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동향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정수정,임걸,고유,심현애,김경연,Jeong, Su-Jeong,Lim, Keol,Ko, Yu-Jung,Sim, Hyun-Ae,Kim, Kyung-Yeon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는 현재 공급되고 있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온라인 또는 원격교육의 특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85개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였고, 콘텐츠 유형, 상호작용 유형, 콘텐츠 유형과 상호작용 유형의 조합을 준거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 유형에서 반복연습형 및 도구형 등 빈도는 높은 반면, 모의실험과 문제해결형의 빈도는 낮았다.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학습자와 콘텐츠 간 상호작용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따라서 원활한 학습자간 의사소통의 확장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등의 특징을 적용하여 학습의 상호작용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applications in smartphones with some criteria seeking to apply online learning characteristics to smartphones. For the analysis, 85 educational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by 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interactions, and the combin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interactions. As a result, drill-and-practice and tool types of contents ranked high, and there found to be few simulation and problem solving types. In regard to interaction types, almost all of the applications had interactions only between contents and learners, which meant little active communications when using applications. Therefore, enhanced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mong learner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were required in order to use educational applications in a more effective way.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시대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빅데이터와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정수정(Jeong, Su-jeong),윤정진(Youn, Jeong-jin)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1 교육과 문화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적 인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간은 어떠한 특성들을 보이고 있는지 사회적 담론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4차산엽혁명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다보스포럼 (2016년 l윌 20 일) 시점부터 2021년 1윌 20일까지 총 5년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핵심키워드는 “4차산업혁명 + 창의적 인간” 이며, 수집된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 마이닝 과정을 거쳐 672KB데이터가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 4차산엽혁명시대의 창의적 인간’ 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해 본 결과, ‘혁신, 변화, 인재, 경제’ 등이 중요한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높은 빈도로 나타난 단어들을 영역별로 유목화한 결과, ‘혁신의 핵섬은 인재와 관련된 요인’ , ‘코로나로 산업전반의 변화와 관련된 요인’ , ‘정부차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정책 추진과 관련된 요인’ 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huma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by using big data, the social discourse was examined and analyzed to see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creative human beings demanded by the present age exhibi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 a total of 5 years from the time of the Davos Forum (January 20, 2016) when the term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first used to January 20, 2021. The keyword used in this study is “4th industrial revolution + creative person. ” 672 KB of data was collected through data mining process centering on the collected big data from Internet portal sit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ve peopl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Innovation’ , ‘change’ , ‘talent’ , and ‘economy’ were drawn as important keywords. And as a result of nomadizing the words that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by domain, it turned out that the core of innovation lies in a factor related to talent . a factor related to changes in the overall industry due to Corona ’ a factor related to the government level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promotion ’ etc.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have also been mad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한외여과 처리에 따른 채취시기별 고로쇠 수액의 품질특성

        정수정(Su Jeong Jeong),이창현(Chang Hyeon Lee),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신창섭(Chang Seob Shin),박의석(Eui Seok Park),이준수(Junsoo Lee),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5

        고로쇠수액의 채취적기인 3월에 채취한 수액과 후기인 4월에 채취한 수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고로쇠 수액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외여과 전후의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4월에 채취된 고로쇠수액이 3월에 채취된 수액보다 총균수 및 탁도가 높았지만, 한외여과 후 탁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미생물을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총산, 유리당 및 총당 함량은 4월의 고로쇠수액이 3월 수액보다 약간 낮았지만, 조회분과 무기성분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칼슘은 3월과 4월에서 각각 129.40 및 166.38 ㎎/L로 4월이 높았다. 고로쇠나무 수액의 영양성분은 한외여과 후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지만 채취적기 이후(4월)에 채취되는 수액을 한외여과 할 경우 미생물제거 및 탁도 향상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기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영양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ltra filtration (UF) of Goroshoe (Acer mono Max.) sap collected in March and April. The total bacteria and turbidity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higher than in March. However, after UF, the turbidity decreased and bacteria were not detected. The total acidity and total sugar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lower than that collected in March. After UF, total acidity and total sugar decreased slightly in sap from both of the collection times. The crude ash and mineral content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higher than in March. In particular, the calcium and potassium content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166.38 and 29.47 ㎎/L, respectively, which was much higher than in March. Again, after UF, the crude ash and mineral content were decreased in the sap from both collection times. We concluded that UF of Goroshoe sap increased its quality regardless of collection time.

