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쓰기 교재에서의 독자 고려 활동의 연구

        정미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4 언어와 문화 Vol.20 No.2

        . Writing is the act of communicating using letters. Therefore, writers must write taking into account the people who will read them. This is because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of the text vary depending on who is reading the text. Writing textbooks must present a variety of audience consideration activities, and those learning to write must acquire the ability to write by reflecting readers' expectations and needs while performing the activities. Nevertheless,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about what kind of content to include and how to structure audience consideration activities in writing textbook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nalyzes how audience consideration activities are structured in relatively recently developed Korean writing textbook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audience consideration activities for each textbook. Each textbook shows its own uniqueness, such as mainly consisting of activities targeting fellow learners, presenting only activities focused on general readers, or dealing with a relatively wider variety of activities more explicitly. There are also textbooks that contain almost no audience consideration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a direction for organizing audience consideration activities in writing textbooks.

      • KCI등재

        하단주석과 측면주석의 상대적 효과에 관한 시선추적 연구

        정미진,최성묵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19 중등영어교육 Vol.12 No.3

        By utilizing eye-tracking technology, we compared the relative efficacy of glosses located in the bottom margin (BM) versus side margin (SM) in terms of reading English text and vocabulary acquisition. Participants wer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N = 78) who have been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the BM or SM group and read English text corresponding to their group conditions. While they were reading the English text, their eye movements were registered by an eye tracker. They then responded to three post-reading tasks (vocabulary test,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lexical decision task). Analyses of eye movement data revealed that the BM group spent significantly longer time reading the English text as well as glosses than the SM group, indicating that glosses used in the side margins are more favorable to reading than those located in the bottom margins. Interestingl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nditions were observed in all post-reading tasks. These results have an important bearing on L2 materials development and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L2 acquisition literature.

      • A Versatile Approach to Direct Extracellular Matrix Coating Using Polydopamine and Fibronectin for Biomedical Devices

        정미진,박광숙,김익환,한동근,정윤기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Implantable biomedical device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and even attracted much attention for wearable devices such as implantable sensors and electronics. However, those have caused severe problems because of poor compatibility in biointerface. To overcome this, we employed a sequential coating of polydopamine (pDA) and fibronectin (FN) on a metal surface (CoCr). The surfacemodified CoCr was characterized by SEM, AFM, FTIR and XPS, and was applied to coat extracellular matrix (ECM) through decellularization. We also diversified the cell sources of coated ECM and compared each other using genetic and proteomic analysis tools. It is believed that the versatile sequential coating with pDA and FN will be not only a promising approach but also provide the information for the wide range of future applications in tissue regeneration.

      • KCI등재

        기업소설의 전개 과정 연구

        정미진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1 No.-

        이 글은 자본주의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던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네 편의 기업소설, 유현종의 『불만의 도시』(1968), 홍성원의 『중역탄생』(1973), 이병주의 『무지개사냥』(1982), 한유림의 『거대한 유산』(1985)을 대상으로 기업소설이 현실을 재현하는 방식과 의미를 살펴보고 기업소설의 전개 과정을 탐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들 소설은 공통적으로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개발독재 시대 경제 현실을 서사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소설의 구성적 측면에서 재벌 기업의 부정이나 부패를 초점화 하여 재벌 기업을 악으로 설정하는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 사회 내에서 기업과 기업인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제시하는 등 건전한 기업 운영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었던 시대의 상황을 환기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우리나라의 산업화와 그 과정에서 지대한 역할을 수행했던 기업과 기업인의 실상을 세밀하게 다룬 기업소설은 현실을 바탕으로 사회 문제의 형상화하여 문제를 제기한다는 측면에서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소설’이 하나의 장르로 자리매김하지 못한 것은 소설 담론 특유의 미학적 측면과 기업 현실의 세밀한 재현이라는 문학의 사회적 역할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way and meaning of bussiness novels reproducing reality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of bussiness novels with the four bussiness novels that have been written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era when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of Korea was in full swing, namely Yoo Hyun-jong’s 『City of Discontent』(1968), Hong Sung-won's 『Birth of Executives』(1973), Lee Byung-ju's 『Rainbow Hunting』(1982), and Han Yu-rim's 『Great Legacy』(1985). Commonly, these novels actively utilize the economic reality of the era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in narratives based on critical perceptions of the reality. In terms of the composition, these four novels move away from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setting the chaebol companies as evil by focusing on the injustice and corruption of these companies and proceed in the direction of evoking the situations of the time that was a stumbling block to healthy business operation by presenting the facts of business and business people in the society in a realistic way. The bussiness novels, which detailed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 and the reality of companies and businessmen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process, seem to play the social role of literature by raising the issue in terms of symbolizing the depths of social problems based on reality. Nevertheless, the fact that 'corporate novel' did not occupy its position as a genr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it failed to find a proper balance between the aesthetic aspect of unique discourse of novel and the social role of literature.

      • KCI등재

        청태전의 제조연도에 따른 품질 특성 비교

        정미진,최정,김은혜,정아영,기광연,고숙주,조정용 한국차학회 2022 한국차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장흥지역에서 위치한 19곳의 회사 중 1곳의 회사에 제조되고 있는 제조연도가 다른 청태전을 대상으로 형태학적, 성분학적 및 관능학적 특성을 분석한 다음, 제조연도(숙성기간)에 따른 청태전의 품질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청태전의 제조연도 별 무게와 부피는 2021년도에 규격화된 성형틀 이전에 제조된청태전으로 그 이후에 제조된 청태전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수분 함량 감소로 인해 숙성 1년 이후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청태전의 차엽과 우린물(차탕)의 색도는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명도인 Hunter L 값은 감소하고 적색도인 Hunter a 값과 b 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청태전을 숙성하는 동안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Gallic acid 함량은 청태전을 숙성하는 동안 증가하고 대부분의 catechin류 함량은 전반적으로 감소한 반면, C와 ECG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관능학적인 측면에서는 숙성기간이 긴 청태전이 숙성기간이 짧은 청태전에 비해 더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태전의 표준화 제조공정 확립과 더불어 고품질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 KCI등재

        신선 과일과 채소의 보관에 사용된 옹기의 저장성 향상 효과

        정미진,김남용,안덕순,이동선 한국포장학회 2010 한국포장학회지 Vol.16 No.2

        바나나, 단감, 딸기, 방울 토마토, 팽이버섯의 저장에서 보관용기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라스틱 용기와 유약 처리 옹기와 함께 유약을 바르지 않은 옹기와 자기(혹은 유리 용 기)를 사용하였다. 유약처리옹기가 바나나, 단감, 방울토마 토의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이었고, 딸기와 팽이버섯에 대해 서는 일부 약간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거나 미미한 영향 을 나타내었다.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품목은 에틸렌에 대 해 민감한 품목으로서 옹기의 에틸렌 흡착이 신선도 유지 에 관계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규 명이 필요하다. The effect of different containers on preservation of the fresh produces of banana, non- astringent persimmon, strawberry, cherry tomato and enoki mushroom was evaluated by storage test at controlled chilled temperature. Korean earthenware containers (onggi) glazed and/or unglazed were compared with plastic box and chinaware (or glass bottle). Glazed onggi was effective in preserving banana, persimmon and cherry tomato, while there was only marginal or little benefit with strawberry and enoki mushroom. The positive effect of glazed onggi on the freshness keeping for these ethylene-sensitive commodities is reasoned to come from adsorption of ethylene by the onggi, which needs to be tested by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