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결손에서 시행한 Hydroxyapatite의 조기 결과

        정소학,권영호,박영균,김재도,Chung, So-Hak,Kwon, Young-Ho,Park, Young-Gyun,Kim, Jae-D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1

        목적: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Hydroxyapatite ($Bongros^{(R)}$-HA)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0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Hydroxyapatite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총 17례의 양성 골종양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남자 10명, 여자 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8.5세였다. 양성 골종양의 종류별로 보면 섬유성 이형성증이 8례, 고립성 골 낭종이 5례, 거대 세포종이 4례였다. 부위별로는 근위 대퇴골 6례, 원위 대퇴골 3 례, 근위 경골 3례, 근위 상완골 4례, 골반골 1례였다. 자가골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4례, Hydroxyapatite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13례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3 개월에서 최장 15개월로 평균 7.5개월이었다. 주기적인 추시에서 관찰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Hydroxyapatite의 이식물의 흡수 정도와 골 생성 정도를 술 후 사진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4.5 개월에 98% 이상의 흡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술 후 평균 6.2 개월에는 98% 이상의 골 생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결손의 양이 적은 겨우 골 형성이 빠른 결과를 보였다(p=0.012). 하지만 그 외 환자의 성별, 나이 그리고 자가골의 첨가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이식물의 흡수율이나 골 생성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모든 경우에서 최종 추시 시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양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의 치료제로서 Hydroxyapatite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Hydroxyapatite ($Bongros^{(R)}$-HA) what use for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Materials and Methods: Hydroxyapatite, was used to treat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from September, 2006 to December, 2007. A total of 17 benign bone tumor cases (10 males and 7 females) with mean age of 28.5 was observed studied. The diagnoses were fibrous dysplasia in 8 cases, solitary bone cyst in 5 cases, and giant cell tumor in 4 cases. In categorization by location of tumor, there were 6 cases of proximal femur, 3 cases of proximal femur, 3 cases of proximal tibia, 4 cases of proximal humerus, and 1 case of hip bone. Autogenous bone was used with Hydroxyapatite in 4 cases, and only Hydroxyapatite used in 13 cases. Periods of Follow-up were from 3 months to 15 months, and mean period were 7.5 months. Amount of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was observed with compare of post operation radiograph and the difference was shown by percentage. Results: More than 98% bone uptake was observed after mean 4.5 months, and more than 98% bone formation was observed after mean 6.2 months. Lesser bone defect size showed faster bone formation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P=0.012). But other comparative studies on other factors such as sex, age of patients and combination of autogenous bon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in periods of follow-up. Conclusion: Hydroxyapatite is considered as one of useful method of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치료 결과

        정소학,김재도,조현익,Chung, So Hak,Kim, Jae Do,Jo, Hyun I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1

