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페르소나 모델을 통한 UX 디자인 STEAM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전진수,박남제,Jeon, Jinsoo,Park, Namje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최근 정보통신 분야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사용자경험 디자인과 관련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정보통신 관련 미래 유망직업에 대한 진로를 체험할 수 있는 교재 개발과 수업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3차시 분량의 교재는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학생의 지적 발달 수준과 IT 관련 선행지식, 학습자의 흥미 등을 고려하여 페르소나 모델 분석을 통한 UX 디자인 STEAM 교육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최신 정보통신 관련 이론의 습득은 물론 체험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IT 관련 직업 탐색, 소양 발달 등에 많은 효과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career in UX(User Experience) designer and presents how to teach for UX design that is stressed in IT industry recently. We develop the textbook which is for 3 class periods for STEAM career exploration of UX designer for K-3 and K-4 students considering their students' intellectual level, prior knowledge and interests. We will offer this program to K-3 and K-4 students, soon. It will be expected that students can accept the knowledge about UX design and explore the career for UX designer.

      • SCOPUSKCI등재

        부위별 돼지고기의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

        전진수(Jinsoo Jeon),장영현(Younghyeon Jang),정명근(Myoung-Gun Cho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4

        돼지고기의 부위별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에 대한 정보는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PLC를 이용하여 국내 유통 돼지고기의 부위별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부위별 돼지고기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은 0.520~1.436 mg/100 g 범위였으며, 총 22개 부위의 평균 함량은 0.981±0.307 mg/100 g이었다. 피리독신의 함량 범위는 0.018~0.042 mg/100 g이었으며, 총 22개 부위의 평균 함량은 0.034±0.006 mg/100 g이었다. 부위별 돼지고기 중 도가니살은 판토텐산(1.125±0.254 mg/100 g) 및 피리독신(0.039±0.005 mg/100 g) 함량이 모두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부위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돼지고기의 부위별 함유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향후 국민건강 및 식생활 증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for each cut of pork. This study applied HPLC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in 22 cuts of pork distributed in Korea. Pantothenic acid was obtained in the range 0.520∼1.436 mg/100 g, and the mean content was determined to be 0.981±0.307 mg/100 g. The pyridoxine content ranged between 0.018∼0.042 mg/100 g, with mean content at 0.034±0.006 mg/100 g. Statistically, the highest contents of pantothenic acid (1.125±0.254 mg/100 g) and pyridoxine (0.039±0.005 mg/100 g) were obtained in ‘Doganisal’. We believe our results will provide a suitable database to help improve people’s health.

      • KCI등재

        국내 육성 잡곡에 함유된 Thiamine, Riboflavin 및 Niacin 함량

        전진수(Jinsoo Jeon),이상훈(Sang Hoon Lee),최용민(Young Min Choi),정명근(Myoung-Gun Cho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2

        잡곡은 영양학적 이점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육성된 잡곡류의 수용성 비타민 함량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육성 잡곡류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 thiamine, riboflavin 및 niacin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을 통해 분류 특성을 검토하였다. Thiamine 및 riboflavin이 가장 많이 함유된 잡곡은 기장이었으며, niacin이 가장 많이 함유된 잡곡은 보리였다. 반면 옥수수는 thiamine 및 niacin 함량이 가장 낮은 잡곡이었다. 본 결과를 주성분분석으로 검토한 결과, 잡곡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구분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옥수수는 품종에 따른 riboflavin 및 niacin 함량 변이가 큰 잡곡이었으며, 기장과 그룹이 overlap 되는 양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판 출간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것이다.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orldwide on various nutritional benefits of minor cereals,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water-soluble vitamins in Korean minor cereal (barley, foxtail millet, maize, oat, proso millet, and sorghum) cultivars. This study therefor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content of water-soluble vitamins, like thiamine, riboflavin, and niacin contained in Korean minor cereals using a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th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xtail millet used in this study had the highest thiamine and riboflavin content, and barley contained the most niacin among minor cereals. Among the minor cereals reviewed in this study, maize had the lowest thiamine and niacin. Thereafter, as a result of a PCA review,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lassification of thiamine, riboflavin, and niacin and to separate them int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 kinds of minor cereals. However, maize was a minor cereal with a large variation in riboflavin and niacin content depending on the cultivar, and its classification overlapped with proso mille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database necessary for the publication of the 10th edition of the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 SCOPUSKCI등재

