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하문제해결에서의 GSP를 활용한 탐구학습 신장

        전영국,주미,Jun, Young-Cook,Joo, Mi 대한수학교육학회 1998 수학교육학연구 Vol.8 No.2

        This paper suggested a geometry learning model which relates an exploratory learning model with GSP applications, Such a model adopts GSP's capability of visualizing dynamic geometric figures and exploratory learning method's advantages of discovering properties and relations of geometric problem proving and concepts associated with geometric inferencing of stude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3 middle school students by applying the proposed model for 6times at computer laboratory. The overall procedure was videotaped so that the collected data was later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ology.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ith less than van Hiele 4 level took advantages of adoption our proposed model to gain concrete understandings of geometric principles and concepts with GSP. One of the lessons learned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oles of students and a teacher who want to employ the proposed model need to change their roles respectively.

      • KCI등재

        연극놀이와 과학탐구 기반의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운영한 대학교수의 자전적 사례 탐구

        전영국(Jun Young c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재능기부의 일환으로 연극놀이 기반의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창의력 경연 대회 참가자들을 지도했던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교육실천가들에게 통합적 관점과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 다. 연구자는 대학교수로서 2013년 안식년 기간에 주말 및 방학 기간에 초등 및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호 흡명상에 기반을 둔 연극놀이와 과학 탐구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창의인성 프로그램(S 아카데미)을 설계 및 운영하면서 겪었던 다양한 경험과 관점, 태도 등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서 자전적 사례연구 방 법을 활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자의 자기회상 메모, 학생들의 창의적 활동에 대한 문서, 사진 및 동 영상 자료, 학생 소감문 자료 등을 포함한다. 자료 해석의 결과 도출된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 구자는 참여 학생들이 상상력을 토대로 과학적 탐구를 겸하여 연극놀이를 수행함으로써 표현력의 향상과 협력을 통한 인성의 증진 등을 보여주는 패턴을 포착하였다. 둘째, 특정 주제에 대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후에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시나리오 상황을 파악하고 상대방 배역의 역할 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과학적 탐구와 연극 놀이를 통하여 시나리오를 비롯한 소품의 구상 및 제작과 연극적 표현 연습을 통하여 의도하지 않았던 경험들이 참여 학생들에게 창의적 이해의 학습 상 황으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understand a practical case in which a collaborative team-based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promote creativity and humanity on a voluntary basis. The participants were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were engaged in designing creative ideas and producing artifacts based on team collaboration via the creativity Olympiad contest (DI) held in both Korea and USA. The creative project, called S academy program,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2013 and May 2014 during weekends and semester vacations. The collected data included documents, essays, photos, video clips, as well as memos for interactions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project and creativity Olympiad contest. The main features of the program revealed both positive and critical aspects, encouraging more provocative and reflective comments. First, the participants revealed their improvement on performing team-based presentation skills and creatively exploring capabilities. Second, the participants needed to grasp the contextual information for creating a scenario, and understand the roles of other students after articulating the collected data for their creative and scientific exploration. Third, their unintended experiences during the whole process seemed to contribute to the unfolding learning situations for creative understandings via drama play.

      • KCI등재후보

        창의적 체험 활동을 지원하는 Joy 프로젝트의 운영 사례 고찰

        전영국 ( Young Cook J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3

        본 논문은 과학·정보·예술·문화 등의 분야를 융합한 통한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인 Joy 프로젝트를 설계 및 개발하고 형성 평가한 사례를 소개한다. Joy 프로젝트는 초등학생 및 중학생들은 주말 및 방학 중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모색하고 팀별로 협력하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해 기량을 쌓은 후 연말에 창의력 올림피아드 대회에 참가하는 연계성을 갖추고 있다. K영재교육원 소속의 학생 중에서 희망자와 일반학생(초등 및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2011년 7월부터 2012년 5월까지 Joy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간 프로그램을 운영한 과정에서 수집한 사진, 동영상, 면담, 보고서 자료를 분석한 후에 창의적 체험 활동에 관한 이슈 위주로 사례를 고찰하였다. 스토리 기반의 표현하기와 팀별 협업을 통한창의적 체험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형성 평가를 통해 Joy 프로젝트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창의적 체험교육 담당자들에게 실제적인 안내를 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case study evaluated a program designed and developed to promote creative activities by combining science, information, art and cultur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ursued creative ideas and implemented them in team-based settings to develop their own capacities and to attend creative contests. The annual program was conducted between July 2011 and May 2012 in K province as part of a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also included general students who wanted to join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included interviews with students, an annual report, photos as well as video clips produced during the Joy project. As part of the formativ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case review will provide a guideline for both teachers and practitioners who want to carry such creative programs in both schools and outdoor camp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방과후 수업용 로봇예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전영국 ( Young Cook Jun ),이행미 ( Haeng Mmi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2

