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 개발

        전희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4

        Using method of flipped classroom model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has been studied in this pap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to use method of flipped classroom model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for making all student best learner. In order to get my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definition of flipped class and needs of utilization of flipped classroom strategy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was discussed. Secondly, student-centered learning as a logical basis of flipped classroom model was described in detail. Thirdly, Using case of flipped classroom model case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was developed and introduced in this article. Fourthly, implications of using flipped classroom strategy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were suggested. Finally, I suggest that systematic agencie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members of public schools have to make and spread ‘video lectures’ for the purpose of use effective flipped class strategies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을 활용하는 방법을 탐색하여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사회과 수업이 안고 있는 표준화·획일화에 따른 학습자 간 학습 격차문제를 극복하고 모든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증진하도록 돕는데 있다. 거꾸로 교실은 토론·탐구 등의 과제 활동을 교실에서 주로 하고, 개념·이론은 온라인 강의 시청을 통하여 습득함으로써 교실 수업을 더욱 학습자중심 수업이 되게 하는 데 기여하는 미래형 수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 수업 사례 개발의 일환으로 ‘거꾸로 교실’ 개념 정의 및 사회과교육에서 거꾸로 교실 활용의 필요성, 거꾸로 교실의 논리적 기초로서 학습자-중심 학습 이론, 사회과 거꾸로 교실 활용 사례 개발, 사회과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 활용의 의의 등이 제시되었다. 거꾸로 교실의 활용은 적은 수업 배당 시수에 비하여 ‘학습내용이 과다하고 어려운’ 사회과 수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대안적 수업 모델이다. 사회과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의 원활한 적용을 위한 선결 조건은 관련 기관과 학교 단위 교사 학습 공동체의 동영상 강의 개발·보급, 거꾸로 교실을 운영할 수 있는 교사 전문성 육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계속적인 이론·실천 연구와 이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요청된다.

      • 초등사회과교육 내용에 나타난 ‘사회집단 ’의 상호작용 양식 : 계층·성·세대·지역 집단을 중심으로 Focused onSocial Stratification, gender, Generation, and Local Group

        전희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2 사회과교육 Vol.41 No.4

        본 논문은 ‘사회기능론과 갈등이론의 두 관점에서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계층, 성, 세대, 지역 집단의 상호작용 양식’을 분석 연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사회과교육의 내용구성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내용을 선정해야 한다고 본다. 즉, 사회의 안정 및 통합을 유지하고 사회적 구성요소간 갈등문제 및 역기능적 요인의 해소를 통한 사회발전을 위하여 사회과교육은 기능론적 관점 뿐만 아니라 갈등론적 접근 및 해석학적 접근 등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하여 선정·조직될 필요가 있다. The interaction patterns among social stratification, gender, generation, and local group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content have been studied in this report. The main goal of this report is to make contributions to building-up the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ocial studies content.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organize the social studies content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variety of point of view over social group interaction. That is, in order to maintain social stability and integration and to expedite the social development by releasing conflicts among social components and disfunctional elements, various approach methods including functionalism, conflict theory, and interpretative theory, have to be employed to compose the social studies cont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의 의미

        전희옥,권혁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2

        Implications of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instructional lesson plan has been studied in this articl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lesson planning in the view point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order to get my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needs of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instructional lesson plan were proposed. Secondly, implications of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instructional lesson plan were discussed. Thirdly, teachers, learners, curriculum, and education environment as variables for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instructional lesson plan were reviewed. Fourthly, direction of instructional lesson plan with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was introduced. I think that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instructional lesson plan means reflection for cultur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group members, citizen of nation, and global citizen as existence of cultural life in order to realize equality education for all of students. How do we train for teachers to make instructional lesson planning in the view point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respond this question, it’s important to pu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to curriculum of teachers colleges.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에 대한 학교 교육 측면에서 대응 방안으로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하여 수업의 주요 요인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는 수업 방법 모색’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다는 것은, ‘교사의 교수-학습 계획에서 실질적인 공정성에 바탕을 둔 평등교육 실현과 이를 위한 문화생활 주체(개인, 집단 구성원, 국가·세계 시민)로서 학습자와 교사자신의 다양한 특성, 교육과정, 교육 환경 등을 고려하는 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계획’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어떻게 하면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여 수업 설계를 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일차적으로 그러한 교사를 양성하는 교사 양성 대학 및 연수 기관의 교육과정에 문화적 다양성 교육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관련 기관의 실행 노력이 요청된다.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에서 ‘자기 조직화 학습 환경(SOLE)’ 적용 방법 탐색- 초등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