        국내재배 포도품종의 비타민 B₁, B₂ 및 B₃의 함량

        전진수(Jinsoo Jeon),주하은(Haeun Joo),이상훈(Sang Hoon Lee),최용민(Young Min Choi),정명근(Myoung-Gun Cho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8

        한국에서 재배되는 포도 16품종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 B₁, B₂ 및 B₃의 함량을 HPLC/DAD 및 HPLC/FLD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분석법의 재현성 검증을 위하여 조제 강화분유를 이용한 주기적 in-house quality control을 수행하였고, 분석법의 정확성 및 회수율은 표준인증물질에 대한 회수율을 확인하여 분석법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포도 16품종에 함유된 비타민 B₁, B₂ 및 B₃의 분석 결과, 비타민 B₁은 국내 육성 품종인 ‘청수’ 품종이 0.199±0.001 ㎎/100 g을 함유하여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진옥’, ‘탐나라’ 및 ‘머루포도’ 품종에서는 비타민 B₁이 검출되지 않았다. 비타민 B₂의 경우 ‘샤이니스타’(0.166±0.000 ㎎/100 g) 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총 분석된 16개의 품종 중 10품종에서 비타민 B₂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B₃의 경우 외국 도입 품종인 ‘머루포도’(0.353±0.004 ㎎/100 g) 및 ‘캠벨얼리’(0.322±0.007 ㎎/100 g)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비타민 B₂와 같은 양상으로 10품종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수용성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수행한 결과, 국내 육성 품종과 외국 도입품종은 뚜렷하게 구별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로 볼 때 한국에서 재배되는 포도의 수용성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성분의 함량은 품종에 따라 함량 차이가 다양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향후 한국 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 출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며, 대국민 식품 영양성분 정보 전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ontent of water-soluble vitamins B1, B2, and B3 in 16 kinds of grape cultivars cultivated in Korea was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iode array detector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methods. The accuracy of the analytical method was confirmed by checking the recovery for reference materials (SRM-2387 and ERM-BD600). The reproducibility of the method was assessed by performing periodic in-house quality control using fortified milk powder. An analysis of the vitamin B₁, B₂, and B₃ contents in 16 grape cultivars cultivated in Korea showed that ‘Cheongsoo’, a Korean bred cultivar, had the highest vitamin B₁ content (0.199±0.001 ㎎/100 g). In contrast, no vitamin B₁ was observed in the ‘Jinok’, ‘Tamnara’, and ‘MBA’ cultivars. ‘Shiny star’ (0.166±0.000 ㎎/100 g) had the highest vitamin B₂ content, but 10 of the 16 analyzed cultivars contained no vitamin B₂. For vitamin B₃, ‘MBA’ (0.353±0.004 ㎎/100 g) and ‘Campbell Early’ (0.322±0.007 ㎎/100 g), as introduced cultivars, showed high vitamin B3 contents, but no vitamin B₃ was detected in 10 cultivars.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Korean bred and introduced cultivars were separated on a score plot. This result shows that the vitamin B₁, B₂, and B₃ contents of grapes cultivated in Korea vary among the cultivars. This result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publication of the 10th edition of the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by the Korea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KCI등재

        국내 육성 신품종 현미 및 백미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니아신 함량

        전진수(Jinsoo Jeon),이상훈(Sang Hoon Lee),최용민(Young Min Choi),정명근(Myoung-Gun Cho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9

