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順庵 安鼎福의 『南冥集』 箚記에 나타난南冥 曺植에 대한 인식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3 No.-

        After the Injobanjeong, scholars of Seoin Noron denigrated Nammyeong Jo Sik purposefully. Within that situation, those who insisted on evaluating Nammyeong righteously and demanding reverence and enhancement were Seongho Lee Ik and his disciples. It is assumed that in late Chosun, Nammyeong School remained in existence despite such unfavorable conditions because scholars of Seongho School did make their utmost eff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gi (箚記) which Sunam An Jeong-bok, one of Seongho’s disciples, wrote in 『Nammyeongjip』 and analyze how he recognized Nammyeong’s life and his studies and what the detailed grounds are. Concerning Chagi, we can see that An Jeong-bok read 『Nammyeongjip』 thoroughly and examined it referring to related facts or materials. If so, why did he have to study 『Nammyeongjip』 so precisely like that? First of all, it seems that he wanted to know who Nammyeong really was profoundly. Considering the fact that he did not present any evaluation or opinion about Nammyeong’s literary works and performed historical investigation precisely on whether something was really factual or true paying keen attention to figures, periods, or events, we can see what he really focused on while reading 『Nammyeongjip』. With such research on Nammyeong, An Jeong-bok could have been confident about the figure’s studies or character on his own. Therefore, when he recommended Nammyeong’s studies and words or deeds he had found to his friends or disciples, he used quotations, and when he wrote about Nammyeong or persons related to him, he never missed to state the origin showing the relationship. Accordingly, we can evaluate that An Jeong-bok’s interest and enhancement for Nammyeong did play roles as a bright signpost in the 18th century that was the darkest era to Nammyeong School. 인조반정 이후 西人 老論系 학자들이 南冥 曺植을 의도적으로 폄하하는 상황속에서, 남명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주장하여 존숭과 선양을 촉구한 이들은 星 湖 李瀷과 그의 제자들이었다. 조선후기에 남명학파가 매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까닭은 성호학파 학자들의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이해된다. 이 글은 성호의 제자인 順菴 安鼎福이 『南冥集』에 기록한 箚記를 통해 그가남명의 학문과 삶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졌으며, 그 근거가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箚記에 근거해 볼 때, 안정복은 『남명집』을 매우 면밀하게 읽고 관련 사실이나 자료를 참조하면서 고찰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무엇 때문에 『남명집』을 정밀하게 연구했을까? 그 이유는 무엇보다 남명이 진정 어떤 인물인가를 깊이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었다고 판단된다. 남명의 문학작품에 대한 품평이나 견해를 전혀 드러내지 않고 있다는 점, 인물ㆍ시기ㆍ사건 등에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이며 사실과 진위 여부를 정밀하게 고증한 점 등을 고려한다면, 그가 『남명집』을 읽을 때 무엇에 유의했는지를 충분히 유추할수 있다. 안정복은 남명에 대한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그 인물의 학문과 인품에 관한평가를 스스로 확정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자신이 알게 된 남명의 학문과 언행을 벗과 제자들을 권면할 때 인용하여 말했으며, 남명과 관련 있는 인물들의 글을 지을 때는 반드시 그 연관성을 드러내어 연원을 밝혔다. 그러므로 남명에 대한 안정복의 관심과 선양은 남명학파에게 가장 암흑한 시기였던 18세기에 빛나는 이정표 같은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호남지역 유학자의 箴 창작에 관한 통시적 고찰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7 No.-

