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ILS 2018을 통해 살펴본 우리나라 중등교사의 ICT 활용 및 인식 특성 : 연령대와 과목을 중심으로

        정송,노언경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교사의 ICT 활용 실태 및 인식과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시사점 도출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ICILS 2018 교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령대와 과목에 따른 집단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수업에서의 ICT 활용과 인식 전반에서 연령대별, 과목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수업에서의 ICT 활용은 일방향적 도구를 사용한 교사주도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30대 교사의 ICT 활용 빈도와 ICT 도구 사용 경험 수준이 높았다. 수학은 다른 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ICT 활용 빈도가 낮았으며, 영어는 교과서와 연계된 디지털 콘텐츠와 디지털 학습 게임을 다른 과목들에 비해 매우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활용 전문성 개발 활동은 전반적으로 20대 교사들의 참여 수준이 낮았으며, 과목별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ICT 활용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50대 이상 교사들이 다른 연령대 교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교수학습에서의 ICT 사용에 따른 긍정적 결과에 대한 동의 수준은 30대 이하 교사가 40대 이상 교사보다 높았고, 부정적 결과는 50대 이상 교사들의 동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았다. 교수학습에서의 ICT 사용을 위한 교사 간 협업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유사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haracteristics of ICT utilization and percep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group differences by teachers' age and subjects using the data of ICILS 2018. As a result,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use of ICT, teachers in their 30s often utilized ICT and ICT tools. Mathematics relatively used low ICT than other subjects; English actively used digital content linked to textbooks compared to other subjects. Overall, teachers in their 20s had low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related to ICT utilization, and no high differences across subjects. The self-efficacy of using ICT was low for teachers in their 50s and older. Teachers under their 30s perceived higher levels of agreement for positive results from the use of ICT than those in their 40s and older. As for the negative result on the use of ICT, the level of agreement of teachers over 50 was the highest. The perception of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the use of ICT was generally similar. Based on empirical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on the use of ICT and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학교급 전환기 학교적응의 유형화 및 종단적 변화 탐색

        정송,우연경,송주연,노언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연구 Vol.33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classify subgroups of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school-level transition periods, investigate longitudinal transitions between the group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se transitions. To this e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and middle-high school transition students, using the 3rd, 4th, 6th, and 7th data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subgroups of school adjustment were classified as follow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cluding learning attitude, class interest, learning strategy, peer relationship,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subgroups, including the high, middle, and low school adjustment groups, were classified in the last year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imbalance school adaptation group was additionally derived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e same four groups were identified in the last year of middle school and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mong the two transition periods, it was found that home and school factors had a greater influence during the elementary-middle transition period. 본 연구는 학교급 전환기 학생들의 발달적 특성에 기초하여 학교적응의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집단의 종단적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3, 4, 6, 7차 자료를 활용하여 초-중, 중-고 전환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주요한 발달적 특성인 수업태도, 수업흥미, 학습전략, 교우관계, 자아존중감, 진로성숙을 중심으로 학교적응을 유형화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6 시점에는 학교적응 상, 중, 하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중1 시점에 는 3개 집단 외에 학교적응 불균형 집단이 추가로 도출되었다. 중3과 고1 시점에는 중1과 동일하게 4개 집단이 확인되었다. 학교적응 유형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동일한 집단이 유지되는 비율은 초-중 전환 시점보다 중-고 전환 시점이 더 높았다. 반면, 집단이 이동하는 경우 초-중 전환기에는 적응 수준이 하락하는 비율이 상승하는 비율보다 높았고, 중-고 전환기에는 적응 수준이 상승하는 비율이 하락하는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 전환기와 중-고 전환기에 이전 시점의 특성에 따라 이후 시점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두 전환 시점 중 초-중 전환기에 중-고 전환기 보다 가정 및 학교 요인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학교급 전환기의 학교적응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MMPI 단축형 우울척도 개발: 문항기반 요인분석의 사용