        목적: 본 교실에서 경험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치료방법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8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본 교실에서 수술 후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확진 된 총 28례를 대상으로 발병 당시부터 최근까지의 진찰소견, 의무기록, 방사선 사진, 병리소견을 토대로 임상소견과 진단 및 치료결과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28례로 소아 22례 성인 6례였다. 발병나이는 0.6세에서 51세 사이에서 발생하였으며 평균연령은 14.8세였다. 추시 기간은 6개월에서 134개월까지 평균 44.6개월 이었다. 환자의 구성은 남자 20명 여자 8명으로 남녀성비는 2.5:1이었다. 초기증상은 동통 18례, 병적 골절 5례, 종괴 3례, 방사선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경우 1례, 사경 1례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에서는 모든 증례에서 골 용해 소견을 보였으며 이중 13례에서는 골막 반응이 동반되었으며 1례에서는 연부조직 침범이 관찰되었다. 임상적 분류로 28례 모두 호산구성 육아종 이었으며 조직구 협회가 제시한 분류법으로는 단일계통의 다발 병소 질환 3례, 단일 병소 질환 25례였다. 전례에서 조직 생검술이 시행되었으며 6례에서는 생검술 이후 특별한 치료 없이 골 유합을 얻었으며 11례에서는 스테로이드 국소 주입술을 시행하였으며 11례는 조직생검과 동시에 소파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거나 추가로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추시기간 중 환자가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병변이 국소 재발한 경우는 없었으나 신체 다른 부위에 골병변이 생긴 경우가 3례 있었다. 합병증은 총 2례가 있었으며 소파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한 이후 감염소견을 보여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였다. 결론: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환자에서 급격한 전신적 발병을 가져오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초기 진단 시에 어린 환아에게 과도한 방사선 노출을 가져오는 검사는 지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환의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 생검이 필요하며 조직학적 확진 이후에는 경과 관찰만으로도 대부분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술 전 병적 골절이 있거나 골 파괴 병변의 범위가 넓은 경우 소파술 및 골 이식술과 내고정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3-6개월간의 경과관찰에도 병변의 호전이 느리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스테로이드 국소 주입법이 좋은 치료가 될 수 있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 of Langerhans' cell histocyto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1996 to June 2013, 28 patients who histologically proven with LCH were analyzed of medical records, radiography, pathologic character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28 cases of LCH including 22 child has been reported. Onset age was 0.6 to 51 years old, occurred in the average age was 14.8 years. Follow-up period was 6 months to 134 months average was 44.6 months. The M:F ratio was 2.5:1. The initial symptoms was pain in 18 cases, 5 cases of pathologic fracture, 3 case of palpable mass, 1 case of discovered by accident in radiography, 1 case of torticollis. In radiological examination osteolysis was seen all cases, 7 cases showed a periosteal reaction, 1 case showed soft tissue extension. Clinical type of all cases were eosinophilic granuloma. 25 cases were classified as unifocal disease and 3 cases were multifocal single systemic diseases. In all cases, in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After histologic confirmed, 14 cases was treated with curettage or surgical excision of the lesion and the other 14 cases were followed up without treatment. There is no death during follow up period. 11 cases has no radiological improvement after 3-6 months observation, intralesional steroid injection was performed. Conclusion: Patients with LCH who has rapid systemic onset is very rare, so if you meet the young children who suspected LCH, you shoulder avoid the examination which cause excessive radiation exposure to the young patient. In order to confirm the diagnosis of disease, biopsy is needed. Close observation after confirmed by histological method will bring the satisfactory results. But the patients who had pathologic fracture or wide bone destruction already may need curettage and bone grafting to lesion or internal fixation. The lesion which has no radiological improvement after 3-6 months observation or appear with pain interferes daily life may need local steroid injection as a good treatment.

      • 악성흑색종 환자군에서 수술적 치료 후 시행한 고용량 인터페론-${\alpha}2b$ 면역요법에 의한 보조적 치료 결과 분석: 예비보고

        정소학,조현익,Chung, So Hak,Jo, Hyun I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2