        There are six early proverb works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from Honam area from the work by So Yeon (1390-1441) to the work by Lee Hang(1499-1576). Two among those were “Gwanjam” (proverb for government officials) dedicated to Chines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re were three works which translated the parts of religious scripts, and one work which succeeded the work from previous era; there was substantial ratio of work which used the manifestation of loyalty as rhetoric expression. During the middle period, only four Confucian scholars wrote proverbs, meaning less number of writers, but the number of works increased by one, having overall seven works. However, over the period of 150 years from Ahn Bang Jun (1573-1654) to Hwang Yoon Suk (1729-1791), the fact that only seven works were written by four writers means just like the earlier period, the proverb writing was still not popular. Except for Hwang Wi’s “Makhyunhoeunjam,” a translation of 「Jung Yong」’s Chapter 1 “Makhyunhoeun,” other works explained virtues that can be practiced in daily life. There is difference only in whether the subject is limited to oneself or expanded to his/her children or surrounding others; there is no other work which goes beyond the parameter of “private proverb.”In later period, five to six times more works were written compared to early and middle period. Also, there was a tendency in which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overbs differ and expand in various ways. From Gi Jung Jin(1798-1880) to Yoo Young Sun(1893-1961), 37 proverbs were written by 14 Confucian scholars over the period of 100 years.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not only vast number of works, various rhetoric expressions were used in work. Also, above all,high percentage of work advises others, and this trend reflects the encouragement of pursuing the same road due to the later period’s urgent periodical and historical situation. Also, another unique characteristic that could not be seen in earlier period is that Neo-Confucian Theory that scholars or a school insist is reflected in the style of proverb. 호남지역 유학자들의 초기 箴 작품은 蘇沿(1390-1441)이 창작한 것으로부터 李恒(1499-1576)이 지은 것에 이르기까지 총 6편이 지어졌다. 그 가운데 2편이 中宗에게 올려진 官箴이다. 그리고 경전 구절을 해석한 것이 3편, 전대의 작품에 차운하여 계승한 것이 1편으로, 의리의 발현을 수사 기법으로 삼은 작품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중기는 箴을 지은 유학자가 4명밖에 되지 않아 초기에 비해 인원수가 더욱 줄었지만, 작품의 수량은 7편으로 1편이 더 많이 늘어났다. 하지만 安邦俊(1573-1654)으로부터 黃胤錫(1729-1791)에 이르기까지 150년이 넘는 시기 동안 4명의 유학자가 7편의 작품을 지었다는 것은 초기와 마찬가지로 매우 영성한 상황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 『中庸』 제1장의 ‘莫見乎隱’을 해석한 황위의 「莫見乎隱箴」을 제외하고는 모두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수양의 덕목을 해설한 내용들이다. 다만 경계하는 대상이 자신에게 한정되느냐 아니면 자식이나 주변의 타인에게 확장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개인적인 용도인 私箴의 범위를 벗어나는 작품은 없다. 후기는 초기 및 중기에 비해 거의 5~6배가 넘을 정도로 많은 분량의 箴 작품이 창작되었다. 그리고 경계의 내용과 방법이 이전과 달리 다양하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奇正鎭(1798-1880)으로부터 柳永善(1893-1961)에 이르기까지 100년 동안 14명의 유학자에 의해 37편의 箴이 지어졌다. 이 시기는 이전보다 양적으로도 월등하게 많을 뿐만 아니라, 수사 기법도 다양한 양상으로 서술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타인을 경계한 작품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구한말의 절박한 시대적·역사적 상황 때문에 箴을 통해 同道의 사람들에게 권면하고자 하는 의식이 반영된 현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자신 및 학파가 주창하는 성리설을 箴의 문체로 드러내어 밝히고자 한 것도 이전 시기에는 없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실시간 차량 밀도에 대응하는 심층강화학습기반 C-V2X 분산혼잡제어

        전병철,양우열,조한신 한국전기전자학회 2023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7 No.4

        Distributed congestion control (DCC) is a technology that mitigates channel congestion and improves communicationperformance in high-density vehicular networks. Traditional DCC techniques operate to reduce channel congestionwithout considering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Such design of DCC algorithms can lead to excessiveDCC actions, potentially degrading other aspects of QoS.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a deep reinforcementlearning-based QoS-adaptive DCC algorithm. The simulation was conducted using a quasi-real environment simulator,generating dynamic vehicular densities for evaluation.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our proposed DCCalgorithm achieves results closer to the targeted QoS compared to existing DCC algorithms.

