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ep inspiration breath-hold (DIBH) 적용한 림프절이 포함된 왼편 유방암의 방사선 치료계획에 따른 주변 장기 선량 평가

        정다이,강효석,최병준,박상준,이건호,이두상,안민우,전명수,Jeong, Da-Lee,Gang, Hyo-Seok,Choe, Byeong-Jun,Park, Sang-Jun,Lee, Geon-Ho,Lee, Du-Sang,An, Min-U,Jeon, Myeong-Su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9 No.1

        목 적: 왼편 유방암 환자의 경우 오른편 유방암 환자보다 심장과 폐 등 정상장기에 불필요한 선량이 일부 조사됨에 따라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DIBH기법을 시행하고 있다.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의 치료계획 방법에 따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 림프절을 포함한 왼편 유방암의 경우 주변 장기의 선량 값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왼편 유방암 환자 중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 림프절을 포함한 환자 8명을 대상으로 Free Breathing과 Deep inspiration breath-hold 기법을 적용하여 각각 CT-Simulation을 시행한다.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체표윤곽을 그려 95 %<PTV, $D_{max}$<110 %이 되도록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방법으로 계획하였다.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는 쇄골상 림프절에 1문조사, 유방 부분에 접선 2문조사로 Field in Field 기법을 사용하였다.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는 7개의 조사면으로 구성하였다.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은 회전반경을 $290^{\circ}{\sim}179^{\circ}$으로 한 2 ARC를 이용하여 계획을 수행하였다. Eclipse의 선량체적용적을 참고하여 주변 정상 장기 선량을 분석하였다. 결 과: Deep inspiration breath-hold기법을 적용함으로 심장과 흉벽 사이의 간격은 평균 $1.6{\pm}0.6cm$ 증가하였다. 폐의 평균 선량은 $19.2{\pm}1.0Gy$로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에서 가장 작은 값이 나타났다. 심장의 $V_{30}(%)$은 $2.0{\pm}1.9$로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에서 가장 작은 값이었다. 좌전하행 관상동맥에서는 평균 선량이 $25.4{\pm}5.4Gy$로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반대편 유방의 최대선량 값은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일 때 $29.7{\pm}4.3Gy$로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결 론: 주변 정상장기 선량의 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와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은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값으로 나타났다. 이 중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가 적합한 치료계획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On the left side, breast cancer patients have more side effects than those on the right side because of unnecessary doses in normal organs such as heart and lung. DIBH is performed to reduce this. To evaluate the dose of peripheral organs in the left breast cancer including supraclavicular lymph nodes and internal mammary lymph nod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planning method of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CT-simulation using free breathing and deep inspiration breath-hold technique for 8 patients including left supraclavicular lymph nodes and internal mammary lymph nodes. Based on the acquired CT images, the contour of the body is drawn and the convention is performed so that $95%{\leftarrow}PTV$, $Dmax{\leftarrow}110%$.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used a one portal technique on the supraclavicular lymph node and used a field in field technique tangential beam on the breast.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was composed of 7 static fields.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was planned using 2 ARC with a turning radius of $290^{\circ}$ to $179^{\circ}$. The peripheral normal organs dose was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dose volume of Eclipse. Results: By applying the deep inspiration breath-hold technique, the mean interval between the heart and chest wall increased $1.6{\pm}0.6cm$. The mean dose of lung was $19.2{\pm}1.0Gy$, which was the smallest value in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The V30 (%) of the heart was $2.0{\pm}1.9$, which was the smallest value in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n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the dose was $25.4{\pm}5.4Gy$, which was the smallest in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The maximum dose value of the Right breast was $29.7{\pm}4.3Gy$ at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Conclusion: When comparing the values of surrounding normal organs,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were applicable values for treatment. Among them,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s considered to be a suitable treatment planning method.

