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안개방상태에서 학령기 원시안 아동의 정적 검영법의 유용성 고찰

        전영윤,박성종,송우진,이석주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3

        Purpose: We compared static retinoscopy in eyes opened with cycloplegic refraction depending on the hyperopia for school-aged children. Methods: There were 59 eyes (30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3 groups - the mild hyperopia (+0.25 D ~ +1.00 D), moderate hyperopia (+1.25 D ~ +2.00 D) and high hyperopia (+2.25 D or more). They all had 0.8 visual acuity or more. Autorefraction and retinoscopy were performed prior to cycloplegic refraction, and then copmared with manifest refraction and cycloplegic refraction. Results: Hyperopia measured with static retinoscopy tends to be measured higher than manifest refraction for school-aged children. Changes of spherical pow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Changes of astigmatis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s: The difference between cycloplegic refraction and static retinoscopy was not significant for hyperopic school-aged children. The use of retinoscopy was limited for opticians because of legal constraints. The usage of static retinoscopy in eyes opened for optician should be generalized under the conditions not using the cycloplegic. 목적: 학령기아동 원시안에 대하여 굴절이상도에 따라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을 실시하고 조절마비하 굴절검사와 비교하였다. 방법: 최대 교정시력이 0.8 이상인 학령기아동을 대상으로, 59안(30명)을 경도원시(+0.25 D~+1.00 D), 중등도 원시(+1.25 D ~ +2.00 D), 고도원시(+2.25 D 이상)로 나누었다. 자동굴절검사와 양안개방상태에서정적 검영법(retinoscopy)은 조절 마비제 투여 전에 실시하였고, 이후에 조절 마비하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과 현성 굴절 검사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학령기 아동의 모든 원시군에서 자동굴절검사에 비해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에서의 원시도가 더 높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구면굴절력의 변화에 대해 유의성이 있었다(p<0.001). 난시의 변화는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 현성검사 그리고 조절마비하 굴절검사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결론: 아동의 원시안에 대해서 조절마비하 굴절검사가 필요하겠으나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과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타각적 굴절검사기기에 대한 법률적 제약이있는 안경사에게 있어서는 조절마비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야 한다.

      • KCI등재SCISCIESCOPUS

        단일 모드 광섬유의 길이에 따른 유효차단파장의 특성 측정

        전영윤,박재동,심창섭,Jeon, Yeong-Yun,Park, Jae-Dong,Sim, Chang-Seop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7 전자통신 Vol.9 No.2

        The effective cutoff wavelength of $LP_11$mode is measured as a function of fiber length for three types of single-mode optical fiber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index profile or the coating structure. The measured cutoff wavelength decreased linearly in a logarithmic scale of fiber length as increasing fiber length, and eventually became constant after 3km for two fiber types. It is found that the length dependence of cutoff wavelength is due to a mode coupling between the $LP_01$ and $LP_11$ modes.

      • KCI등재SCISCIESCOPUS

        언덕형 다중모우드 광섬유에 전송되는 광의 TNF 형태로부터 광파워 분포 및 정상상태 측정

        전영윤,안종평,김용환,박희갑,Jeon, Yeong-Yun,An, Jong-Pyeong,Kim, Yong-Hwan,Park, Hui-Gap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5 전자통신 Vol.7 No.4

        After the light from an incoherent LED was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mode fibers which were linked over 10 km, the nearfield power distribution reached the steady-state independent of launching conditions. It has been also found that the steady-state output power distribution showed the pattern of Gaussian function. In this steady-state Gaussian function pattern, the measured losses of fibers were very repeatable values. In case of using LD source, the speckle phenomena in near -field power distribution appeared until the distance of 10 km. And the output power distribution did not reach the steady-state shown in LED even over 20km on account of the coherence and the nonuniform lasing modes of LD. But the measured losses of fibers were nearly stable in this long distance. 비간섭성 LED 광원으로 부터의 빛이 다중모우드 광섬유를 약 10km이상 지났을 때 광의 입사조건에 무관하게 정상상태(Steady-state) 에 이르며, 정상상태의 광섬유 출사단의 near-field 광 파워 분포가 가우시안(Gaussian) 함수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가우시안 함수형태의 정상상태에서 측정된 광섬유의 손실은 매우 안정된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한편 가간섭성 LD광원을 사용할 경우 10km까지 near-field광 파워 분포에서 스페클(Speckle) 현상을 볼 수 있었고, LD의 간섭성과 발광 모우드 형태의 불균일로 인하여 20km 이상까지 LED에서와 같은 정상상태에 이르지 않고 있었으나 이 상태에서 측정된 광섬유의 손실치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 KCI등재