        전희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7 사회과교육연구 Vol.24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자기 조직화 학습 환경(Self Organized Learning Environment: SOLE) 논리 및 연구 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자기 조직화 학습 환경 적용 사례를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학교 사회과 교사가 수업에서 SOLE 적용을 원활히 하도록 돕는데 있다. 자기 조직화 학습 환경은 정보화와 평등교육 요구에 따라 시도된 것으로 통신망, 자율 집단 활동, 격려 등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학습 환경 시스템인 동시에 수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내용으로 SOLE 논리 및 연구 사례 검토, 초등사회과 수업에서 SOLE 적용 방향·사례 개발·의의 등이 진술되었다. 결론적으로 사회과 수업에서 SOLE 적용 시 장점으로 자율 집단 활동을 통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증진, 친절한 조력자로서 교사의 개입 최소화에 의한 학습 효율 극대화, 학습자의 문화적 및 학습 다양성을 자연스럽게 반영할 수 있는 수업 기법이라는 점, 민주 사회의 주체적인 예비 시민에게 필요한 자율성·창의성·협력 등의 역량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수업에서 이 환경 적용 시 보완해야 할 점으로 장기간에 걸친 적용을 위한 의도적 노력과 인내, 수업에 이러한 환경을 지혜롭게 적용할 수 있는 교사 양성 등을 들 수 있다. Embedding self organized learning environment(SOLE) into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room has been studied in this paper. SOLE means a learning environment system as strategy of instruction which was developed with combination of communication inter-network systems and facilitator’s encouragement toward autonomous group activity of learner for equity pedagogy in information technology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producing exampl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ocial studies lesson plan which embed SOLE into the social studies, to help teachers applying easily SOLE into the classroo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ly, basic hypothesis of SOLE in education were reviewed. Secondly, implications of the social studies lesson which were driven from analysis of two studies examples applying SOLE were driven. Thirdly, the way how to apply SOLE into the social studies was inquired. Fourthly, examples of lesson planning procedure which embed SOLE into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were presented. Fifthly, lesson plan examples for applying SOLE into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were made. Lastly, significances after making lesson plan examples for applying SOLE into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were written. Consequently, we can point out that SOLE is able to help learners enhancing their potential ability through it’s appropriate use in the social studies class. It’s necessary to educat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who can smoothly embed SOLE into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make a following comprehensive study on A Study on Chosun’s Education”, only one magazine for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magazine covers all areas of elementary education fro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후보

        문화호응적인 다문화 교사 교육기관 교육과정 탐색

        전희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directions of curriculum structures for mak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 It is import for college of education to make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to greatly treat multi-cultural students, with going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t's important for the study of culturally responsive education basi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to prepare those teachers. Culturally responsive education is a part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cause both of them intend to be equal in the access of public education among all students. First of all, it is culturally responsive in a sense that class instruction practices concentrate the caring for the situations of culturally diverse students. Study contents to get the purpose are as below:Firstly, the needs and meanings of culturally responsive education have been studied. Secondly, it? been researched how do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look like. Thirdly, it's discussed what's the main factors of curriculum to prepare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Fourthly, directions of prepar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has been introduced, in the sides of curriculum building in colleges of education and the selection and training of teachers for public school. 이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교사 교육의 한 접근으로서 ‘문화호응적인 다문화교사 교육’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정 조직의 방향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호응적인 교사양성을 위한 교사교육기관의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조직·운영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한국의 다문화 사회화 진전으로 교사 교육기관에서는 다문화적 교실 지도능력을 지닌 교사 양성을 위하여 더욱 체계적이고 계속적인 다문화교육과정 설계와 실천, 그리고 이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문화호응적인 교육은 모든 학생들의 교육기회 평등을 목적으로 한다는 의미에서 다문화교육에 해당되며, 특히 문화적으로 다양한 학생들의 입장을 배려하는(Caring) 학교 교실수업 운영에 초점을 둔다는 의미에서 ‘문화호응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내용으로 먼저, 문화 호응적인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둘째로, 문화 호응적인 교사의 모습에 대하여 진술하였다. 셋째로, 문화 호응적인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요소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넷째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교육의 차원에서 한국 다문화사회화에 따른 대응 방향에 대하여 교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설계, (예비)교사 선발과 채용 및 재교육 등의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교육과정 ‘의사결정’ 내용요소의 적용 방향

        전희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2

        >Applications of Decision-Making Content Factor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현행 사회과교육에서 매우 중요시하는 ‘의사결정 내용요소’의 적용 실태를 점검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학교 사회과교육과정에서 바람직한 ‘의사결정’ 내용요소의 선정조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먼저, 사회과교육과정 ‘의사결정’ 내용요소 분석기준 마련을 위한 이론적 논의를 실시하였다. 둘째로, 이론적 논의를 통해 도출된 기준에 따라 초중고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 의사결정 관련 단원 내용에 대하여 ‘사회제도 기능’요소, ‘사회적 역할’요소, ‘사회문제’요소의 측면에서 수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로, 분석결과를 기초로 사회과교육과정 ‘의사결정’ 내용요소의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회과교육에서 의사결정 교육은 겉모습만 화려한 슬로건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 간에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을 통해서 그 실제적 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고 본다. 사회과교육과정 운영을 통하여 의사결정 능력이 의도적이고 체계적으로 육성된 시민들은 실제 사회생활에서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실행함으로써 더욱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시민들로 구성된 사회, 국가, 세계는 강력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본다. 경쟁력을 지닌 시민 육성을 위해 사회과교육에서는 의사결정 교육 이론과 실천 측면에서 개발과 적용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요청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