      • KCI등재

        서비스업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다이 한국보건사회학회 2023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 in Korean service workers. A total of 5,000 service employers who were working at least 1 hour a day from a nationwide sample were analyzed. A 11-items of Korean Emotional Labor Scale (K-ELS@11)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xposures to emotional labor. It consists of 4 sub-factors: ‘emotional regulation’ (2 items), ‘emotional dissonance’ (3 items)’, ‘organizational monitoring’ (2 items), and ‘organizational protective system for emotional labor’ (4 items). Depressive symptom for the past 1 year was measured using a dichotomous variable (‘Yes’ vs. ‘No’)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and job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four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were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 (emotional regulation, OR: 1.389, 95% CI: 1.209-1.596; emotional dissonance, OR: 2.481, 95%CI: 2.107-2.922; organizational monitoring, OR: 1.623, 95% CI: 1.416-1.861; organizational protective system for emotional labor, OR: 1.414, 95% CI: 1.230-1.625) after adjustment for sociodemographics(sex,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marital status) and job characteristics(working duration, weekly working hours, type of employment, job types, and shift wor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rvice workers’ emotional labor during performing their duties might contribute to develop depressive symptom. 최근 산업구조의 변화로 서비스업 종사자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고, 서비스가 경제화되면서서비스업 분야는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져 근로자에게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서비스업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하루 1 시간 이상 고객응대업무를 하는 국내 서비스업 종사자 5,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감정노동은 ‘감정규제’, ‘감정부조화’, ‘조직모니터링’, ‘감정노동 보호체계’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형 감정노동 평가도구(K-ELS®11)를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울은 최근 1년간 경험한 우울증상을 이분형(‘있다’ vs. ‘없다’)으로 측정하였다. 서비스업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우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성,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월 평균 급여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근무지역, 근무기간, 주당 고객응대시간, 교대근무, 고용형태, 직종 등의 직업특성을 보정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SPSS/PC(ver. 23)를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의 4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감정노동의 수준이 ‘정상’ 집단에 비해 ‘위험’ 집단이 우울위험도가 높았다(감정규제, OR: 1.389, 95% CI: 1.209-1.596; 감정부조화, OR: 2.481, 95%CI: 2.107-2.922; 조직모니터링, OR: 1.623, 95% CI: 1.416-1.861; 감정노동 보호체계, OR: 1.414, 95% CI: 1.230-1.625). 이 연구를 통해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높은 수준의 감정노동 노출이 우울의 위험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건강 및 삶의 질 제고를위한 개인적, 조직적, 제도적 차원의 관리방안 도입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다이 한국보건사회학회 2022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61

        소방공무원은 화재, 지진, 대규모 모임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의 재난들로 인해 감정노동의 업무 강도가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이는 소방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이미 많은선행연구에서도 감정노동이 소진을 유발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화재진압, 구조, 구급, 행정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국내 소방공무원 총 18,075명을 분석하였다. FRESH (Firefighter Research: Enhancement of Safety and Health) 연구의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감정노동은 K_ELS®24의 5가지 하위요인을 측정하였고, 소진은 Maslach Burnout Inventory(MB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PC(ver. 23)를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소방공무원의 성,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주업무, 교대근무, 흡연여부, 주관적 건강상태를 보정한 후 감정노동의 5개 하위척도(‘감정조절의 요구 및 규제’, b=0.133, F=510.223, p<0.001; ‘고객응대의 과부하 및 갈등’, b=0.111, F=529,442, p<0.001; ‘감정부조화 및 손상’, b=0.149, F=733.982, p<0.001; ‘조직의 감시 및 모니터링’ b=0.130, F=564.316, p<0.001; ‘조직의 지지 및 보호체계 결여’, b=0.111, F=510.223, p<0.001) 모두에서 소진과 유의한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소방공무원의 업무상 수행과정에서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지속적인 노출이 소진으로 이어짐을 시사한다. 