        불꽃가수분해 증착에 의한 Ti-doped BSG 도파박막의 제작

        전영윤,이용태,전은숙,정석종,이형종 한국광학회 1994 한국광학회지 Vol.5 No.4

        불꽃가수분해 증착방법으로 $SiCl_{4}$, TMB, $TiCL_{4}$등을 사용하여 Ti doped BSG 실리카 입자박막을 실리콘 기판위에 증착하고 증착된 입자층을 녹여서 집적광학용 박막을 제작하였다. 박막의 증착 속도는 $0.5{\mu}m$분 이상으로서 수십 ${\mu}m$의 후막을 빠르게 증착할 수 있었으며 $TiO_{2}$의 첨가량에 따라 BSG 박막의 굴절률을 0.3% 이상 변화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통신용 광섬유와 크기 및 굴절률 분포가 BSG박막의 굴절률을 0.3% 이상 변화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통신용 광섬유와 크기 및 굴절률 분포가 유사한 광도파로를 제작하였다. 보통 B의 도판트로는 $BCl_{3}$를 쓰나 여기서는 TBM를 사용한 결과 TBM도 B의 도판트로 적합함을 알았다. B의 첨가에 의하여 실리카 입자막의 녹는점을 $1200^{\circ}C$로 낮출 수 있었다. 또한 FTIR에 의한 박막의 조성비분석 결과 BSG박막에 $B_2O_3$ 함량이 최대 10mol%로 나타났다. Ti-doped BSG (borosilicate glass) soot films on the silicone substrate have been deposited in the mixture of $SiCl_{4}$, TMB, $TiCL_{4}$ by flame hydrolysis deposition technique. The soot films are melted to form integrated fine glass films. We can fabricate thick films of serveral $10{\mu}m$ with deposition rate,more than $0.5{\mu}m$/min.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BSG films are increased to more than 0.3% as function of the amount of Ti dopant. As a result of the process an optical waveguide which is simmilar with dimmension and refractive difference of optical fiber is produced. $BCl_{3}$ is widely used for B dopant, but we abtained the good results by the use of TMB in place of $BCl_{3}$. The melting point of silica soot glass is reduced to $1200^{\circ}C$ increasing B dopant. From FTIR analysis $B_2O_3$ content up to about lOmol% in BSG films. films.

      • KCI등재

        가파르게 처방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각막 굴절력, 눈물막 파괴시간, 안압의 변화

        전영윤,박성종,이석주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Vol.17 No.4

        목 적: 1일 착용용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가파르게 처방된 정도에 따른 각막굴절력의 변화, 눈물막 파괴시간의 변화, 안압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대학생 24명(48안)을 대상으로 1일착용 렌즈를 8시간 착용시켜 8시간 경과 후 렌즈를 제거하고 각막굴절력, 눈물막 파괴시간 그리고 안압 측정을 시행하여 콘택트렌즈 착용전과 비교하였다. 결 과: 가파른 피팅을 함에 따라 각막굴절력은 +0.29±0.06 D 증가(t=-12.62, p<0.05)하였으며, 눈물띠 파괴시간(TBUT)은 –1.26±2.02sec 감소(t=5.04, p<0.05)하였으며 안압은 –2.19±2.15mmHg 감소(t=6.4, p<0.05)하였다. 가파른 피팅 정도에 따른 각막의 굴절력과의 상관관계(r=-0.98)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TBUT와의 상관관계(r=-0.26)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안압(r=-0.07)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각막의 곡률반경에 비하여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곡률반경이 0.3mm 이상 가파른 피팅되어 8시간 착용했을 때, 각막굴절력의 변화에 대한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처방 시 가파른 피팅이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Purpose: To study on cornea refractive power, TBUT, and Intra-ocular pressure after wearing daily wear soft contact lens fitted steep. Methods: 24 students(48 eyes) who was wearing daily contact lens for 8 hours. After 8 hours, taking off contact lens and then measuring the corneal refractive power, the tear film break-up time and intra-ocular pressure. The measurement was compared before and contact lens wear. Results: As a steep fitting, corneal refractive power was increased +0.29±0.06 D (t=-12.62, p< 0.05), tear break-up time (TBUT) was decreased -1.26±2.02 sec (t=5.04, p< 0.05) and IOP reduction was -2.19±2.15 mmHg (t=6.4, p< 0.05). Correlation of the corneal refractive power and the degree of the steep fitting (r=-0.98) ha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TBUT Correlation (r= -0.26) ha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but intra-ocular pressure (r=-0.07) was no correlation. Conclusions: When the soft contact lens is at least 0.3mm steep fitting when worn 8 hours, it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in the corneal power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teep fitting prescription is avoided.

