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경력 전망에 대한 세대별 인식 분석

        정송,이청아,장유나,노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사들의 승진, 이직, 정년 재직 여부 등과 관련된 경력 전망의 세대별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교직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초중고 교사 2,06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승진, 이직, 정년에 대해 빈도 분석과 검정을 통해 X, M, Z세대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급, 성별, 세대별 비율을 고려하여 선정한 1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세대별 경력 전망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주요 결과에 대한 세대별 관점과 개선 방안 등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설문조사 결과, 모든 세대에서 승진에 대한 매력도는 낮았으나, 관련된 이유는 세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더불어 최신 세대일수록 이직 의도가 높고, 정년까지 재직할 의향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세대 공통으로 이직 의도의 동기 중 낮은 임금, 교육활동과 관련된 침해 행위 증가의 선택 비율이 가장 높았다. 면담 결과, X세대에 해당하는 교사들은 실제로 직면하는 승진 체계 및 방식에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는 측면이 강했으며, 이는 승진의 ‘가성비’적 측면을 따지는 M, Z세대와 구분되었다. 결론 교사들의 경력 전망에 대해 세대별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승진 직급 및 진로 유형을 다양하게 세분화하여, 교사로서의 역량과 역할 수행에 따른 전문성 발휘에 지속성을 보장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on career prospects including promotion, turnover intention, and retirement age.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is essential for adapting educational practices to the evolving needs of the teaching societ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6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ffiliated with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ponses regarding promotion, turnover intention, and retirement age were analyzed across generations X, M, and Z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Interviews on career prospects were also performed with thirteen teachers to gain in-depth insights into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policy improvement. Results: Findings revealed that while all generations found promotion unattractive, they shared different perspectives regarding the reasons. The younger generation showed a higher inclination towards turnover intention and a lower commitment to remaining in the profession until retirement age. The most common motivations for turnover intention were low wages and increased violations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educational activities across generations. Generation X teachers expressed discomfort with the promotion system through the interviews while Generation M and Z teachers considered the cost-effectiveness aspect of promotion. Conclusion: Generational dispariti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career prospects call for considerations in teacher policies. Subdividing promotion positions and expanding career paths will guarantee continued exercise of teachers’ expertise in the era of change.

      • KCI등재

        한국형 교사소진 척도(MBI-ES) 타당화

        정송,노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MBI-ES for Korean teachers. For this purpose, two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who were in the Seoul-based schools. A content valid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inter-item correlation,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asch mode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criteria validity test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alidity of the data was examined through cont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inappropriate items were corrected and deleted. Through a review of the contents, items that were less relevant to sub-factors, items with similar contents to other items, and items with ambiguous meanings were corrected or dele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tems with a high correlation between items, items with low item difficulty, items that did not meet the criteria for the item fit, and items with low factor loadings were deleted. While maintaining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emotional exhaustion,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a 10-item scale was constr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teacher burnout scale validation and a proposal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교사소진 척도(MBI-ES)를 국내 교사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서울시 소재 학교에 재직 중인 교원을 대상으로 두 번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내용타당도검증, 기술통계, 문항 간 상관,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Rasch 모형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준거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 및 통계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부적절한 문항들에 대한 수정 및 삭제가 이루어졌다. 내용 검토를 통해 측정요인과의 관련성이 적은 문항, 다른 문항과 내용이 유사한 문항, 의미가 모호한 문항 등을 수정 또는 삭제하였고, 통계 분석을통해 문항 간 상관이 높은 문항, 문항 난이도가 낮은 문항, 문항 적합도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문항, 요인계수가 낮은 문항 등을 삭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비인간화의3요인 구조를 유지하되 10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형 교사소진 척도 타당화의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MMPI 단축형 우울척도 개발: 문항기반 요인분석의 사용

        정송,이순묵,이영선,이민수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3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widely used personality assessment instruments in various settings. The primary advantage of the MMPI-2 is to provide an accurate and comprehensive personality profile based on affluent data. On the other hand, a shortcoming of the MMPI is that length of the test instrument and amount of time required for test administration are too long.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short forms of the MMPI, which were of less items and less time consuming than the full MMPI, while retaining its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MMPI-2 (Depression scale) using full-information item factor analysis metho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ur short form were reasonably good.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nd labelled as subjective depression,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crease of physical activities respectively. The items of our short form showed a very high utility(R^2.948) of predicting scores of the full version and high correlations(.449∼.898) with Harris-Lingoes subscales and depression subsca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hort form has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explains the variability of the full version scores sufficiently. Thus i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when it is not feasible to use the full ver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경험적으로 제작된 성격검사인 MMPI-2의 척도2를 요인분석적 접근을 사용해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즉, 문항반응이론에 기반한 완전-정보 문항 요인분석을 통해 축소하고, 축소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K병원 임상 심리실에 종합심리평가가 의뢰된 환자 중 313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MMPI-2 척도2는 3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각 요인에서 요인계수 0.3이상의 값을 갖는 문항을 선택하여 요인구조를 살펴 본 결과 각 요인은 ‘주관적 우울감’, ‘대인관계 저하’, ‘신체활동 저하’로 나타났다. 23문항으로 이루어진 단축형 척도는 원척도 점수 분산의 95%를 설명하며(R^2), MMPI-2내의 우울관련 소척도와 .449∼.898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우울증에 대한 선별과 치료 효과 측정에 널리 사용되는 BDI 및 STAI와의 상관 역시 각각 .379, .482(상태), .514(특질)로 나타났다. 단축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원척도 예측력을 살펴본 결과, 원척도의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나 장애의 선별이 목적인 상황에서 원척도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