      • KCI등재

        고로쇠 수액의 유출시기별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

        정수정(Su Jeong Jeong),이창현(Chang Hyeon Lee),김현영(Hyun Young Kim),이상훈(Sang Hoon Lee),황인국(In Guk Hwang),신창섭(Chang Seob Shin),박의석(Eui Seok Park),이준수(Junsoo Lee),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0

        고로쇠수액의 채취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및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고로쇠수액의 갈변도 및 탁도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 및 총산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유기산은 citric acid 및 ma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는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malic acid는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sucrose와fructose 및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sucrose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한 반면, fructose는 증가하였고 glucose는 채취시기 후반기에만 검출되었다.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채취 초중반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후반기에 많은 증가를 보였다. 무기성분은 Ca, Cu, Fe, K, Mg 및 Mn 등이 검출되었으며, K, Mg 및 Fe는 채취기시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채취시기 후반기에 채취되는 고로쇠수액은 탁도의 증가로 인하여 음용하기 어렵지만, 조단백질, 유기산, 무기성분 등의 증가로 영양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적절한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탁도를 제어한다면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Goroshoe (Ace rmono Max.) sap related with collection periods. The changes of browning index, turbidity, pH, total acidity, organic acids, free sugar, crude protein, crude ash, and minerals were investigated. Browning index and turbidity were slightly increased, while pH and total acidity were not changed as collection periods increased. Citric acid decreased slightly from 0.081 to 0.045 mg/mL at middle collection periods. Malic acid also decreased from 0.494 to 0.416 mg/mL at middle collection periods but then afterward increased to 0.674 mg/mL as collection periods increased. Sucrose decreased from 1.759 to 1.000%, while fructose increased from 0.023 to 0.044% as collection periods increased. Crude protein increased remarkably from 0.80 to 17.49 mg% as collection periods increased. Crude ash decreased slightly from 0.04 to 0.03% at middle collection periods, and then increased afterward to 0.06% as collection periods increased. Potassium increased from 13.43 to 49.75 mg/L as collection periods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ful components of Goroshoe sap increased with increasing collection periods, but turbidity could be reduced.

      • KCI등재

        자작나무수액의 유출시기별 품질특성

        정수정(Su Jeong Jeong),이창현(Chang Hyeon Lee),김현영(Hyun Young Kim),이상훈(Sang Hoon Lee),황인국(In Guk Hwang),신창섭(Chang Seob Shin),이준수(Junsoo Lee),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

        자작나무수액의 채취시기에 따른 성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갈변도와 탁도는 수액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여 각각 0.076~0.222 및 0.048~0.138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pH는 채취 후반부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총산도는 증가하였다. Citric acid는 채취 초기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후반기에 미량 검출되었고 malic acid는 채취 후반기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Glucose는 0.497~0.664%의 범위에서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고, fructose는 0.364~0.433% 범위에서 채취 후반기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3.40~32.37 mg%의 범위에서 채취시기 후반기에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회분은 0.01~0.04% 범위에서 수액 채취 후반기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무기성분으로는 Cu, Fe, Ca, Mg, Mn 및 K이 검출되었고 채취 후반기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그중 K는 5.25~37.27 mg/L의 범위에서 채취 후반기에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당류와 무기성분 및 단백질 등의 각종 성분이 함유된 자작나무수액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및 가공식품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채취 후반기의 수액은 갈변도 및 탁도의 증가로 음용하기에 문제가 있지만, 영양성분의 증가로 인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수액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가공법이 적용된다면 자작나무 수액의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irch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ap with different collection times. The changes of browning index, turbidity, pH, total acidity, organic acid, free sugar, crude protein, crude ash, and mineral content were investigated. The browning index and turbidity increased from 0.076 to 0.222 and from 0.048 to 0.138,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The pH decreased from 6.09 to 4.72, while total acid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Citric and malic acids were detected and malic acid increased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Glucose and fructose as free sugars were detected and their contents were 0.364~0.433% and 0.497~0.664%, respectively. Crude protein and crude ash contents remarkably increased from 3.40 to 32.37 mg% and from 0.01% to 0.04%,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Cu, Fe, Ca, Mg, Mn, and K were detected,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Particularly, K increased remarkably from 5.25 to 37.27 mg/L over ti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timum processing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white birch sap is necessary, because the quality of sap de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but nutritional value increased.