        본 논문은 초등학교 방과후 교실 수업에서 창의적 활동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로봇예술 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실제 적용한 사례를 다룬다. 먼저 고고보드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이 프로젝트 기반의 개인별 활동을 할 수 있는 로봇예술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전남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의 방과후 교실에서 1년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고안하고 설계하며 고고보드를 이용하여 실제 작품을 만들어보는 창의적 활동으로 연계하였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진행한 방과후 로봇교실 수업에 관한 관찰(비디오), 로봇 프로젝트 결과물, 사진 등을 수집하여 사례 연구로 제시하였다. 방과후 강사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로봇예술 프로그램에 대하여 형성 평가함으로써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요소를 추출하였다. This paper aimed at developing an art-based robotic program in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design their own ideas and carry out individual projects. We introduced a 10 month after-school robot-art program in two elementary schools which was developed to promote creative activities. The program was designed for participants using the GoGo Board for their individual project-based activities. Once implementing their own ideas the participants actively engaged with their creative activities using GoGo Board. Data for the case study was collected using video clips, pictures, and artifacts. Two after-school robot teachers also joined in follow-up interviews to provide data on the robot-art program activities as part of formative evaluation. The results provide a guideline for improvement for both after-school robot teachers and educators to modify and apply future robot-art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자 유아의 자발적 그림 그리기와 점토 만들기 활동에 대한 특징 탐구

        전영국(Youngcook Jun),장용석(Yong-Sock Chang),윤지현(Jihyun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이 연구는 만 5세의 여자 유아(민지)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풍경과 사물(예, 바다, 꽃, 나무 등)과 TV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과 점토 만들기 활동을 해석하여 유아의 통합적이고 고유한 측면을 다루었다. 방법 2014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민지가 그렸던 그림과 점토 놀이 결과물을 대상으로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민지 엄마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 사이에 네 차례 만나서 그림과 점토 결과물을 보면서 당시의 상황, 맥락 등에 대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민지는 그림을 통해 자연 속의 풍경과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역동적이고 자신이 받은 인상대로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TV 매체 또는 동화책에서 본 이야기와 이미지 등 자신이 관심있는 것을 나름대로 표현함으로써 그림과 점토 놀이를 통한 내면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민지의 사례에서 부각되는 유아의 고유한 측면을 통합적으로 조망하였으며 민지의 그림 및 점토 놀이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가 유아 대상의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적 이 연구는 만 5세의 여자 유아(민지)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풍경과 사물(예, 바다, 꽃, 나무 등)과 TV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과 점토 만들기 활동을 해석하여 유아의 통합적이고 고유한 측면을 다루었다. 방법 2014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민지가 그렸던 그림과 점토 놀이 결과물을 대상으로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민지 엄마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 사이에 네 차례 만나서 그림과 점토 결과물을 보면서 당시의 상황, 맥락 등에 대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민지는 그림을 통해 자연 속의 풍경과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역동적이고 자신이 받은 인상대로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TV 매체 또는 동화책에서 본 이야기와 이미지 등 자신이 관심있는 것을 나름대로 표현함으로써 그림과 점토 놀이를 통한 내면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민지의 사례에서 부각되는 유아의 고유한 측면을 통합적으로 조망하였으며 민지의 그림 및 점토 놀이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가 유아 대상의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qualitatively interpret voluntary drawings and clay-making activities of a 5-year-old girl (Minji) from a holistic viewpoint. Methods Data collection included her own drawings and clay-making works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7. Also, interviews with her mother were carried out four times between June and August 2018 by asking follow-up questions about the situation and contexts of her drawing and clay activities. Results Minji showed a dynamic, creative pattern of expressing images of landscapes and objects in nature through her paintings according to the impressions she felt. In addition, she showed her inner expansion through painting and clay playing by expressing her own interests. It turned out that reading stories in children s books or watching TV animation also affected her playing with drawing and clay making. Conclusions This paper explored Minji’s unique aspects of art creating caught from real-world experiences or her own imagination. This case indicated so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other infants’ or children’s art-related activities in the area of ar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