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PMIC용 넓은 동작전압 영역을 갖는 eFuse OTP 설계
정우영,학문초,하판봉,김영희,Jeong, Woo-Young,Hao, Wen-Chao,Ha, Pan-Bong,Kim, Young-H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1
In this paper, reliability is secured by sensing a post-program resistance of several tens of kilo ohms and restricting a read current flowing over an unblown eFuse within $100{\mu}A$ since RWL driver and BL pull-up load circuits using a regulated voltage of V2V ($=2V{\pm}10%$) are proposed to have a wide operating voltage range for eFuse OTP memory. Also, when a comparison of a cell array of 1 row ${\times}$ 32 columns with that of 4 rows ${\times}$ 8 columns is done, the layout size of 4 rows ${\times}$ 8 columns is smaller with $187.065{\mu}m{\times}94.525{\mu}m$ ($=0.01768mm^2$) than that of 1 row ${\times}$ 32 columns with $735.96{\mu}m{\times}61.605{\mu}m$ ($=0.04534mm^2$).
정우영(JEONG, Woo-You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4 No.4
신탁법은 영미법 고유의 발전과정에서 탄생한 법리로서 대륙법계 국가에서는 생소한 법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일본을 통하여 영미신탁법을 도입한 역사적 특수성이 있다. 신탁법의 입법모델인 일본 신탁법이 시장친화적이라기보다는 신탁회사에 대한 규제적 색채가 강한 법으로 출발한 점, 그리하여 신탁법 자체가 규제적이고 포괄적인 신탁업 규제가 결합되어 재산관리수단으로서의 민사신탁의 활성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물론 상사신탁의 발전과 대비되는 민사신탁의 허약한 기반의 원인이 신탁업 위주의 규제라고 할 수 있지만, 그동안 인가받은 신탁업자만이 신탁을 영위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신탁업자가 영업으로서 계속 반복하여 영위하는 상사신탁 외의 영역에서는 신탁법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지 않았다는 점도 원인이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재산관리수단으로서의 민사신탁의 가능성과 규율에 주목하여 먼저 민사신탁과 다른 상사신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민사신탁에 관한 금융규제의 적용 여부와 그 한계를 검토하였다. 신탁은 신탁재산의 독립이라는 관점에서의 도산격리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재산관리제도로서 그 기능과 역할은 매우 다양하여 신탁의 유연성으로 인해 그 기능적 다양성은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신탁법이 민사신탁에 대한 기본법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첫째, 민사신탁과 상사신탁의 특징을 고려한 합리적인 해석이 필요하고, 둘째, 민사신탁 수탁자는 영업성이 인정되어도 신탁업자와 같은 수준으로 규제하지 않아야 한다. Trust law is a legal principle born out of the unique development of British and American law, and is based on a legal concept that is unfamiliar to countries in the continental law system. Korea has a historical specificity in that it introduced the Anglo-American Trust Act through Japan. The Japanese Trust Act, which is the legislative model of the trust law, started as a law with a strong regulatory color for trust companies rather than market-friendly. Thus, the trust law itself was regulated and comprehensive trust business regulations were combined, so that the revitalization of private trust as a means of property management was not achieved at all.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cause of the weak foundation of civil trusts in contrast to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trusts is trust-oriented regulation. However,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rust Act to areas other than commercial trusts, where the trust business continues to operate repeatedly as a business, has not been considered as a cause, recognizing that only an authorized trust business entity can operate a trust.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thesis firs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trusts and other commercial trusts by focusing on the possibility and discipline of civil trusts as a means of property management. Next, the application of financial regulations on civil trusts and their limitations were reviewed. A trust is a proper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utilize the insolvency isolation fun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independence of trust property, and its functions and roles are very diverse. Therefore, in order for the trust law to function as the basic law for civil trusts, the following methods are required. First, a reasonable interpret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trusts and commercial trusts is required. Second, trustees of civil trusts should not be regulated at the same level as trust companies even if their business potential is recognized.
