온(T)-염분(S)도로 수괴를 분석한 결과, 이들 해역은 대마난류 표층수, 대마난류 중층수 및 북한한류수로 나타났다. 이들 수괴에서 수온과 염분의 분포 범위를 보면, 대마난류 표층수는 수온 $20-28.3^{\circ}C$와 염분 31.04-33.75, 대마난류 중층수는 수온 $8.1-16.3^{\circ}C$와 염분 33.00-34.49, 북한한류수는 수온 $1.8-9.4^{\circ}C$와 염분 33.78-34.42를 나타내었다. DO는 동계(12월, 2월)에 남에서 북, 봄철(4월, 6월)과 가을철(10월)에는 상층에서 하층, 하계(8월)는 중층을 중심으로 상하층으로 갈수록 그 농도가 높았다. Chl-a 농도는 동계(2월), 춘계(4월), 추계(10월-12월)에 $0.4{\mu}g/L$ 이하로 낮았고, 6-8월은 다른 월에 비해 고농도가 넓게 분포하였다. 특히, 감포는 8월에 강한 수온과 염분의 약층이 형성된 곳에서 띠 형태로 $2{\mu}g/L$ 이상의 고농도가 분포하였다. N/P 비는 2-6월과 12월은 전반적으로 그 비가 16 이하로 질산염이 영양염의 제한요소로 작용하였고, 8-10월은 그 비가 16 이상으로 연안 부근에서 인산염이 영양염의 제한 요소로 작용한 곳이 많이 나타났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ceanic environment in the coastal aquaculture waters of the East Sea, the observation of the CTD (temperature and salinity), dissolved oxygen, chlorophyll a and N/P (DIN ($NO_2$-N, $NO_3$-N, $NH_4$-N) : DIP($PO_4$-P)) ratio was carried out at Sokcho, Jukbyon and Gampo in February, April, June, August, October, December 2013. Based on T(temperature)-S(salinity) diagram analysis, the water masses in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3 groups; Tsushima Surface Water (TSW: $20-28.3^{\circ}C$ temperatures and 31.04-33.75 salinities), Tsushima Middle Water (TMW: $8.1-16.3^{\circ}C$ and 33.00-34.49), and North Korean Cold Water (NKCW: $1.8-9.4^{\circ}C$ and 33.78-34.42). In winter, DO concentrations in the northern part were higher than those in southern part. In spring and fall, they were low in the surface layer, and increased in summer. Chl-a concentrations < $0.4{\mu}g/L$ dominated in February, April, October and December. Chl-a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June and August. In particular, the highest Chl-a concentration > $2{\mu}g/L$ was observed in the middle layer of Gampo in August. In February, April, June and December, the N/P ratio in the most of the water masses was less than the Redfield ratio (16), indicating that nitrate did act as a limiting factor in phytoplankton growth. On the contrary, in August and October, the N/P ratio in surface and sub-surface layer was greater than the Redfield ratio, suggesting that phosphate was a limiting factor.

      • KCI등재후보

        한국 남서해역에서 조석전선의 변동과 저수온역 확장기작

        정희동,권철휘,김상우,조규대,Jeong, Hee-Dong,Kwoun, Chul-Hui,Kim, Sang-Woo,Cho, Kyu-Dae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장기 해양관측(1966-1995)자료, 위성관측자료 및 수치모델기법을 이용하여 한국 남서해역에서 하계에 형성되는 조석전선괴 저수온역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였다. 한국 남서 연안해역에서는 6월과 8월에 대흑산도~진도간 해역의 표면에서 주변 해역보다 $2{\sim}3^{\circ}C$ 낮은 저수온역이 분포하면서 조석전선역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온수평경도가 $0.3^{\circ}C$/km 이상인 조석전선은 성층계수 2.0~2.5 범위이며, $0.03^{\circ}C$/km 이상인 저수온역은 성층계수 2.5~3.0의 범위와 일치하였다. 소조시에서 대조시까지 조석주기가 변하는 동안 조석전선의 위치변동은 전선은 25~75km, 저수온역의 범위는 60~90km로 조류의 세기에 정비례하여 이동 범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서쪽 외해역으로 저수온역이 확장되는 원인은 진도 남서쪽으로 향하는 10cm/s 이상의 강한 조석잔차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appearance and variation of cold water area and its expansion mechanism of tidal front in the south western coast of Korea in summer were studied on the basis of oceanographic data(1966-1995), satellite images from NOAA and SeaWiFs and numerical model. Cold water appearance in southwestern field of Jindo was due to the vertical mixing by strong tidal current. Tidal front where horizontal gradient of water temperature was more than $0.3^{\circ}C$/km parallels to contours of H/$U^3$ parameter 2.0~2.5 and the outer boundary of cold water region corresponds with contours of the parameter 2.5~3.0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during the period between neap and spring tides. The position replacement of tidal front formed in the study ares varies in a range of 25~75km and cold water region extends about 90km. These suggest that the magnitude of variation of frontal position and cold water area was proportionate to the tidal current during lunar tidal cycle. Moreover, it was estimated that the southwestward expansion of cold water region was derived from the southwestward tide-induced residual currents with speed more than 10cm/s.

      • KCI등재
      • KCI등재

        Review of Metasurfaces with Extraordinary Flat Optic Functionalities

        정희동,김현태,이승열 한국광학회 2024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8 No.1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review of metasurface technology, focusing on its significant role in extraordinary flat optic functionalities. Traditional optical components, though optimized, are bulky and less congruent with modern integrated electromagnetic and photonic systems. Metasurfaces, recognized as the 2D counterparts of bulk metamaterials, offer solutions with their planar, ultra-thin, and lightweight structures. Their meta-atoms are adept at introducing abrupt shifts in optical properties, paving the way for high-precision light manipulation. By introducing the key design principles of these meta-atoms, such as the magnetic dipole and Pancharatnam–Berry phase, various applications in wavefront shaping and beam forming with simple amplitude/phase manipulation and advanced applications including retroreflectors, Janus metasurfaces, multiplexing of optical wavefronts, data encryption, and metasurfaces for quantum applications are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