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T의 접속과 흐르는 전류①

        전민호 한국전기기술인협회 1998 電力技術人 Vol.194 No.10

        CT를 3상 회로에 접속하는 경우 접속방식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어떻게 될까 하는 것을 아는 것은 전류계의 지시, 전기보호 등을 이해하는데 있어 대단히 중요하면서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며, 이에 앞서 변류기의 이론을 살펴본 뒤 본론으로 들어가고자 한다.

      • 발전기의 전기보호

        전민호 한국전기기술인협회 1999 電力技術人 Vol.199 No.3

        발전기도 여타 주요 전기설비와 마찬가지로 다중 보호되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보호방법에 있어서는 유도원판형 등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발전, 변경되고 있지만 보호의 종류 보호 목적 등에 있어서는 종전과 다를 바가 없다.

      • KCI등재

        인체 흉부 영상 복원을 위한 행렬 적응 조정 방법의 적용

        전민호,김경연,Jeon, Min-Ho,Kim, Kyung-Youn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1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EIT)에서 역문제는 매우 높은 비정치성이므로 이것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사전정보가 사용되고 EIT 역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만족스러운 복원성능을 갖기 위해 조정 기법은 적용된다. 반복적 Gauss-Newton 방법은 정확성과 빠른 수렴속도로 인해서 일반적으로 역문제를 푸는데 사용되지만 항상 좋은 성능을 내는 것은 아니며 조정 인자 선택에 따라 성능이 좌지우지된다. 비록 L-곡선과 같이 조정 인자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이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조정 인자는 스칼라이고 반복 연산동안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복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정 인자를 결정해주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반복 연산과정에서 도전율의 norm을 구하고 이것을 대각 행렬형태인 조정 인자를 구하는데 사용한다. 제안한 방법을 인체 흉부 영상 복원에 적용하였고, 기존의 방법들과 복원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해서 개선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개화기 서당교육의 전개

        전민호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3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process pattern of Seodang education in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media is as follows. The improved Seodang was run to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with intent to avoid from the regul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eanwhile, the improved Seodang started its establishment by a local government official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who cooperated with Japan’s educational policies before the Act on Education relating to Seodang was promulgated in August of 1908. The government was not interested in Seodang education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but Seodang was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of the gentry and the commoners, which are established nationwide. Radical reformer who was in the forefront of politics, considered traditional education of Korea to be the object of abolitio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t the same time, Modern thought that start from the top was not delivered to the gentry and the commoners who was wet with Confucian culture. As a result, Park JeonYang tried to make Modern elementary education institute with Seodang, but he failed in the period of the Gabo Reform, The Joseon government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implemented policies to abolish Seodang and pursued a policy of founding the modern school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of Korea. In this process, the Joseon government when owing to the lack of funds, it became difficult to establish the modern school, implemented policies to improve Seodang while maintaining it. Then Seodang passed away gradually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education policy, having spen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개화기 교육정책과 언론에 나타난 서당교육의 전개 양상은 다음과 같다. 일제식민지기 개량 서당이 총독부의 규제를 피해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기도 하였다면, 개화기의 개량서당은 1908년 8월 학부에 의해 서당관련 훈령이 공포되기 이전인 통감부 설 치 무렵부터 일제의 교육정책에 협조한 친일성향의 지방 관리들에 의해 설립되기 시작하였 다. 개화기 내내 정부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면서 양반과 서민층의 보통교육을 담당하던 서당 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을 두지 않았다. 정계의 일선에 있던 개화사상가들은 조선을 근대화하 는 과정에서 전통교육을 폐지의 대상으로 인식하였고, 위로부터 시작된 개화사상은 유교문화 의 틀 속에 있던 대부분의 양반과 일반 서민들에게 전달되지 못했다. 그 결과 갑오개혁기에 박정양에 의해 서당을 근대적 초등교육기관으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통감 부기 일제의 영향 하에 있던 조선정부는 서당을 폐지하고 근대적 성격의 학교를 설립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재정 부족 등으로 학교 설립이 여의치 않자 부득이 서당을 유지하면서 서당을 개량화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 후 서당은 일제 식민지기를 거치며 총 독부의 교육정책에 의해 점차 소멸의 길을 걷게 되었다.

      • KCI등재

        개화기 학교교육에서 근대적 위생개념의 형성

        전민호,신현정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modern sanitary concepts in the school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Korea.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from 1895, the Hakbu[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cribed by statute that most modern schools should deal with hygiene related matters through science or natural history subjects. This implied an intention to control the body of the people through hygiene. Second, hygiene textbooks used in school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school or the author's intention to compile them, but most explain and describe the hygiene of bones, muscles, skin, blood, circulation, breathing, excretion, and digestive systems. However, textbooks, like education laws, were intended to control the bodies of the people through education. Third, Education textbooks at this time dealt with hygiene from a nationalistic point of view, and The Act on Seodang (1908) was also intended to reflect modern hygiene under the control of the nation. Forth, Hulbert tried to apply the modern concept of hygiene to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Geonuiseo[a written proposal]. In the end, the concept of hygiene for the nationalization of the body, which is aimed at the health of the people beyond the health of the individual, was also being developed in school education,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construction of modern countries and the reform of modern systems. 본 연구는 개화기 학교교육에서 근대적 위생개념의 형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부는 대부분의 근대적 학교에서 이과나 박물 과목을 통해 위생 관련 내용을 다루도록 법령으로 규정하였다. 이것은 위생을 통해 국민의 신체를 통제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었다. 둘째, 이 시기에 학교교육에서 사용된 위생 관련 교과서에는 학교 수준이나 저자의 편찬 의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뼈, 근육, 피부, 혈액, 순환, 호흡, 배설, 소화기 등 신체 생리에 관해 설명하고 그에 대한 위생을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교과서 역시 교육법령과 마찬가지로 교육을 통해 국민의 신체를 통제하려는 의도를 내재하고 있었다. 셋째, 이 시기의 교육학 교재는 국가주의적 관점에서 위생을 다루었고, 전통교육기관인 서당에 관한 법령(1908)에도 근대적 위생개념을 반영하여 국가의 통제 하에 두려 하였다. 넷째, 헐버트는 「건의서」를 통해 근대적 위생개념을 학교교육에 적용하려 하였다. 결국 개인의 건강을 넘어 국민의 건강을 목표로 하는 신체의 국민화를 위한 위생개념은 근대국가의 건설과 근대적 제도 개혁의 일환으로 진행된 학교교육에서도 형성되어 전개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