        목적: 고용량 인터페론-${\alpha}2b$를 이용한 악성흑색종의 면역요법은 외과적 절제술 후 현미경적 적이나 남아있는 종양의 재발을 막고 무병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악성 흑색종 환자군에서 외과적 절제술 후 고용량 인터페론-${\alpha}$ 면역요법을 시행한 그룹의 무병생존기간 및 전체 생존율 등을 비교 분석하여 면역요법의 치료결과를 예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2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받고 외과적 수술 후 면역치료를 시행한 5명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병기는 AJCC 병기를 이용하여 판정하였으며 IIA 3예, IIB 1예, IV 1예로 나타났다. 추시기간은 최소 7개월에서 최대 32개월이었다. 면역 요법을 시행한 군에서는 먼저 유도요법으로 ${\alpha}2b$를 체표면적 당 20만 IU를 총 4주간 1주일에 5회 정주하였으며 이후 유지요법으로 체표면적당 10만 IU를 총 48주간 1주일에 3회 피하주사하였다. 이들 환자들에 대해 국소재발과 국소전이, 그리고 원격전이여부를 조사하였고 무병생존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인터페론-${\alpha}2b$ 면역요법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추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양전자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평가 결과 현재까지 모두 국소 재발 및 국소전이 원격전이의 증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용량 인터페론-${\alpha}$ 면역요법 시행군에서 현재까지 종양의 국소 재발 및 전이를 막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궁극적인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 향상이 달성되는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대상과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 Purpose: Interferon-${\alpha}2b$ using immunotherapy of malignant melanoma is known to increase the microscopic enemies that remain after surgical resection of the tumor to prevent recurrence,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Authors in patients with malignant melanoma after surgical resection and high-dose interferon-${\alpha}$ immunotherapy treated group of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of immune therapy to a preliminary report.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10 to October 2012 at our institution between being diagnosed with malignant melanoma after surgical immunotherapy treated patients were analyzed. Patients was evaluated using the stage AJCC stage IIA 3 cases, IIB 1 cases, IV 1 were as follows. Follow-up period of at least 7 months, and a maximum of 32 months. As maintenance therapy after the first induction therapy group underwent immunotherapy interferon-${\alpha}$ of body-surface area per 200,000 IU five times in a week for 4 weeks sedentary and body surface area a total of 48 weeks per week to 100,000 IU three times subcutaneously. These patients for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es, and distant metastasis were investigated disease-free survival was investigated. Results: Interferon-evaluation through follow-up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and positr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PET CT) in patients who underwent the ${\alpha}$ immunotherapy results above both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es without evidence of distant metastases. Conclusion: The high-dose ${\alpha}2b$ immunotherapy performed in patients to prevent the local recurrence of the tumor and metastasis to the current or future ultimate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improvement achieved is additional study and follow-up will be needed.

      • 전이성 척추종양에 대한 전 척추 절제수술 - 증례 보고 -

        정소학,김재도,장재호,박찬재,Chung, So-Hak,Kim, Jae-Do,Jang, Jae-Ho,Park, Chan-Jae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원발성 및 전이성 척추종양에 대해 다양한 수술이 시도되었으며, 그 중 전 척추절제술이 양호한 임상결과를 보여, 경추 제 3번, 제 4번의 전이성 척추 종양으로 전 척추 절제 수술을 시행한 1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Purpose: Numerous operations on primary and metastatic spinal tumor have been performed and among those total en bloc spondylectomy has produced decent clinical result, This article introduce 1 case of metastatic spine tumor of C3,C4 who treated with total en bloc spondylectomy.

      • 슬관절 주위 골육종에서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전 자가 관절 이식술

        정소학,조율,김재도,Chung, So-Hak,Cho, Yool,Kim, Jae-D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1

        목적: 악성 골종양 환자에서 사지구제술 후 결손부위의 재건방법 중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이 한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관절주위에서 발생한 종양의 수술시 관절 내 절제술 및 재활용 자가 관절이식술 시행 후 발생하는 관절의 불안정성, 진행되는 관절염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각되어진 관절외 절제술 및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전 자가 관절 이식술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6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슬관절 주위의 악성 골종양으로 진단받고, 동일한 수술을 시행한 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중 합병증과 재발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 진찰 및 검사를 시행하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93개월에서 최고 105개월로 평균 100개월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21.6세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상 골 유합기간은 평균 15.6개월(9~40개월)이었으며, Enneking 기준의 기능적 평가결과 평균 71.6%(66.6~80%)였으며 재발은 1례도 없었다. 합병증은 골단부 붕괴 3례, 관절 불안정성 5례가 발생하였고, 전례에서 종양 대치물로 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슬관절 주위에 원발성 골종양이 발생한 경우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전자가 관절이식술은 관절 불안정성을 일으켜 영구적인 관절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종양 대치물의 사용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Recycling extracorporeal irradiated autograft is used as one of the reconstruction methods after limb salvage with malignant bone tumor. However, there were some problems such as joint instability, progressive arthritis, insufficient joint resection margin were found after intraarticular recycling autograft. Thus, we carried out a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recycling total joint autotransplantation after extracorporeal irradiation that could resolve the problems. Materials and Methods: There were five cases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osteosarcom around the knee joint and underwent same operation from June 1997 to Feb 2006. All patients had been evaluated from 93 to 105 months (mean 100 months) and their mean age was 21.6. Results: The roentgenographic union of junctional sites began at 15.6 months (9~40 months) postoperatively. As regards to the orthopaedic functional results, we used the criteria of Ennecking et al. Overall mean functional result was 71.6%. Complication such as epiphyseal collapse (three cases) and joint instability (five cases) were noted respectively. In all the cases, tumor prosthesis was used to replace the knee joint. Conclusion: Because recycling total joint autotransplantation after extracorporeal irradiation does not prevent joint instability and progressive arthritis, tumor prosthesis is recommended in young adult.