        한국인이 주식으로 섭취하는 쌀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의 함량 정보는 국민 식생활 개선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국내 육성 신품종 쌀 10품종을 현미와 백미로 가공하여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인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니아신의 함량을 HPLC/DAD 및 HPLC/FLD법으로 정밀 분석하였다. 사용된 HPLC 분석 조건은 우수한 감도, 선택성, 직선성, 재현성, 정밀성 및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국내 육성 10품종에 함유된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니아신의 함량 분석 결과, 현미는 각각 0.131~0.319 mg, 0.019~0.030 mg, 0.310~0.407 m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백미의 경우 각각 0.074~0.177 mg, 0.003~0.013 mg, 0.256~0.303 mg/100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현미 및 백미의 각 품종 간 통계적 차이가 인정되었고, 현미가 백미 대비 약 1.3~2.7배 함량이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 결과, loading plot에서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니아신 성분은 크게 2그룹으로 구분되었고, scores plot에서도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니아신 성분의 함량에 따라 현미와 백미가 완전히 구분됨을 알 수 있다.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water-soluble vitamins in rice is an essential factor for improving the Korean diet. In this study, 10 Korean new rice cultivars were processed into husked and milled rice, respectively, and precisely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iamine, riboflavin, and niacin according to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iode array detector (HPLC/DAD)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methods. HPLC analysis conditions showed good sensitivity, selectivity, linearity, reproducibility, precision, and accuracy. The amounts of thiamine, riboflavin, and niacin in husked rice ranged from 0.131∼0.319 mg, 0.019∼0.300 mg, and 0.310∼0.407 mg/100 g, respectively, and in the case of milled rice, 0.074∼0.007 mg, 0.003∼0.013 mg, and 0.256∼0.300 mg/100 g,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husked and milled rice, as husked rice showed a higher content of about 1.3∼2.7 times than that of thiamine, riboflavin, and niacin in milled rice. As a result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iamine, riboflavin, and niaci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the loading plot. The husked and milled rice were entirely classified according to thiamine, riboflavin, and niacin components in the scores plot.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식용곤충 함유 비타민 B의 함량평가

        장영현(Younghyeon Jang),전진수(Jinsoo Jeon),이상훈(Sang Hoon Lee),최용민(Young Min Choi),정명근(Myoung-Gun Cho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11

        식용곤충은 단백질 대체식품으로서 다양한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수용성 비타민 B군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용곤충 함유 비타민 B군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했으며, 직선성, 선택성, 분석감도, 재현성 및 정확성을 검토하여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식용곤충에 함유된 비타민 B군의 함량을 건물중으로 환산했을 때 티아민은 0.247~6.714 mg/100 g, 리보플라빈은 0.000~9.134 mg/100 g, 나이아신은 0.215~7.919 mg/100 g, 판토텐산은 2.375~22.224 mg/100 g이었으며, 피리독신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선행 연구된 주요 단백질 공급원들(육류, 유제품 및 콩식품)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판 출간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edible insect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m as alternative protein food. However,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on the vitamin B content of these insec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vitamin B contents of edible insects. Thiamine, riboflavin, niacin, and pantothenic acid contents as dry matter weight base in edible insects ranged from 0.247∼6.714 mg/100 g, 0.000∼9.134 mg/100 g, 0.215∼7.919 mg/100 g, and 2.375∼22.224 mg/100 g, respectively. However, pyridoxine was not detected. The nutritional profile of edible insects and conventional protein sources (meat, dairy, and soy products) was compared for the vitamin B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from part of a database to be used the publication of the 10th revision of the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 SCOPUSKCI등재

        우유 및 유제품 함유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평가

        장영현(Younghyeon Jang),전진수(Jinsoo Jeon),정명근(Myoung-Gun Cho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4