      • KCI등재

        19세기 강우지역 학자들의 「神明舍圖銘」 해석과 그 의의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Sinmyeongdosa」and 「Sinmyeongsamyeong」 clearly demonstrate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Nammyeong Josik, and it is Doseol which contains the essential ideology of Nammyeonghak. However, before Husan Heoyu attempted to construe this by writing 「Sinmyeongsadomyeonghokmun」, nobody was going to reveal its contents and meaning for 300 years. Husan wrote 「Sinmyeongsadomyeonghokmun」 and interpreted 「Sinmyeongdosamyeong」 by Nammyeong, in detail, and attempted to unearth its meaning in the context of Confucian history. He assumed that the simhak (study of heart) of Nammyeong is contained in 「Sinmyeongdosamyeong」 without intact. Therefore, he attempted to correctly understand the studies and cultivation of Nammyeong, and clearly identify the key of Nammyeonghak by motioning the annotation work of 「Sinmyeongdosamyeong」 by Nammyeong as an official matter of scholars in Gyeongsangwoo-do. Hence,「Sinmyeongsadomyeonghokmun」 triggered to highlight Nammyeonghak seriously for scholars in Gyeongsangwoo-do at that time, from an academic perspectives by going beyond the meaning of a personal work of Myeongsan, and furnished an opportunity for concentrating their academic capacity on the job. 「神明舍圖」와 「神明舍銘」은 南冥 曺植의 학문적 특징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南冥學의 핵심 사상이 담겨 있는 圖說이다. 그런데 后山 許愈가 「神明舍圖銘或問」을 지어 이것에 관한 해석 작업을 시도하기 이전까지 300년 동안은 어느 누구도 그 내용과 의미를 밝히려고 하지 않았다. 后山은 「神明舍圖銘或問」을 지어 南冥의 「神明舍圖銘」을 상세히 해석하고 그것이 가지는 유학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는 「神明舍圖銘」에 南冥의 心學이 오롯이 담겨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南冥의 「神明舍圖銘」에 대한 주해 작업을 경상우도 학자들의 공적 안건으로 발의함으로써, 南冥의 학문과 수양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南冥學의 요체를 분명하게 파악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므로 「神明舍圖銘或問」은 后山의 개인적 저술이라는 의미를 넘어, 당시 慶尙右道의 학자들이 학문적인 측면에서 본격적으로 남명학을 조명하는 촉발점이 되었으며, 그 작업에 그들의 학문적 역량을 집결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19세기 하동 지역 性齋 門人의 학문 성향 - 澗翠堂 鄭瑀贇과 尼谷 河應魯를 중심으로 -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Ganchuidang Jeong Wu-yun and Nigok Ha Eung-ro, both Seongjae literary men in the Hadong area during the 19th century, inherited the learning of the Nammyeong Hakpa (school) that was handed down within the family (lineal learning) and pursued studies with nearby scholars centering on Mohanjae, which was the place pursuing studies of Gyeomjae Ha Hong-do. This aspect originated from Nammyeonghak. Also, the fact that they visited Seongjae Heo Jeon and asked for teaching while seeking the greatest teacher with an excellent reputation and learning of the times was an academic extension while keeping the origin of Nammyeonghak. In particular, given that the lineal background of Seongjae Heo Jeon is closely related to Nammyeong Hakpa, the reason that they visited Seongjae might have been inevitable and unavoidable aside from the reputation and learning of Seongjae. Therefore, considering the origin of Nammyeonghak and the academic propensity that is the academic legacy of their private teacher (**사승) shown by Ganchuidang Jeong Wu-bin and Nigok Ha Eung-ro, it is concluded that their classification in terms of school cannot be limited simply by their private teacher (**사승). As we are unable to say that one tree can be a different tree while looking at its branches spreading to several offshoot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cholars in the Gangwu area during the 19th century, who inherited the academic legacy of different teachers (**사승) rooted on the same academic origin, can be an unusual phenomenon deeply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Nammyeong Hakpa. 19세기 河東 지역 性齋門人 澗翠堂 鄭瑀贇과 尼谷 河應魯는 집안 대대로 내려온 家學을 통해 南冥學派의 학문을 이어받고 謙齋 河弘度의 강학처인 慕寒齋를 중심으로 인근 학자들과 강학하였는데, 이것은 南冥學에 연원을 두고 있는 측면이다. 