      •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서 탈무기화 골 기질(DBM, Genesis$^{(R)}$)의 단기 결과

        서현제,정소학,Seo, Hyun Je,Chung, So Ha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2

        목적: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총 25예의 양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남자 15명, 여자 1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30.3세였다. 양성 골 종양의 종류별로 보면 고립성 골낭종이 9예, 비경화 섬유종 5예, 섬유성 이형성증 5예, 동맥류상골낭종 3예, 내연골종 3예였다. 부위별로 원위 대퇴골 5예, 근위 경골 4예, 근위 대퇴골 3예, 근위 상완골 3예, 수지골 3예, 원위 요골 2예, 골반골 2예, 종골 2예, 견갑골 1예였다. 자가골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6예, DBM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19예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6개월에서 최장 14개월로 평균 8.7개월이었다. 주기적인 추시에서 관찰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DBM의 이식물의 흡수 정도와 골 생성 정도를 술 후 사진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여 관찰하였다. 흡수 정도는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관찰할 수 있는 DBM의 부피의 변화로 측정하였고, 골 생성 정도는 결손부의 골 소주의 생성 정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총 25예 중 23예에서 골 유합(Bone union)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유합을 보인 23예는 술 후 평균 4.3개월에 98% 이상의 DBM 흡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술 후 평균 6.9개월에는 98% 이상의 골 생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결손의 양이 적은 경우 골 형성이 빨랐다(p=0.036). 하지만 그 외 환자의 성별, 나이, 자가골의 첨가 여부 등은 이식물의 흡수율이나 골 생성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모든 경우에서 최종 추시 상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의 치료제로서 탈무기화 골 기질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장기간의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Genesis$^{(R)}$) used for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aetment of benign bone tumors by clinical and radiological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DBM was used to treat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tumor from February 2012 to May 2013. Total 25 benign bone tumor cases (15 males, and 10 females) with mean age of 30.3 were studied. The diagnoses were solitary bone cyst in 9 cases, non ossifying fibroma in 5, fibrous dysplasia in 5, aneurysmal bone cyst in 3 and enchondroma in 3. In categorization by location of tumor, there were 5 cases of distal femur, 4 of proximal tibia, 3 of proximal femur, 3 of proximal humerus, 3 of phalanx, 2 of distal radius, 2 of hip bone, 2 of calcaneus, and 1 of scapula. Autogenous bone was used with DBM in 6 cases, and only DBM used in 19 cases. Mean periods of follow up were 8.7 months (range: 6 to 14 months). Amount of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was observed with compare of post operation radiograph and the difference was shown by percentage. Resorption level was measured by DBM level which could be observed from simple x-ray, and bone formation level by bone trabecular formation level at impaired site. Results: Twenty three cases of total 25 cases showed bone union. In the 23 cases, more than 98% DBM resorption was observed after mean 4.3 months, and more than 98% bone formation was observed after mean 6.9 months. Lesser bone defect sizes showed faster bone formation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6). But other comparative studies on other factors such as, sex, age of patients and combination of autogenous bon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mplication in periods of follow-up. Conclusion: 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 is thought to be useful treatment for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however longer follow-up periods appears to be needed.