        우유 및 유제품은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과 같은 필수적인 영양분 외에도 다양한 비타민, 무기질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중요한 식품이지만, 국내에서 유통되는 우유 및 유제품의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정보는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 및 소비되는 우유 및 유제품의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우유에 함유된 판토텐산 함량 범위는 0.000~0.296 mg/100 g이었으며, 피리독신은 0.000~0.198 mg/100 g이었다. 유제품의 판토텐산 함량은 0.076~5.252 mg/100 g의 범위였으며, 피리독신 함량 범위는 0.000~0.826 mg/100 g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 및 소비되는 우유 및 유제품 함유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의 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 연구 결과는 향후 국민의 식생활 개선과 건강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Milk and dairy products are important for health because they contain many vitamins and minerals in addition to essential nutrients such as proteins, fats, and carbohydrates. However, information on the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contents of milk and dairy products distributed in Korea is limited. Therefore, we use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o determine the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contents of these products. The pantothenic acid content range was 0.000∼0.296 mg/100 g, and that of pyridoxine was 0.000∼0.198 mg/100 g in milk. Also, the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contents in dairy products ranged between 0.076∼5.252 mg/kg and 0.000∼0.826 mg/kg,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antothenic acid and pyridoxine contents of milk and dairy products. We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public health.

      • KCI등재

        워크스테이션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바 분산 배치 처리 시스템

        구건(Geon Goo),전진수(Jinsoo Jeon),김정선(Jungsu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5 No.5

        VLSI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해 자원의 공유를 위한 분산 컴퓨팅 환경의 구축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의 사용 추이를 살표볼 때, 사용자의 유형과 시간대에 따라 그러한 컴퓨터들이 유휴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휴 상태의 컴퓨터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면, 결과적으로 막대한 예산의 재투자 없이도 강력한 총체적 컴퓨팅 파워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분산 컴퓨팅 환경을 토대로 워크스테이션 풀(pool)을 구축함으로써, 유휴 상태의 컴퓨터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한 Jaba Distributed Batch-processing System(JDBS)에 대해 기술한다. JDBS 시스템은 CPU-intensive한 독립된 작업들을 배치 형태로 처리하는 분산 JDBS와 유사한 기존의 시스템들에 비해 시스템의 구축이 훨씬 용이하다. 그 밖에도 복수 클러스터 구조와 지능형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규모 확장성과 안정성을 향상시켰으며, 폴로의 가입과 탈퇴, 작업의 제출, 제출된 작업의 모니터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With the advance of VLSI and network technologies, it has now become a common practice to deploy a various forms of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A study shows that a lot of network-aware computers are in an idle state for considerable amount of time depending on the types of users and time frames of the day. If we can take the full advantage of those idle computers, we can obtain the enormous combined processing power without further costly investment. In this paper, we present a distributed batch-processing system, called the Java Distributed Batch-processing System (JDBS), which allows us to execute CPU-intensive, independent jobs across a pool of idle workstations on top of extant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Since JDBS is implemented using a Java programming language, it not only extends the scope of machine types that can be joined to the pool, but makes it a lot easier to build an entire system. Besides, JDBS is scalable and fault-tolerant due to its multi-cluster organization and intelligent strategi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is also provided to facilitate the registration and unregistration, Job submission, and job monitoring.

      • 중성자 영상법을 이용한 PEMFC 에서의 물 배출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태주(TaeJoo Kim),김종록(JongRok Kim),김무환(MooHwan Kim),심철무(CheulMuu Sim),이승욱(SeungWoo Lee),전진수(JinSoo Jeon)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6

        The neutron imaging techniqu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water discharge characteristics at PEMFC. The feasibility test apparatus was consisted of pressurized air and water in order to simulate the actual operating PEMFC. The feasibility tests have been performed at two kinds of flow field type (1-parallel and 3-parallel) with 100 ㎠ active area and different flow rate (200, 400, and 850 ㏄/min). Although the water and pressurized air was supplied only into cathode, the water movement into anode was found by neutron image. The water at cathode is well discharged, but except the 850 ㏄/min at 3-parallel flow field type, the water at the anode was not removed by pressurized air. The total water volume variations at each condition were calculated from the neutron images. This technique can be used for detailed studies on water distribution and transport in the PEMF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