소방공무원의 소진이 화재진압 등 국민들의 안전과 건강에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소방공무원의 감정노동의 강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개인적 제도적 차원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자기점검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받아쓰기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받아쓰기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정다이,손승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목적] 초등학교 고학년 지적장애학생은 저학년 때부터 반복되어 온 받아쓰기 활동으로 인하여 학습된 무기력 또는 동기 부족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쓰기 활동이 확장되는 상급학교 진학 이전에 받아쓰기에 대한 자발적 학습 태도와 흥미를 갖출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의 받아쓰기를 위하여 자기점검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를 실시함으로써 받아쓰기의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경기도 G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소속 지적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로 설계하였다. 중재자는 연구자 1인으로 교내 개별 공간에서 학생과 일대일로 10주간, 기초선은 대상자별로 3~5회기 수집하였고 중재는 회기당 20분씩 총 20회기 실시하였으며 중재 종료 후 3회기 유지를 수집하였다. 중재충실도는 평균 95.8%이었고, 사회적 타당도는 평균 98.1%로 나타났다. 받아쓰기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를 수치화하여 시각적 분석을 하였고 NAP와 Tau-U 값을 산출하였다. [결과] 대상자 3명 모두 받아쓰기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가 기초선 구간과 대비하여 중재와 유지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중재 효과 크기는 과제수행행동의 경우 세 학생 모두 1.00으로 매우 컸고, 성취도의 경우 학생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A= .97, B= .81, C= .87). 유지 효과 크기는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 모두 1.00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기점검법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받아쓰기 중재는 지적장애학생의 받아쓰기 과제수행행동과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Purpos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re likely to develop learned helplessness or lack of motivation due to repeated dictation activities since lower grades,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voluntary learning attitudes and interest in dictation before entering middle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ctation on task performance and practice by conducting interventions using Self-monitoring and Application for dict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was designed on 3 students with integrated disabilities belonging to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nd was designed with multiple-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A researcher provided 3 to 5 sessions of baseline, 20 sessions of interventions(20 minutes per sessions), and provided 3 sessions of maintenance for 10 weeks. This study was one to one intervention and provided in individual spaces of elementary school. The average of intervention fidelity was 95.8%, and the average of social validity was 98.1%. The researcher quantified the On-task behavior and Dictation performance, performed visual analysis for each student, and calculated NAP and Tau-U values. [Results] Both On-task behavior and Dictation perform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compared to the baseline. The size of the intervention effect was very large at 1.00 for all On-task behaviors, and Dictation performance was somewhat different for each student (A=.97, B=.81, C=.87). The size of the maintenance effect was found to be very large at 1.00 for both On-task behavior and Dictation performance. [Conclusion] Dictation Intervention with Self-Monitoring And Appl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n-task behavior and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 Review of the Literature

