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DN에서의 UNET의 설치에 관한 연구

        정성권,차의영,홍봉희,김명철 한국정보과학회 198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0 No.1

        이 논문에서는 System Development Network에 UNET을 설치하는 방법과 이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책, 그리고 UNET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We present the installation of UNET in System Development Network and describe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UNET installation. And also this paper explains the usage of UNET in SDN.

      • KCI등재

        북한산 출토 석불입상의 조성시기와 의미

        정성권 보조사상연구원 2022 보조사상 Vol.62 No.-

        The Bukhansan stone Buddha statue was introduced in its intact form through an excavation survey near Insubong Peak in Bukhansan in 2022. In this text,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Buddha statue was estimated first. The face of the Bukhansan stone Buddha statue is very similar to the face of the Gaetaesa Buddha statue made around 936~940 and the Stone Bodhisattva statue in Maesan-ri, Anseong, presumed to have been built around 960~963.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Bukhansan stone Buddha statue was built around the second half of the 10th century.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Bukhansan stone Buddha statue can be found in the will of the Goryeo central government, which tried to develop a transportation route that was close to a straight line from Gaegyeong to Gwangnaru, an important point crossing the Han River in the late 10th century. 북한산 석불입상은 2020년 북한산 인수봉 근처에서 발굴조사를 통해 온전한 모습이 소개되었다. 본문에서는 먼저 불상의 조성시기를 추정하였다. 북한산 석불입상의 상호는 936~940년경 만들어진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과 960~963년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의 상호와 매우 유사하였다. 북한산 석불입상 머리에 있는 보개 꽂이는 그 형태를 보아 장방형 보개일 가능성이 높았다. 이와 유사한 현존하는 보개는 981년 만들어진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의 보개가 있다. 북한산 석불입상의 복식 옷주름의 경우 바람에 펄럭이는 모습과 옷자락 끝단이 자연스럽게 여러 번 접히는 형태의 모습은 970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한 논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통해 보았을 때 북한산 석불입상의 조성시기는 10세기 후반경으로 추정할 수 있다. 북한산 석불입상의 조성배경에는 국가에 의해 빠른 교통로의 개척이 모색되었다는 점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북한산 석불입상은 개경에서 광진까지 ‘ㄱ’형태의 도로인 ‘장단도로’가 국가의 기간 교통로로 이용되는 10세기 후반경 개경에서 광나루까지 직선거리에 가까운 교통로를 개척하고자 노력했던 고려 조정의 의지를 보여주는 불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궁예미륵’석불입상의 구비전승적 연구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 포천 구읍리 석불입상을 중심으로-

        정성권 국립민속박물관 2012 민속학연구 Vol.0 No.30

        본 논문은 “궁예미륵”이라 불리는 석불입상에 관한 구비전승을 고찰한 논문이다. 그동안 궁예와 관련된 구비전승은 비교적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사실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러나 궁예 관련 구비전승 중 “궁예미륵” 석불과 관련해서는 전혀 연구된 바가 없으며 심지어는 궁예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 취급되어 왔다. 본고는 궁예 설화의 사실성에도 불구하고 “궁예미륵” 석불에 관한 구비전승이 허구로 취급되고 있는 점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궁예관련 구비전승의 사실성은 민속학과 국문학 분야에서는 물론 역사학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논의 되고 있음에 반해 “궁예미륵” 석불에 관한 구비전승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현재 “궁예미륵”이라 전칭되는 불상은 안성 기솔리와 포천 구읍리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각각의 지역에는 같은 지역내에 근접하여 각기 두 군데에 “궁예미륵”이 위치해 있다. 본고에서는 이 불상들 중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과 포천 구읍리 석불입상만이 궁예의 활동시기에 조성된 석불로, 원래의 “궁예미륵”으로 추정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반면에 안성 기솔리에 위치하며 “궁예미륵”으로 더 많이 소개된 국사암 석조삼존불입상과 역시 “궁예미륵”으로 더 많이 소개된 구읍리 석조보살입상의 경우 조성시기가 궁예의 활동시기와 관련이 없으며 적게는 1세기 많게는 5세기 가량 후에 조성된 불상들임을 밝혔다. 궁예관련 설화의 사실성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궁예미륵” 석불에 관한 연구가 전혀 없는 이유로는 궁예활동시기와 불상의 조성시기가 동떨어진 국사암 석조삼존불상과 구읍리 석조보살입상이 “궁예미륵”으로 더 많이 소개되었기 때문임을 논하였다. 본문에서는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과 포천 구읍리 석불입상이 “궁예미륵”으로 불리게 된 배경을 서술하였다.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 석불 자체의 양식분석과 지정학적 위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궁예미륵”에 관한 구비전승은 궁예 활동시기와 동떨어진 국사암 석조삼존불입상과 구읍리 석조보살입상이 더 많이 알려졌기 때문에 학술적 관심의 대상에서 멀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궁예의 활동시기와 일치되는 양식적 특징과 역사적, 지정학적 특징을 보여주는 기솔리 석불입상, 구읍리 석불입상의 경우 궁예 정권기에 조성된 “궁예미륵”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특히 기솔리 석불입상은 궁예의 직접적인 지시에 의해 조성되었으며 스스로 미륵이라 부른 궁예를 상징화하여 조성한 “궁예미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즉, “궁예미륵” 석불입상에 관한 구비전승은 기존에 연구된 궁예관련 구비전승과 마찬가지로 사실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Preference and Awareness of Telemedicine in Primary Care Patients