그리고 명망과 학식이 뛰어난 당대의 스승을 찾아 性齋 許傳에게 나아가 배움을 청한 것은 남명학의 연원을 지켜나가는 가운데 학문적 외연을 확장해 나간 것이다. 특히 성재 허전의 가계적 배경과 학문적 연원이 남명학파와 긴밀한 연관이 있는 점으로 본다면, 이들이 성재를 찾아간 까닭은 성재의 명망과 학식 외에도 그럴 수 밖에 없는 필연적 개연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간취당 정우빈과 니곡 하응로에게 나타나는 남명학의 연원과 사승의 학맥이라는 학문 성향을 생각할 때, 이들에 대한 학파적 분류를 단순히 사승으로만 제한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여러 갈래로 뻗어나간 나무의 가지를 가리키면서 다른 나무라고 말할 수 없듯이, 같은 학문적 연원에 뿌리를 두고서 각기 다른 사승의 학맥을 계승한 19세기 강우지역 학자들의 학문적 특징은 남명학파의 역사적 배경과 깊은 연관을 가진 이채로운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1930년대 江右儒林의 蕭寺同遊와 遺民意識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2 남명학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1930년대 江右儒林이 행한 ‘蕭寺同遊’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蕭寺同遊錄合編』에 수록된 唱酬錄을 중심으로, 그들이 견지한 ‘蕭寺’의 공간이 가지는 의미, ‘蕭寺同遊’의 형식과 내용, 時代認識과 遺民 意識 등을 살펴보았다. 소사동유가 지닌 의의와 한계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慶南儒學史에서 어떤 위치를 가지는지 평가해야 할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측면에서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이다. 먼저 경남유학사의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1930년대 소사동유는 각기 다른 당색과 사승을 가진 유학자들이 모여 함께 강론과 창수를 하였다는 점에서 19세기 江右儒林의 지리산 등반을 계승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측면에서 소사동유를 이해보자면, 소사동유의 성격 및 참여인물의 성향은 ‘탈정치적 은둔유림’에 보다 가깝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들의 대응방식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정치현실에 대해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무장투쟁을 감행하거나 계몽적 사회운동을 전개한 것만이 당시의 상황에 옳은 대응이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각자 자신의 신념과 가치를 지키면서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사명을 짊어지고 간 것이기 때문이다. 온 세상의 어두움을 완전히 물리칠 수 있는 해와 달은 아니더라도, 어두운 밤의 등불처럼 자기만큼의 빛으로 그만큼의 어두움을 몰아내는 역할을 저마다 실천하고자 노력한 것이었다. This paper is a consideration of “Sosadongyu”, which was performed by Confucian scholars in Gyeongnam during the 1930s. With a focus on the Changsurok contained in the “Sosadongyurok Happyeon”, the paper looked into the meaning of the space of “sosa” to which they held fast, the type and contents of “Sosadongyu”, and awareness of the times and the awareness of people without a country.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Sosadongyu may be viewed from two perspectives. One is how to evaluate its position in the history of Confucian studies of Gyeongnam, and the other is how to understand this from the aspect of those times, namely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First, in taking a look from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Confucian studies of Gyeonggnam, Sosadongyu may be evaluated as inheriting the Jirisan climbing of Confucian scholars in Gyenognam during the 19th century in that followers of Confucius with different partisan colorings and academic inheritance gathered together and preached and exchanged compositions of poems and prose. In understanding Sosadongyu from the aspect of those times, namely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character of and participants in Sosadongyu may be estimated to be closer to “non-political Confucian scholars in seclusion”. From their way of responding to reality, it is hard for them to escape criticism that they were passive toward the situation and political reality of that time. Even so, it is not reasonable to conclude that only the decisive engagement in armed struggle or the waging of enlightened social movements were required for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is is because each one took his/her mission as much as he/she could bear while keeping his/her faith and value. Even if they did not necessarily play a role as the sun or the moon that may completely lighten the darkness of the whole world, they tried to portray their roles of lighting up the darkness as much as they could just like a lamp in the dark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