        정송,이순묵,이영선,이민수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3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widely used personality assessment instruments in various settings. The primary advantage of the MMPI-2 is to provide an accurate and comprehensive personality profile based on affluent data. On the other hand, a shortcoming of the MMPI is that length of the test instrument and amount of time required for test administration are too long.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short forms of the MMPI, which were of less items and less time consuming than the full MMPI, while retaining its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MMPI-2 (Depression scale) using full-information item factor analysis metho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ur short form were reasonably good.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nd labelled as subjective depression,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crease of physical activities respectively. The items of our short form showed a very high utility(R^2.948) of predicting scores of the full version and high correlations(.449∼.898) with Harris-Lingoes subscales and depression subsca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hort form has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explains the variability of the full version scores sufficiently. Thus i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when it is not feasible to use the full ver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경험적으로 제작된 성격검사인 MMPI-2의 척도2를 요인분석적 접근을 사용해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즉, 문항반응이론에 기반한 완전-정보 문항 요인분석을 통해 축소하고, 축소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K병원 임상 심리실에 종합심리평가가 의뢰된 환자 중 313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MMPI-2 척도2는 3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각 요인에서 요인계수 0.3이상의 값을 갖는 문항을 선택하여 요인구조를 살펴 본 결과 각 요인은 ‘주관적 우울감’, ‘대인관계 저하’, ‘신체활동 저하’로 나타났다. 23문항으로 이루어진 단축형 척도는 원척도 점수 분산의 95%를 설명하며(R^2), MMPI-2내의 우울관련 소척도와 .449∼.898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우울증에 대한 선별과 치료 효과 측정에 널리 사용되는 BDI 및 STAI와의 상관 역시 각각 .379, .482(상태), .514(특질)로 나타났다. 단축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원척도 예측력을 살펴본 결과, 원척도의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나 장애의 선별이 목적인 상황에서 원척도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과후 여가시간 활용 실태 분석

        정송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5 아동중심실천연구 Vol.2 No.1

        초등학생의 생활을 크게 학교생활과 방과후 생활로 나누어 볼 때, 학교생활은 모든 학생에게 일률적으로 똑같이 제공되는 반면에, 방과후 생활은 초등학생 개인의 생활수준이나 주변 환경, 부모의 관심 또는 초등학생의 요구 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특히 초등학생을 둘러싼 지역사회 환경은 가장 직접적으로 초등학생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인위적이고 상업적인 환경의 도시와 읍․면 등 농촌에서의 초등학생생활은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그 실태를 비교해 봄으로써, 환경의 차이에 따른 바람직한 여가환경을 조성하고 여가활동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아동기의 효율적인 여가의 운용여부는 장래 초등학생 개개인의 인성 및 정서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인격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인 만큼 우리 기성세대들이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연구 영역임에 틀림없다. 방과후 여가시간에 이루어지는 여러 형태의 사교육 역시 초등학생 자신이 필요로 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일 때 비로소 참된 의미의 교육이 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무분별한 사교육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대중매체의 홍수 또한 아직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은 초등학생에게 여과 없이 유포됨으로써, 초등학생이 이러한 현상들을 그대로 답습하여 책임 의식의 결여, 소비풍조의 조장, 건전하지 못한 생활자세를 형성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있어 여가의 참 뜻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유형에 따른 지도는 물론 여가 장소와 시설을 갖추어 보다 즐거운 여가 환경을 조성해 주고 건전하게 여가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여가의 교육적 의의에 착안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의 여가활용에 대한 조사를 통해 여가 활용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여가환경 조성과 여가활용 방안을 확립하기 위한 자료의 제공과 방안의 제시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 도시․농촌 초등학생 435명을 선정한 후, 선행 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평일의 여가 활동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은 학원이나 과외공부이며, 다음으로 TV보기나 컴퓨터 게임이었다. 둘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