정우영 ( Woo Young Jeong ),이상경 ( Sang Kyeong Lee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0 부동산학연구 Vol.16 No.2
Since 1997 currency crisis, A high-rise mixed-use housing has been perceived as a differentiated residence type, compared to a ordinary apartment condominium. The representative domestic housing price index, KB Index, has been criticized not to catch market volatility properly due to appraised value usage. As a result, Government is trying to develop a transaction-based housing price index by using price data accumulated since January 2006. But a mixed-use housing is not classified in government price index, and thus we cannot notice it`s price movement.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reasonable transaction- based price index of the mixed-use housing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housing, reflecting them into the indices and assessing the indices utilizing a repeat sales model and a hedonic price model. The signal-to-noise ratio shows that the repeat sales model can more effectively reflect the market situation. Accordingly, a repeat sales model is believed to be more reasonable than a hedonic price model.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정우영(Jeong, Woo-Young),김희영(Kim, Hee-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과 관련된 전시기 국내 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나아가 핵심적인 주제와 전반적인 지식구조와 그 관계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을 통해 아버지 양육과 관련된 연구가 처음 실행된 1993년부터 2018년 4월까지 379편을 수집하였고, 최종 155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4년을 기준으로 연구물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키워드 빈도분석에서는 양육참여,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가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4년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키워드 네트워크의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연결중심성은 전기에 양육참여, 인구사회학적 배경, 양육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후기에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인접중심성은 전기에는 양육참여, 인구사회학적 배경, 양육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후기에는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우울 순으로 나타났다. 사이중심성은 전기에는 양육참여, 유아 친사회적 행동, 양육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후기에는 양육참여, 양육태도, 양육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위세중심성은 전기에는 양육참여, 인구 사회학적 배경,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으며, 후기에는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과 관련된 연구가 급증하는 현 시점에서 해당 주제와 관련된 학술지 연구 동향을 검토하고 향후 진행될 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관련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journals related to the parenting of fathers with early children by utiliz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n to identify key topics and the overall knowledge structure. For this purpose, 379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1993 to April 2018 through the Korea Educational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RISS) and the final 155 artic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es increased explosively in 2014 and in frequency analysis, parenting participation,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 mother parenting stress appeared most frequently. Secondly, we analyze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 network by dividing into 2014 and later. In the case of degree centrality, parenting involvement, population societal background and parenting behavior were shown in the former period. And in the latter period, parenting involvement, parenting stress and mother s parenting stress were in order. In the case of between centrality, parenting involvement, children pro - social behavior and parenting behavior were shown in order in the former period. And in the latter period, parenting involvement, parenting stress and mother s parenting stress were in order. In the case of closeness centrality, parenting involvement,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nd parenting behaviors were shown in order in the former period. And in the latter period, parenting involvement, mother 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s were in order. In the case of power centrality, parenting involvement,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background, and mother s parenting stress were in order in the former period. And in the latter period, parenting involvement, mother 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tress were ranked in order. These results have three meanings: First, at this time of rapid increase in studies related to parenting fathers with early children, we examined trends in the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the subject. Second it elicited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y and finally provided basic data on policies. Thes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esearch that will be carried out in relation to the father with early children.
독박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정우영(Jeong Woo-young),박성혜(Park Seong-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독박육아 경험에서 어머니가 인식하는 본인과 가족 구성원들의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현재 독박육아를 하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 24일부 터 5월 5일까지 연구 참여자 별로 2회씩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이 인식한 본인의 어려움은 잠시도 쉴 틈이 없는 하루의 반복과 수면 부족에이은 건강의 적신호, 아쉬운 육아 지원제도, 배울 곳이 없는 육아 방법, 경력단절과 복직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 구성원들이 겪는 어려움은 소원해진관계로 인한 남편과의 불협화음, 유일한 육아 지원자인 친정엄마에 대한 죄송한 마음, 불가능한 둘째 자녀 계획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독박육아를 하는 어머니와 가족 구성원들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입안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정책의 방향성 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difficulties of self and family members perceived by mother in the experiences of dedicated mother parenting, the so called ‘Dokbak’ parenting. To this end, six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who are currently in charge of parenting alon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to collect data for each study participants from February 24 to May 5, 2019. As research results, mothers perception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Dokbak’ parenting were revealed as follows: The red light of health following daily life repetition that can t rest at all and lack of sleep, the shortcomings in child care support systems, no place to learn parenting methods, and fear from career interruption and reinstatement. Difficulties encountered with family members, on the other hand, turned out to be a continued discord with their husband, always feeling sorry for their mothers, and impossible next child birth plan.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effective policy making for ‘Dokbak’ parenting mothers and their families, and provided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policy.
