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DNA Microarray 기술로 동정된 난소 암 종의 c-IAP1 유전자 과 발현

        이태성,조치흠,차순도,곽정식,박관규,백원기,서성일,서민호,정년철,배인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목적: 세포사는 모든 다세포 유기체의 진화와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활동이다. 이런 세포사에 억제작용이 있다면 세포는 무한 증식을 하여 암화로 이루어 질것이다. cDNA microarray 분석을 통해 난소 암 종과 정상 난소 조직에서 588개의 유전자를 비교하여 c-IAP1의 유의한 증가를 난소 암 종에서 관찰하였고, 이것을 많은 예에서 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1997년 1월부터 1998년 8월까지 계명대학교 산부인과에서 수술한 환자가운데서, 난소 암 환자 12예, 양성 난소 낭종 2예, 난소 병변 외에 요인으로 자궁적출술이나 근종제거술시에 일측 난소를 제거한 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RT-PCR과 면역 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저자들은 난소 암에서 apoptosis 억제인자인 c-IAP1이 암화 과정에 관여하는지를 규명해보기 위하여 RT-PCR과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검증한 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RT-PCR 분석으로 12예의 난소 암 종 조직의 전 예에서 c-IAP1의 과 발현을 나타내었고, 정상 난소 조직 5예 중에 2예에서는 과 발현이 있었고, 2예에서는 미약한 발현을 보였다. 양성 난소 낭종에서는 자궁내막종에서 발현이 있었고, 점액성 낭종에서는 발현이 없었다. 조직 내에서의 유의성을 보기위해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12예의 난소암 중에서 전 예에서 발현이 관찰되었고, 정상 난소조직에서는 5예 중 4예에서 황체에 국한되어 발현이 있었으나 정상 난소 기질조직이나 초기 난포에서는 발현을 관찰할 수 없었다. 양성 난소 낭종에서는 자궁내막종에서 발현이 있었으며, 점액성 낭종에서는 발 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apoptosis 억제인자인 c-IAP1은 난소 암 종의 암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의 일부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Programmed cell death or apoptosis is a fundamental event in the developmental and homeostatic processes of all multicellular organisms. In this study, we preliminarily evaluated comparative patterns of gene expression between ovarian carcinoma and normal ovary by cDNA microarray analysis[Clontec Laboratory, Inc.]. We identified the overexpression of c-IAP1 in ovarian carcinomas compared with normal ovary. This finding was obtained using RT-PCR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in large scale. Methods: Twelve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tissues, 5 normal ovarian tissues from benign gynecologic disease and 2 benign ovarian tumor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c-IAP1 by RT-PCR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Results: All cases of ovarian carcinoma tissues were positive and 2 normal ovarian tissues were negative for c-IAP1 by RT-PCR assay. Two of 5 positive normal ovarian tissues were weakly positive compared with positive ovarian carcinoma tissues. The source of the c-IAP1 expression was further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udies. c-IAP1 was detectable in all ovarian carcinoma tissues which were positive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Expression of c-IAP1 in normal ovarian tissue was localized exclusively in the corpus luteum. There was no expression in normal ovarian stroma cells for c-IAP1 prote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IAP1 is produced by ovarian tumors in vivo and that association between antiapoptosis and tumor generation may be clinically relevant. Expression of c-IAP1 in corpus luteum suggest that may be involved in ovarian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