      • 고용량 방사선 조사 후 골육종 세포주(Saos-2)의 아포프토시스 발생

        김재도,정소학,홍영기,최장석,Kim, Jae-Do,Chung, So-Hak,Hong, Young-Gi,Choi, Jang-Seo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5 No.1

        A single fraction of 50 Gy extracorporeal irradiation, as a modality of limb-sparing operation, has been used to achieve tumor necrosis in osteosarcoma. Although this modality of radiation therapy preserving the mobility of a joint is commonly practiced, the precise knowledge on the radiobiological response of osteosarcoma cell has remained to be elucidated. We therefore observed whether a single high dose irradiation caused apoptosis in osteosarcoma cells and whether the commitment to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cell kinetics. We also investigated radiation dose response along the time course for development of apoptosis following single high dose irradiation. The morphologic change in apoptosis was observed by fluorescence with Hoechst 33258 and the degree and the fraction of cells by flow cytometry. Irradiation of osteosarcoma cells with 10, 30 and 50 Gy resulted in chromatin condensation and apoptotic body formation. The degree of apoptosis in osteosarcoma cells was $29.5{\pm}3.56%$, $39.9{\pm}4.83%$ at 24 and 48 hours after 10 Gy irradiation ; $41.1{\pm}3.93%$, $66.9{\pm}5.21%$ at 24 and 48 hours after 30 Gy irradiation ; and $48.0{\pm}3.69%$, $75.6{\pm}4.65%$ at 24 and 48 hours after 50 Gy irradiation. The fraction of cells in cell-cycle kinetic was $39.2{\pm}4.3%$ in G2/M, $22.1{\pm}4.65%$ in G1 at 24 hours after 10 Gy irradiation ; $51.0{\pm}4.3%$ in G2/M, $20.4{\pm}4.7%$ in G1 at 48 hours after 10 Gy irradiation ; $40.3{\pm}3.9%$ in G2/M, $26.1{\pm}4.7%$ in G1 at 24 hours after 30 Gy irradiation ; $59.2{\pm}3.9%$ in G2/M, $5.9{\pm}5.1%$ in G1 at 48 hours after 30 Gy irradiation ; and $44.3{\pm}4.2%$ in G2/M, $21.1{\pm}3.5%$ in G1 at 24 hours after 50 Gy irradiation. The fraction of cells at 48 hours after 50 Gy irradiation could not be observed because of irradiation induced cell death of most of cells. All values for irradiated cells showed accumulation in G2/M phase and reduction in G1 phase, irrespective of irradiation dose. The results suggest that a single fraction of high dose irradiation with 50 Gy results in accumulation of cells at G2/M phase, leading to apoptosis.

      • 사지 골육종에서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건술

        김재도,이근우,정소학,Kim, Jae-Do,Lee, Gun-Woo,Chung, So-Ha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1