        정다이,김창수,장세진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8 Yonsei medical journal Vol.59 No.2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nd to explore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review indicate that emotional labor is a job stressor that leads to burnout. Further examination of personality traits, such as self-efficacy and type A behavior pattern,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between emotional labor and health outcomes, such as burnout, psychological distress, and depression. The result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ess management programs to reduce the adverse outcomes of emotional labor, as well as copingrepertories to strengthen the personal potential suitable to organizational goals. Moreover, enhancing employees’ capacities and competence and encouraging a positive personality through behavior modification are also necessary.

      • KCI등재

        고구려 석실봉토분의 구조변천과 계층성

        정다이 숭실사학회 2014 숭실사학 Vol.0 No.33

        고구려 석실봉토분은 횡혈식 석실의 외부에 흙을 쌓아 봉분을 만든 무덤으로, 4~7세기 고구려의 중심묘제 이다. 본고에서는 무벽화분을 포함한 석실봉토분을 대상으로 석실 구조의 변천과 지역별 전개양상을 검토하는 한 편 고분의 계층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석실의 수와 연도 위치, 천장 형태, 벽화 등의 구조와 축조방식에 따른 형식분류 결과, 석실봉토분은 크게 단실분, 이실분, 다실분으로 구분되고, 단실분과 이실분은 각각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구조상의 차이는 시간의 흐름을 반영하는 동시에 고분의 분포범위와 계통의 차이, 피장자의 사회적 신분 차이도 반영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단실분, 이실분, 다실분은 4세기 중반 평양지역에서 출현하여 4세기 후반부터 집안지역으로 확산되어 병존 하다가, 6세기에 이르면 이실분과 다실분은 더 이상 축조되지 않고 평행삼각고임천장의 단실분으로 통일되 어가는 양상이 나타난다. 고분의 분포범위는 크게 평양지역과 집안지역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석실봉토 분의 연원과 관련한 계통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구조의 분석 결과 피장자의 사회적 지위는 크게 3계층, 작게는 4계층으로 구분된다.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고분은 석실의 구조, 규모, 축조방식, 분포 범위의 차이가 있고, 하위 계층 석실은 시기가 지나도 큰 변화가 없으나 상위 계층 석실은 시기에 따라 구조 와 축조방식이 변천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6세기 중후반을 전후해서는 상위계층 고분의 구조와 축조방식 이 통일되어 가는데, 이러한 현상은 고구려의 중앙집권화 과정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고구려 석실봉토분은 고구려가 고대국가로 성장ㆍ발전하는 역사적 과정과 그 궤를 같이 하며, 동시에 피장자가 생 전에 가졌던 권력의 표상이 됨을 알 수 있다. In Koguryo, stone chamber tombs with a mound were constructed by piling up earth outside a stone chamber to build a mound and served as the mainstream tomb style during the period of the 4th to 7th century.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changes and local development patterns of stone chamber structure among stone chamber tombs with a mound including the ones with no murals, as well as to examine the hierarchy of ancient tombs. The study first categorized the tombs by the formats according to the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the number of stone chambers, the year and location of construction, type of the ceiling, and murals. As a result, stone chamber tombs with a mound were mainly categorized into the ones with one chamber, two chambers, and multiple chambers. The ones with one chamber were further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the ones with two chambers into four groups. Such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reflected not only the passage of time but also the distribution scope of ancient tombs and differences in the social status among the buried. Stone chamber tombs with a mound with one chamber, two chambers, and multiple chambers first appeared in the Pyeongyang area in the middle 4th century and spread to the Jipan area in the latter half of the 4th century, continuing their coexistence. Entering the 6th century, however, the ones with two or multiple chambers were no longer constructed with a trend toward unification around one-stone chamber tombs with a mound and a ceiling with parallel triangular props. The distribution scope of the ancient tombs was divided into the Pyeongyang and Jipan area, which is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 lineage related to the origi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a mound.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buried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ocial classes on a large scale and four social classes on a small scal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size, construction method, and distribution scope of stone chamber between the tombs of the upper class and those of the lower class. There were no big changes to the stone chambers of the lower class over time, whereas those of the upper class changed in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ver time. In the middle and latter half of the 6th century, the tombs of the upper class became unified i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which seems to reflect the centralization process of Koguryo. In short, stone chamber tombs with a mound of Koguryo followed the historical course of Koguryo growing and evolving into an ancient state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ed the power of the buried when they were alive.

      • KCI등재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근무환경 분위기,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다이 한국치위생학회 2019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9 No.5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Korean dental hygienists. Methods: A total of 806 dental hygienis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the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organizational climate, job involve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subject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for Windows (version 23.0) and p-values < 0.05 were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Highly chronic exposure to emotional labor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especially in the sub-scales of “over-load and conflict in customer service” (OR: 1.64; CI: 1.01– 2.64), “organizational surveillance and monitoring” (OR: 1.76; 95% CI: 1.21–2.57), and “lack of a supportive and protective system in the organization” (OR: 1.76; 95% CI: 1.36–2.46). Job involvement (OR: 0.91; 95% CI: 0.86–0.96) and organizational climate (OR: 0.82; 95% CI: 0.75– 0.90)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Conclusions: Exposure to chronic and excessive emotional labor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for turnover intention, and job involvement and a positive organizational climate contribute to protecting the negative impacts of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in dental hygienists.

      • KCI등재

        Association of Emotional Labor, Self-efficacy, and Type A Personality with Burnout in Korean Dental Hygienists

        정다이,이현옥,정원균,윤진하,고상백,백지윤,현대성,장세진 대한의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2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nd whether the levels of self-efficacy and type A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crease the risk of burnout in a sample of Korean female dental hygienists. Participants were 807 female dental hygienists with experience in performing customer service for one year or more in dental clinics, dental hospitals, or general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to elucidate the additiv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type A personality on burnout. The results showed that “overload and conflict in customer service,” “emotional disharmony and hurt,” and “lack of a supportive and protective system in the organiz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With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burnout, we found that personal traits such as self-efficacy and type A personal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urnout, which confirmed the additiv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type A personality on burnou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ngaging in excessive and prolonged emotional work in customer service roles is more likely to increase burnout. Additionally, an insufficient organizational supportive and protective system toward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accelerate burnout. The present findings also revealed that personality traits such as self-efficacy and type A personality are also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 KCI등재

        초등학교 AI 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정다이,박형빈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3

