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irst Report of Two Diogenid Species of Hermit Crabs (Crustacea: Decapoda: Anomura) from Korea

        정지범,김원 한국동물분류학회 2015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1 No.2

        Two diogenid hermit crab species, Dardanus lagopodes and Diogenes deflectomanus, are newly reported from Korea. Dardanus lagopodes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species of genus Dardanus in Korea by having setae with cream-colored tips on the cephalothorax a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cular peduncles somewhat longer than antennular peduncles, and the pereopod without a longitudinal sulcus and scute-like projections. Diogenes deflectomanus is similar to D. nitidimanus but can be distinguished by having the fixed finger of the left cheliped bent slightly downwardly a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slightly shorter ocular peduncle, elongated left cheliped with small granules on the surface, right cheliped without calcareous teeth on the cutting edge of the dactylus, and the minute spine of post-median margin of the telson is not well develope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these two species are extended by the present study. In particular, D. deflectomanus in the current study is the first report outside Chinese waters. Now, 20 species of the family Diogenidae are known in Korean waters.

      • KCI등재

        광고실행요소와 조절초점성향간의 적합성이소비자의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실행요소 중 모델과 메시지를 중심으로

        정지범,허종호 한국경영학회 2015 經營學硏究 Vol.44 No.6

        To raise the advertising effects significantly, grasping the dynamics that the variables surrounding models, messages, media, and audiences have toward one another is crucial. Thus, this research has placed focus on the elements of models and messages among the key implementation elements for advertising and looked into the possible impact on the regulatory fit between model attributes, message type and chronic regulatory focu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To verify the abovementioned hypothese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wo stages. <Experiment 1> utilized a 2(model attributes: attractive models vs. credible models) x 2(chronic regulatory focus: promotionfocused vs. prevention-focused) between-factorial design and identifi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del attributes and chronic regulatory focus. <Experiment 2> used a 2 (message type: hedonic vs. utilitarian) x 2 (chronic regulatory focus: promotion-focused vs. prevention-focused) between-factorial design and figured ou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type and chronic regulatory focu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del attributes and chronic regulatory focus was significant. For elaborate verification, simple main effect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results indicating the following: The attitude toward attractive model advertising turned out to be more favorable among promotion-focused consumers than among prevention-focused ones, whereas the attitude toward credible model advertising proved to be more favorable among prevention-focused consumers than among promotion-focused ones. Hypotheses 1a and 1b regard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del attributes and chronic regulatory focus have both been supported. Second,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type and chronic regulatory focus has proven to be significant. For elaborate verification, simple main effect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results indicating the following: The attitude toward hedonic message advertising turned out to be more favorable among promotion-focused consumers than among prevention-focused ones, whereas the attitude toward utilitarian message advertising proved to be more favorable among prevention-focused consumers than among promotion-focused ones. Hypotheses 2a and 2b regard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del attributes and chronic regulatory focus have both been supported. Theoretically, this research is groundbreaking in the sense that it has expanded the horizon of research on advertising based on the regulatory focus theory through the notions of models and messages neglected in existing research. It is also very meaningful in terms of practicality since it can serve as a guideline for ad production - such as model selection and message appeal - to those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of advertising 광고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모델, 메시지, 매체, 수용자 등을 둘러싼 관련 변인간의 역동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광고실행요소 중 모델과 메시지에 초점을 두고 모델 속성, 메시지 유형과 조절초점성향간의 적합성이 소비자의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은 모두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실험 1>에서는 2(모델 속성: 매력성 모델 vs. 신뢰성 모델) X 2 (조절초점성향: 향상초점성향 vs. 예방초점성향) 집단간 실험설계를 적용하여 모델 속성과 조절초점성향간의상호작용효과에 대해 규명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2(메시지 유형: 쾌락적 메시지 vs. 실용적 메시지) X 2(조절초점성향: 향상초점성향 vs. 예방초점성향) 집단간 실험설계를 적용하여 메시지 유형과 조절초점성향간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태도에 있어서 모델 속성과 조절초점성향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단순 주효과 분석결과, 매력성 모델 광고에 대한 태도는 예방초점성향의 소비자에 비해 향상초점성향의 소비자에서 더 호의적이었으며, 신뢰성 모델 광고에 대한 태도는 향상초점성향의 소비자에 비해 예방초점성향의 소비자에서 더 호의적이었다. 따라서 모델 속성과 조절초점성향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본 연구의 가설 1a와 1b는 모두 지지되었다. 둘째, 광고태도에 있어서 메시지 유형과 조절초점성향간의 상호작용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단순 주효과 분석결과 쾌락적 메시지 광고에 대한 태도는 예방초점성향의 소비자에 비해 향상초점성향의 소비자에서 더 호의적이었으며, 실용적 메시지 광고에 대한 태도는 향상초점성향의 소비자에 비해 예방초점성향의 소비자에서더 호의적이었다. 따라서 메시지 유형과 조절초점성향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본 연구의 가설 2a와 2b 도 모두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모델과 메시지로 조절초점이론기반의 광고연구 영역을 확장, 새로운 연구영역의 물꼬를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이를 계기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파생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발견은 광고제작 시 모델의 선정 및 메시지 소구에 필요한 지침을 현업 광고 실무자들에게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A New Report of Two Species of Pagurid Hermit Crabs (Crustacea: Decapoda: Anomura) from Korea

        정지범,김원 한국동물분류학회 2014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0 No.1

        Pagurus undosus and Pagurus parvispina, collected from the East Sea by fishery trap, are newly recordedfrom Korean waters. Pagurus undosus is distinguished from other hermit crab by its right cheliped slightlyelevated medially, and with broad ridge formed by deep depressions mesial and lateral to midline. Pagurusparvispina is distinguished from other hermit crab by its right cheliped covered with large spine and long tuftsof setae. These species live in cold water areas and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is extended southwardly bythe present study. A specimen of the former species, P. undosus, was found living in a shelter formed by asponge, similar to that observed in Pagurus pectinatus. Descriptions and figures of these two species areprovided in this paper. Currently, 27 species of the genus Pagurus are recorded in Korean fauna.

      • 4G 진화에서 WiBro와 3G LTE의 표준화 전략 고찰

        정지범 대한산업공학회 2009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5

        우리나라는 CDMA 원천 기술개발을 통해 자체적인 이동통신 산업 성장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WiBro 기술을 개발하였으나, CDMA 기술과 시장의 연속성 부재, 4G 국제 표준 경쟁의 심화 등 대내외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최근 WiBro를 중심으로한 우리나라의 4G 시장 주도권 확보 경쟁에서 대내외 위협요인들이 대두되고 있다. 2G 서비스 시장에서 CDMA의 복수표준이자 경쟁기술인 GSM 계열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4G 표준 후보기술인 WiBro의 유력한 경쟁 기술인 GSM 계열의 LTE가 4G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CDMA 이동통신 강국의 이미지를 확보하고 이를 통한 휴대폰 등의 수출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CDMA 기술의 단절 및 시장 몰락이 가속화되고 있고, 4G 국제표준 경쟁에서 복잡한 이해관계에 따른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표준화 분석 및 대응방안 강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