        목적: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의 추시 결과를 생존, 기능적 결과, 합병증의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골육종으로 진단받고,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3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117개월(17-177개월)이었다. 남자 24예, 여자 7예 였으며 평균 나이는 24세(7-74세)였다. 절제 방법으로 골연골절제 18예, 분절절제 6예, 전관절절제 5예, 조각절제 2예였다. 재건 방법으로 체외방사선 조사를 시행한 자가골 이식군이 25예,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군이 6예였다. 병리학적 분류 상 중심성 29예, 골막성 1예, 방골성 1예였다. 골육종의 부위는 원위 대퇴골 15예, 근위 비골, 상완골 및 근위 경골 각 3예, 원위 대퇴골, 원위 경골 및 골반골 각 2예, 종골 1예였다. 술 후 기능적 평가를 위해 MSTS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생존율 및 국소 재발,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생존율은 80.6%였고, 무병 생존율은 64.5%였다. 총 9예에서 원격 전이가 있었고, 이 중 5예에서 사망하였다. 국소 재발로 인해 1예에서 무릎위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총 31예 중 23예, 74.1%에서 합병증이 발생되었다. 불유합 7예, 심부 감염 5예, 관절 불안정성 4예, 금속물 문제 2예, 사지 부동(LLD) 2예, 금속물 주위 골절 1예, 골단판 붕괴 1예, 국소 재발 1예였다. MSTS score를 이용한 술 후 기능 평가에서는 평균 62.5%였다. 결론: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자가골 이식은 종양학적, 술 후 기능적 측면에서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분절 절제 및 조각 절제 이후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건술은 종양학적, 술 후 기능적, 합병증 발생 면에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Purpose: With advances in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limb salvage surgery has been commonly used in osteosarcoma of extremities. An alternative method for skeletal reconstruction is reimplantation of the tumor bearing bone following extracorporeal irradiation (ECI). We report the long-term results of ECI autograft in aspect of the oncological and function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31 osteosarcoma patients who underwent reconstruction with ECI between July 1995 and January 2006. There were 24 males and 7 females with a mean age of 24 (7-74 years) and a mean follow-up of 117 months (17-177 months). Twenty-five cases were reconstructed with ECI autograft, 6 cases with ECI autograft-prosthesis composite. The pathologic subtypes were conventional in 29 cases, periosteal in 1 case, and parosteal in 1 case. The most common location of tumor was distal femur (15 cases) followed by humerus (3), proximal fibula (3) and proximal tibia (3).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score was used for functional evaluation. The overall survival rate, local recurrenc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80.6% and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64.5%. Five patients died of distant metastasis. One patient required above-knee amputation due to local recurrence. All of them, twenty-three complications occurred, which included nonunion in 7 cases, deep infection in 5 cases, joint instability in 4 cases, metal failure in 2 cases, Limb-length discrepancy (LLD) in 2 cases, periprosthetic fracture in 1 case, epiphyseal collapse in 1, local recurrence in 1 case. The mean MSTS functional score was 62.5%. Conclusion: Extracorporeal irradiated autograft can be achieved relatively good result in aspect of onc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 but is needed to be additional research about occurring many complications. The reconstruction with ECI after intercalary or fragmentary resection is effective reconstruction in aspect of onc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 complications.

      • 감염된 종양 대치물 제거와 하지 단축 보정 후 시행한 사지 구제술 - 증례 보고 -

        권영호,김재도,정소학,조율,Kwon, Young-Ho,Kim, Jae-Do,Chung, So-Hak,Cho, Yoo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좌측 대퇴골 원위부 골육종 진단 받은 9세 여아로 광범위 절제수술과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받은 후 하지 부동과 성장판 손상이 있어 확장형 종양 대치물로 치환수술을 시행하였다. 그 후 종양 대치물에 심부 감염 발생하여 종양 대치물 제거 후 감염을 조절하기 위한 시멘트와 골수내정을 이용한 한시적 공간 대치물을 삽입하였다. 감염이 조절된 후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하지 부동(10 cm)에 대한 교정을 시행하였고, 마지막으로 종양 대치물 재삽입을 통한 관절 기능 보존을 시행한 1례를 보고 하고자 한다. In 1996, a nine-year-old girl was treated with recycling autograft after wide resection of the distal femoral osteosarcoma. The leg lengthening and revision with growing tumor prosthesis were performed due to limb leg discrepancy and epiphyseal problem. However, deep infection developed after operation, and a temporary spacer with cement and Ender nail was inserted. After infection was controlled completely, the final leg lengthening was performed with mono-external fixator for limb length discrepancy (10 cm). Lastly, Tumor prosthesis was reinserted to preserve the joint function.

      • KCI등재

        족관절 화농성 관절염이 동반된 난치성 외과 점액낭염의 음압 창상치료: 증례 보고

        김지연,장지훈,정소학,Kim, Jiyoun,Jang, Jihoon,Chung, So Ha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5 No.4

        A bursa is an obstructive sac filled with synovial fluid and usually occurs in any area of the body exposed to friction. The bursa of the ankle is not a normal anatomical structure and is caused by repetitive trauma, constant friction, or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nkle. Bursitis can occur in any bursa in the human body; however it rarely progresses to septic arthritis. We report a rare case of septic ankle arthritis following intractable lateral malleolar bursitis successfully treated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