        정성권,권혁중,김은태,김선아,최재경,조동영 대한가정의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3 No.1

        Background: The telemedicine services in Korea are expected to rapidly expand its use to the general popu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networking, and its recent revision of related law and regu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elemedicine in primary care patients. Methods: We enrolled a total 243 participants, visited Family Medicine clinics and health promotion centers of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metrocity and Chungju city from April 1, 2010 to May 31, 2010.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knowledge and attitude of telemedicine. Results: Among the total of 243 participants, 117 (49.8%) respondents were aware of telemedicine, and 178 (73.3%) respondents preferred telemedicine. The awarenes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idence (P = 0.007), education (P = 0.03), and occupation (P = 0.02) of the respondents. The patient preference showed the differences at 50 years of age (P = 0.01) and in income of the participants (P = 0.005). Conclusion: Awareness of telemedicine in primary care patients was low. As for the patients more than 50 years of age who will be having difficulty manipulating the instruments, more education is crucial.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plans to increase patient preference is needed,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low‐incomes.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지질을 제거한 쥐 뇌의 Monoamine Oxidase 의 용해와 특성 연구

        정성권,최명언 ( Sung Kwon Chung,Myung Un Choi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5 BMB Reports Vol.18 No.3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lipid-protein interactions of monoamine oxidase (MAO) of rat brain, the membrane-bound MAO was solubilized with Triton X-100 after depletion of mitochondrial lipid by organic solvents. Extraction with chloroform and acetone removed 9696 of total lipid from mitochondria, while there was no apparent change in enzyme activity. Reactivation was performed by interacting the defined phospholipids with the solubilized MAO. The basic properties of the reactivated enzym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both membrane-bound and solubilized enzyme. It was found that phosphatidylcholine was the activator for the solubilized enzyme with 90% activation at the lipid to protein ratio of 6 to 1. When reactivated the stability of the enzyme improved greatly at 37? and the pH optimum of the solubilized enzyme shifted to that of the membrane-bound enzyme. While K_m value of 0.18 mM of the solubilized enzyme altered to 0.12 mM upon reactivation, the value of V_(max) remained unchanged. It seems that this system could provide a series of basic informations on the roles of phospholipids in rat brain MAO and the nature of the interactions between membrane-bound proteins and their environmental phospholipids.

      • KCI등재

        영주 및 봉화지역 7세기 신라 불교조각의 조성배경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을 중심으로-

        정성권 대구사학회 2023 대구사학 Vol.151 No.-

        This paper examines the Buddhist sculptures of the 7th century Silla in Yeongju-si and Bonghwa-gun, Gyeongsangbuk-do. It was revealed that the rock-carved Buddha statues of Jirimsa Temple in Bukji-ri, Bonghwa were created by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The Sutra of the Lotus』. The production period of this rock-carved Buddha statue is estimated to be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The rock-carved seated Buddha in Bukji-ri and the stone statue of Buddha in a cross-legged position in Bukji-ri are presumed to be sculptures from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Bukjiri Rock-carved Yeorae Seated Statue and the stone statue of Buddha in a cross-legged position statue was considered to reflect the patriotic character. The Jirimsa area is presumed to have been sanctified. The reason why the large Buddha statue was carved at Jirimsa Temple in Bukjiri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sanctuary of the ministry and the pilgrimage area of ​​Hwarang.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Gaheung-dong, Yeongju is a carved Buddha with excellent skill, high on a rock adjacent to a traffic route. In this tex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in Gaheung-dong was estimated to be in the 680s. The purpose of creating the Gaheung-dong rock-carved Buddha statue was to commemorate the feat of unifying the three kingdoms by Silla and the victory of the Silla-Tang War. 본 논문은 경북 영주와 봉화지역의 7세기 신라 불교조각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연구 대상이 된 불교조각은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북지리 지림사 마애불상군, 북지리 석조반가상 등이다. 봉화 북지리 지림사 마애불상군은 『법화경』 「견보탑품」의 내용을 반영하여 조성된 것임을 밝혔다. 이 마애불상군의 제작시기는 대승사 창건설화와 연계하여 6세기 후반~7세기 초반으로 추정하였다. 북지리 마애여래좌상과 북지리 석조반가상에 대해서는 근래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7세기 전반경의 조각으로 추정하였다. 북지리 마애여래좌상과 석조반가상의 조성배경에는 호국적인 성격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이 불교조각이 있는 지림사 주변지역에서 많은 수의 신라 고분군이 분포해 있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근거로 7세기 전반경 지림사 일대는 성역화 작업이 진행된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대형 불상이 조각된 이유 역시 사역의 성역화 및 화랑의 순례지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은 교통로와 인접한 바위 위 높은 곳에 우수한 솜씨로 조각된 마애불이다. 본문에서는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의 조성시기를 교통로 주변에 창건되었던 사찰의 조성시기와 비교하여 680년대로 추정하였다.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의 조성목적은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의 위업과 나당전쟁의 승리를 기념하며 전쟁 중에 죽어간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조성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