        AI 개발은 그 어떤 변화보다 인간의 삶을 뒤흔드는 혁명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데이터 처 리와 분석을 재편하는 머신러닝, 딥러닝, 인공신경망과 같은 AI 접근 방식은 의료, 운송, 생산라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율 및 반자율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AI의 행위와 관련된 윤리 문제는 사회 윤리의 일부로 여겨지고 있는 현실이다. AI가 ‘윤리적이어야 한다.’라는 동의에도 불구하고, ‘윤 리적 AI’를 정의하고 실현하기 위한 요소, 윤리적 요구사항, 기술 표준, 모범 사례 등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때 AI는 교육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래 AI의 설계자, 개발 자, 사용자, 평가자로서의 역할을 할 초등학생들에게 AI 윤리 교육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역량이 AI와 함께 살아갈 미래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수 역량으로 자리 잡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AI가 야기할 윤리적 문제를 조정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AI 윤리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인공지능 윤리 관련 내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중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 후에 AI 윤 리와 관련된 필수 내용을 ‘자율주행 자동차, 사이보그, 뇌, 교육’의 4가지 주제 중심으로 체계화하여 수업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수업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한다. AI 윤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현장에 선제적으로 구안 및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 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인공지능 윤리 프로그램의 도입은 인지, 정의, 행동적 영역 모두에서의 도 덕적 사고력 및 AI 리터러시 증진을 이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주제 중심의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 학습에 대한 흥미도가 증대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중 개별 학습의 제공한 것 이 AI 윤리 문제와 관련한 학생들의 입장을 명확하게 하는 것에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2022 개 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AI 윤리의 핵심 내용이 추출되어 정리되고 새로운 기능, 역량이 추가되 어 현장에 보급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velopment is leading to a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in human life. AI approaches, such as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which restructure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ar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care, transportation, and production lines, as autonomous or semi-autonomous systems. However, ethical issues regarding AI behavior remain a significant societal concern. Despite the consensus that AI should be ethical, debates are ongoing about defining and realizing ethical AI, which encompasses elements of ethical AI, ethical requirements, technical standards, and best practices, among others. Particularly, AI plays a crucial role in the field of education. Elementary-school students, who will become designers, developers, users, and evaluators of future AI, must develop the capacity to address and solve ethical issues that emerge from AI use. Hence, AI ethics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is necessary for cultivating the skills required to become essential participants of a future society that extensively uses AI.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of Republic of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AI ethics education. It then proposes a lesson plan by organizing essential AI ethics–related content that focuses on four themes, namely, autonomous driving cars, cyborgs, the brain, and education. Finally, it assesses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lesson plan through implementation in real-world classrooms. The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fter the proactive implementation of the AI ethics education program in classrooms. First, introducing AI ethics programs enhanced moral reasoning and AI literacy in the cognitive, defini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Second, the interest of students in AI ethics education in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theme-centered AI Ethics program. Third, allowing individual learning within the program helped elucidate the position of students on AI ethics issues. Finally, the study extracted and organized the core content of AI ethics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need for the dissemination of AI ethics in the field with the addition of new features and capabilities.

      • KCI등재

        평균 얼굴 순응에 따른 얼굴 변별 정확도 변화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과 정상 발달 집단의 차이 연구

        정다이,정경미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4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creased face identity discrimination after the adaptation with an average face is shown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who are known to have deficits of face recognition. Children with ASD (n=10) and age/IQ-matched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n=10)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e practice,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distinguish three female faces as pre-identification task. Then, they were asked to see an average faces for the adaptation. After adaptation for five minut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n identification task aga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in face discrimination was not found in children with ASD, whereas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children with TD. In addition, the increase of face discrimination in children with T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SD. Last, children with TD only showed the increased sensitivity of face discrimination in mid-point intens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ith ASD have difficulty in face norm recalibra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평균 얼굴 순응에 따른 얼굴 변별 정확도 증진 여부를 살펴봄으로써 규준 재조정의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받은 남자 아동․청소년(n=10)과 지능, 연령을 매칭한 정상 발달 남자 아동․청소년(n=10)을 모집하였다. 참가자들은 3개의 얼굴 자극을 학습한 뒤, 8개 수준의 얼굴 정체성 강도로 구성된 사전 식별 과제를 실시하였다. 식별 과제를 수행한 후 5분 동안 평균 얼굴 순응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동일한 자극 식별 과제를 반복하였다. 결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의 경우 순응 전 후에 따른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정상 발달 집단에서는 강도별 순응 전 후 정확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정상 발달 집단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보다 순응 전 후에 따른 정답률 증가량이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상 발달 집단의 자극 강도별 사전․사후 정답률의 차이 값을 살펴본 결과, 중간 강도의 자극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이 새로운 얼굴 자극 정보를 받아들여 규준을 재조정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