6차 산업을 활용한 농촌소멸완화계획 -양평군 청운면 삼성2리 유곡마을을 대상으로-
정우영 ( Jeong Woo Young ),정하준 ( Jeong Ha Jun ),이준석 ( Lee Jun Seok ),김종건 ( Kim Jonggun ),김기성 ( Kim Ki-sung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난 현대사회에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와 접목하여 새로운 삶의 질 및 가치를 창출하려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농촌 주민들에게 다른 도시민들과 동등한 수준의 서비스 및 복지시설을 제공하려는 시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농촌과 관련한 많은 노력과 시도들의 발목을 잡는 문제점이 바로 고령화이다. 그중 양평군 청운면 삼성 2리는 초고령화 현상의 문제를 겪고 있는데 이러한 고령화 문제로 인해 일각에서는 향후 20년 뒤에 농촌인구 비율이 8%대까지 추락을 전망하며 농촌 붕괴 현상이 현대의 문제로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농촌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통(‘공명’ 프로젝트)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명’ 프로젝트는 사람들과의 소통을 중심으로 농촌이라는 큰 이점을 살리면서 동시에 새 유입인구와 젊은이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사회문제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는 ‘신시대를 울려라’, ‘풍악을 울려라’, ‘마음을 울려라’의 3단계로 나눠 물리 용어의 공명을 영감으로 삼아 점점 더 큰 울림을 주는 컨셉이다. ‘신시대를 울려라’는 4차 산업혁명과 알맞은 농촌 주민들의 역량 강화 및 농촌개발을 통해 고령화 주민들로부터 나이란 허물이 느껴지지 않도록 변화를 끌어올리는데 목표를 하고 있다. ‘풍악을 울려라’는 농촌 융·복합 산업에서 1차, 2차 산업에 이어 관광, 홍보를 말하는 3차 산업을 모두 묶은 6차 산업혁명 팜 파티(farm party)를 활용하여 삼성 2리 마을의 축제에 대한 계획과 관광객 관점으로서 여행 일정에 대해 계획하였다. ‘마음을 울려라’는 마을의 복지시설 및 경관 조성에 대한 내용으로 대표적으로 마을의 의료복지, 아름다운 농촌 경관 조성이 주된 내용이며, 새로운 유입인구와 젊은이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공명의 시발점 역할을 한다. 이렇게 3단계를 거쳐 공명은 삼성2리뿐 아닌 모든 농촌 마을의 도약수단이 되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직면한 사회적 문제 초고령화 현상의 새로운 해결방안이 될 것이다.
정우영(Woo-Young Jeong) 한국기업법학회 2014 企業法硏究 Vol.28 No.4
집합투자기구의 의결권행사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의 논란이 많이 있다. 그러나 기업의 지배주주나 기업경영자들의 경영부실과 전횡 등에 대한 감시·견제·통제의 유효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집합투자기구의 의결권행사의 역할과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의결권을 행사하기에 적합한 집합투자업자는 이해상충의 관계가 없으며, 장기투자의 성향을 갖는 자이다. 일반 집합투자기구보다는 공적연기금 등이 이에 적합할 수 있으나, 집합투자기구의 경우에도 투자대상 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적극적인 의결권행사를 통하여 투자수익을 극대화하여 투자수익자의 이익에 부합시키고, 대상기업의 경영감시자로서의 역할에 걸맞은 의결권행사가 요청된다. 1998년 이후 의결권행사에 대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집합투자업자들은 의결권행사에 매우 소극적이며, 의결권행사와 관련한 공시의무의 구체성도 결여되어 있다. 설사 의결권을 행사하려고 하여도 주주총회의 일정은 너무 촉박하거나 주주총회일자가 특정일에 집중되어 있고 안건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실하여, 그 기한 내에 주주총회의 안건을 제대로 분석하고 판단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2013년 현재까지도 충실의무에 기반하여 적극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하기 보다는 자동거수기 혹은 중립투표 방식에 의한 형식적인 행위에 그치고 있다. 집합투자업자가 수탁자로서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거하여 투자자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일은 너무도 당연하지만, 의결권의 행사 역시 수탁자로서의 중요한 의무 가운데 하나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집합투자업자에게 의결권행사 의무를 강제하고, 이를 성실한 관리자의 의무와 충실의무에 포함시켜 그 책임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자본시장법상 집합투자기구의 의결권행사에 대한 공시의 대상 범위를 확대하고, 구체적인 사항까지 공개하도록 해야 하며, 의결권의 행사에 관한 공시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집합투자기구의 의결권행사 내부지침과 의결권행사에 대한 결정내용 등 정보도 공개되어야 한다.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서 충실의무를 다하는 집합투자기구를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집합투자기구의 의결권행사가 활성화가 되기 위해서는 의결권행사에 관련된 의사결정에 집합투자업자의 독립성 및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주주총회의 안건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하며, 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충분한 전문성 및 책임성을 가져야 한다. Shareholders based on voting rights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on composition of corporation (governance structure) and main business, thus conducting monitoring, check, and control of dominate stockholders and corporate executives. Shareholders can exert influence on improvement in governance structure and main business of the corporation via appropriate voting rights in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and such roles of shareholders are not different for personal shareholder or institutional investors. In this context, the Capital Market Act clarifies that voting rights of shares are in principle discretion of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when the shares occupy a large part of investment property of collective investment scheme, but with certain regulation. However, voting rights have not been exerted reasonably and efficiently when reviewing the existing voting rights exerted by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Protection of shareholders as investors begins at proper exertion of shareholder’s