      • KCI등재후보

        원거리 사위도가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

        전영윤,박성종,주석희 한국안광학회 2008 한국안광학회지 Vol.13 No.1

        Purpose: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mean value of the distance stereoacutiy for adult subjects and evaluated the variation of the distance stereoacuity according to correction of phoria using the Pola Test E-II of Carl Zeis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distance stereoacuity for 50 adults (male: 29, female: 21) ranging in age from 19 to 46 years using D6 Circle chart and D8 Line chart in the Pola Test E-II. Results: The mean values of the distance stereoacuity measured on the D6 Circle test and D8 Line test were 159.6 and 149.4 seconds of arc respectively. The mean variations of the distance stereoacuity according to correction of phoria in D6 Circle test were increased 43.2 seconds of arc in exophoria and 51 seconds of arc in esophoria, and those in D8 Line test were increased 42 seconds of arc in exophoria and 70.2 seconds of arc in esophoria. Conclusions: We knew from these results that the distance stereoacuity after prescription of phoria improved more esophoria than exophoria. 목적: 본 연구는 Carl Zeiss사의 Pola Test E-II를 이용하여 성인 대상자의 평균 원거리 입체시를 측정하였으며, 사 위 교정에 따른 원거리 입체시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방법: 성인(19~46세) 50명(남 29명, 여 21명)을 대상으로 Pola Test E-II의 D6 Circle 시표와 D8 Line 시표를 이용하여 원거리 입체시를 조사하였다. 결과: 원거리 평균 입체시는 D6 Circle 검사의 경우에 159.6초, D8 Line 검사의 경우에 149.4초를 각각 나타냈다. 사위성분과 사위량에 따른 사 위교정 전·후 원거리 입체시의 변화는 D6 Circle 검사의 경우에 외사위는 평균 43.2초 증가하였으며, 내사위는 평 균 51초 증가하였다. D8 Line 검사의 경우에 외사위는 평균 42초 증가하였으며, 내사위는 평균 70.2초 증가하였다. 결론: 입체시 검사 결과로부터 내사위인 경우에 외사위인 경우보다 사위교정 후 입체시가 더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포설된 단일모드 광섬유의 손실 특성 측정

        전영윤,박재동,이만섭,양권식 한국통신학회 199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6 No.12

        Attenuation losses and repeater spans of single-mode optical fibers installed in the long hual optical transmission line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average loss including splicing points was appeared to be 0.55 0.05dB/km and 0.59 0.01dB/km at 1300nm and 1550nm, respectively, and showed lager value at 1550nm window, The cause of loss increase at 1550nm range from the OTDR measurement was due to the inappropriate treatment of extra length of fiber at the splicing points. And average repeater span of domestic long haul line was 24 7km and 90% of total sampled repeater spans was within 31 km. 장거리 국간 선로에 포설된 단일모드 광섬유의 샘플집단과 모집단의 손실특성을 측정하였고, 구간(중계)거리분포를 측정 분석하였다. 접속손실을 포함한 평균손실은 130nm와 155nm에서 각각 0.55 0.05dB/km, 0.59 0.11/km로써 1550nm대역의 손실이 크게 나타났다. OTDR에 의한 손실특성 조사결과 1550nm대역의 손실증가 주 요인은 접속지점의 부적절한 여장처리에 따른 것이었다. 그리고 국내 평균중계거리는 24 7 km로써 31km 이하의 구간거리가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었다.

      • KCI등재

        시력검사거리에 따른 원거리 시력검사 신뢰성 평가

        전영윤,최현수,박성종,이석주 한국안광학회 2014 한국안광학회지 Vol.19 No.1

        시력검사거리에 따른 원거리 시력검사의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5 m 거리에서 교정시력이 1.0이상이 되었던 성인 39명(7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검사거리(5 m, 4 m, 그리고 3 m)에서 대상자의 교정굴절력을 측정하였다. 시시력표는 자동 챠트(LCD-700, Hyeseong Optic. Co., Korea)를, 타각적 굴절검사는 검영기(Beta200, Heine, Germany)와 자동굴절검사기(RK-5, Canon, Japan)를 사용하였다. 조절력검사는 (−)렌즈 부가법으로, 조절래그 검사는 근거리 격자시표를 사용하였다. 결과: 구면교정굴절력은 5 m에 비하여 3 m에서 평균 0.10±0.38 D 감소하였고 난시도는 0.05±0.10 D 감소하였으며, 난시축은 우좌안이 귀방향으로 각각 2.64±18.75 도, 11.43±48.55 도 회전하였다. 교정굴절력의 변동과 난시도의 변동은 최대교정굴절력과의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31, r = −0.29). 결론: 검사거리에 따라 구면교정굴절력과 난시도는 5 m에 비하여 3 m에서 감소하며, 난시축은 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안경원에서 원거리 시력검사를 위한 검사거리는 5 m로 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We aimed to evaluate reliability of eye exam for visual acuity as a function of distance. Methods:There were 39 patients (78 eyes) who had visual acuity 1.0 or more at 5 meters. We measured refractive powerof patients at each distances, 5 meters, 4 meters and 3 meters. Automatic chart (LCD-700, Hyeseong Optic. Co.,Korea) used for visual acuity, skiascope (Beta 200, Heine, Germany) and auto refractometer (RK-5, Canon,Japan) used as for objective refraction. Accommodation was examined by minus lens addition methods, andAccommodative lag was examined by grid chart for reading distance. Results: Being compared to 3 meter test,Amount of corrected spherical refractive power decreased by 0.10±0.38 D, astigmatism decreased by 0.05±0.10 D, andaxis of astigmatism rotated toward to temporal by 2.64±18.75 degrees for right eyes, by 11.43±48.55 degrees forleft eyes in case of 5 meter test. Changes of corrected refraction and astigmatism were slightly correlated (r =−0.31, r = −0.29). Conclusions: Because corrected refraction power and amount of astigmatism decreased andaxis of astigmatism tends to turn the temporal direction according to exam distance, examination distance ofvisual acuity should improved as to 5 m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