      • 철도차량 운전자를 위한 수신호전달 시스템 개발

        정수정(Su-Jeong Jeong),조병환(Byeung-Hwan Cho),이가은(Ga-Eun Lee),전상우(Sang-Woo Jeon),한인수(In-Su Han)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통체증 문제점은 세계 어떤 나라보다도 심각하며 각종 공해와 소음의 문제들을 일으키고 있다. 그로 인하여 철도사업이 각광받는 세대에 살아가고 있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서 앞으로 대두될 철도시설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철도차량 운전자의 수신호를 사용하여 차량 안 승객에게 전달할 방법을 연구하였다. 키넥트를 이용해 전방 교통상황에 대한 철도차량 운전자의 수신호를 인지하여 각 객실 LCD 패널에 상황이 출력되도록 연구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위급한 상황 속에서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승객의 안전을 기대해본다. In these day, We are facing the traffic problem in Korea which is getting severe also making all kinds of air and noise pollution. Due to traffic problem in Korea, we are living the same time that railroad business is being in the spotlighted. To secure the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railroad, we have been studied about recognising forehead traffic condition and send back the signal from railroad driver to the passenger in the each of the LCD panel in the room by using Kinect. We are expecting that secure the safety of passengers in case of emergency situation in the convenient way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일·가정 양립지원을 위한 보육지원 정책분석 : 부산시를 중심으로

        정수정(Jeong, Su-Jeong),이강훈(Lee, Kang-Hoon)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0 교육과 문화 Vol.2 No.1

        본 연구는 부산시 보육지원 정책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지도와 중요도를 살펴봄으로써 부산시에서 운영 중인 보육지원 정책의 타당성을 진단하고 향후 보육지원 정책 및 운영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개발원이 수행한 부산광역시 보육실태조사 연구에 참여한 보육교사 1,12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지원 정책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지도는 높게 나타난 반면, 중요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인지도가 높은 정책으로는 어린이집 평가제도와 아이사랑 카드제 등이 있었으며, 중요도가 높은 정책으로는 아이사랑 카드제도와 3-5세 누리과정 등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기관유형에 따라 인지도와 중요도에 차이가 있었던 반면, 학력, 최종자격, 전공에 따라서는 인지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육지원 정책의 타당성을 평가함으로써 부산시 보육지원 정책 운영방안에 대한 의미 있는 논의를 제공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hild care support policy validity and to promote child care support policy by exploring child care teacher‘s awareness and importa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20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Busan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created based on a Literatur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with professional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5.0 program. For data analysis, we implemen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e-way ANOVA and Matrix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 for child care support policy shows high, while the level of importance of them appears relatively low. Second, matrix analysis results show child care support policy was defined by 4 quadrants(Ⅰ:keep up the good work[3, 5, 6], Ⅱ:modify a policy[1, 4, 7, 8], Ⅲ:overall reexamination[2, 11, 12, 13, 14], Ⅳ: strengthen public relation[9, 10]). Based on this, verification of child care support policy validity through analysis of child care support policy using Matrix Analysis, and could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 on child care support policy in Busan.

      • KCI등재

        관용구에 나타나는 오스트리아독어 변이형에 대한 고찰

        정수정 ( Su Jeong Jeo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5 독일어문학 Vol.69 No.-

        In diesem Beitrag wird versucht, zu untersuchen, was fur Varianten es zwischen der osterreichischen und der binnendeutschen Varietat auf der Ebene der Phraseologismen gibt. Dabei liegt das Hauptaugenmerk darauf, herauszufinden, wie sich die Besonderheiten des osterreichischen Deutsch auf die Phraseologismen ubertragen. Es stellt sich heraus, dass osterreichisches Deutsch und Binnendeutsch Unterschiede auf Ebene der Phonetik, Phonologie, Wortbildung, Morphosyntax und Lexikologie sowie Pragmatik aufweisen und daruberhinaus auch die Differenzen in der Rechtschreibung und der Bedeutung bestehen. Die Phraseologie weist, gleich wie andere Disziplinen, auch Abweichungen auf. Osterreichspezifische Phraseologismen mit binnendeutscher Aquivalenz werden gemaß den sprachwissenschaftlichen Teildisziplinen klassifiziert. So treten Differenzen zwischen der binnendeutschen und osterreichischen Variante auf allen sprachlichen Ebenen auf. Z. B. liegt ein Unterschied zwischen der binnendeutschen und osterreichischen Variante im Genus vor: Wahrend im Binnendeutschen Butter ein Femininum ist, benutzt man Butter in osterreichischen phraseologischen Wortverbindungen als Maskulinum - in den Butter gehen. Einen weiteren Unterschied gibt es vor allem in der Valenz der verbalen Phraseologismen. In Osterreich konnen Prapositionen anders verwendet werden als in Deutschland, oder es werden andere Prapositionen an ein Verb oder Substantiv angeschlossen. Beispielsweise wird die Praposition an oft anstatt des binnendeutschen auf verwendet. In dieser Arbeit wurde nur eine sehr begrenzte Menge an Phraseologismen aus den Worterbuchern zusammengestellt. Die Ergebnisse der Analyse sind aus diesem Grund eher tendenzweisend. Es ware interessant, anhand eines Korpus Vernwendungsweisen, Vorkommenshaufigkeiten und Kookkurenzpartner der ostereichischen und der deutschen Varietat zu vergleiche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