right, or voting rights. The Capital Market Act establishes public disclosure of exertion of voting rights by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on shares as investment target because the establishment enables general investors to be informed of voting rights of institutional investors such as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and to identify problems of the relevant corporation properly. However, investment information is not informed to general investors properly because institutional investors such as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overwhelmingly agree to items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Due to insufficient perception on responsibility as a trustee of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also, most of voting rights are exerted only when the voting rights are compelled by the Capital Market Act such as for corporation subject to public disclosure of voting rights. Business relationship with corporations as investment target, insufficiency in internal personnel professionalism for monitoring function, and indifference in monitoring function of management affairs, conclusively, hinder appropriate monitoring function. It is urgently needed to establish measures to reasonably improve the existing systems in order to induce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to exert voting rights for effective protection and maximization of investors’ interest. Responsible exertion of voting rights by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is essential to secure efficiency of exertion of voting rights and integrity of investment target and to practically protect rights and interest of investors from internal conflicts of interest in collective investment business entity.
게임 도메인 웹 코퍼스를 이용한 감성사전 구축 및 평가
정우영(Woo-Young Jeong),배병철(Byung-Chull Bae),조성현(Sung Hyun Cho),강신진(Shin-Jin Kang)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5
본 논문은 게임 도메인에서 웹 코퍼스를 이용하여 감성사전을 구축하는 방법과 구축한 감성사전의 평가 결과를 기술한다. 감성사전 구축을 위해 먼저 트위터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해 국내 한 포털 사이트의 게임 관련 웹 문서를 기반으로 어휘를 수집하여 감성 사전 어휘 목록을 만들었고, 목록에 있는 단어들 중 동사와 형용사 품사의 단어들에 대해 감성 사전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감성 사전의 평가를 위해 영어 기반의 Senti-word Net(SWN)을 한글로 번역한 한국어 SWN을 이용하여 정밀도와 재현율 값을 계산하였다. 평가 결과 긍정과 부정 감성의 F-1값에 대한 평균이 형용사의 경우 0.85, 동사에 대해 0.77을 각각 보여 주었다. This paper describes an approach to building and evaluating a sentiment dictionary using a Web corpus in the game domain. To build a sentiment dictionary, we collected vocabulary based on game-related web documents from a domestic portal site, using the Twitter Korean Processor. From the collected vocabulary, we selected the words whose POS are tagged as either verbs or adjectives, and assigned sentiment score for each selected word. To evaluate the constructed sentiment dictionary, we calculated F1 score with precision and recall, using Korean-SWN that is based on English Senti-word Net(SWN).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average F1 scores are 0.85 for adjectives and 0.77 for verbs, respectively.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우영(Jeong, Woo-Young),김희영(Kim, He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과 대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여 변수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결과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 타인수용, 대인관계능력의 평균점수는 대인관계능력, 타인수용, 자기수용 순으로 나타나 자기수용 점수가 가장 낮았다. 둘째, 각 변인들 사이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수용만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and other-accepta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ethods For research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6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SPSS 23.0,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acceptance and other-accepta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esult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First, the average scor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acceptance, other-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ere shown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ther-acceptance, and self-accept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lf-acceptance and other acceptanc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only self-acceptanc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measure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